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시의 미래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도시’라고 은유적으로 말한 뒤 “판단은 듣는 사람의 몫에 맡기겠다”고 했다.호르크스
박사
는 “도시는 계획한다고 무조건 그대로 만들어지지 않고 아주 작은 변화에도 민감하게 움직이는 유기체”라면서 “크고 넓은 시야로 최소 20년 이상의 장기 목표를 세우고 이를 매년 수정하면서 방향을 ... ...
바닷물 파래질수록 태풍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온도와 심해의 온도의 차이가 감소하면 해수가 순환하는 패턴도 달라진다. 내니데시칸
박사
는 “북태평양 아열대환류의 흐름이 변하면서 대기 중 공기의 흐름도 달라졌다”며 “태풍이 생길 만큼의 에너지가 발생하기 어려워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자연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때문이다.합성생명김훈기 지음 | 이음 | 191쪽 | 1만 2000원지난 5월 미국 크레이그 벤터
박사
팀이 염기 1080쌍을 가진 DNA조각 1000개를 합성해 ‘미코플라스마 미코이데스’라는 세균을 만들었다. 최초로 인공게놈으로 합성세포를 만들어낸 이번 연구 성과를 계기로 생명과 합성생명이란 무엇인지, 현재 ... ...
1992년 사무엘 웨이스
박사
의 성체 신경세포 생성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뇌조직)의 활성을 억제하는 능력이 더 뛰어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2005년 케이지
박사
팀이 발표한 연구 결과 역시 무척 흥미롭다. 나이든 생쥐에게 운동을 시키자 학습능력이 향상됐는데 뇌를 조사해보니 해마에서 신경생성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운동이 근육세포 뿐 아니라 뇌세포도 늘리는 ... ...
내 마음 알아채는 빛 반도체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했다. 물고기를 잡는 방법을 혼자 터득한 셈이다.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은 당연했다.
박사
과정 초반에는 연구 성과도 적었다. 성공한 결과보다는 시행착오가 많았기 때문이다. 그는 교수가 되고나서야 라이프 교수의 교육 방식이 얼마나 중요한지 새삼 느꼈다. 그래서 제자들에게도 답을 알려주기 ... ...
광합성을 알면 친환경 에너지도 OK!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만드는 방법이 개발됐답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의 앤젤라 벨처 교수와 남윤성
박사
가 이끄는 연구팀은 태양빛으로 물을 분해해 수소 에너지를 얻는 방법을 찾아 냈어요. 연구팀은 사람에게 해가 없는 M13바이러스를 이용해 *이리듐 산화물과 아연 **포피린 분자를결합시켰어요. 이 결합물에 ... ...
이스라엘의 퀴리 부인 아다 요나트
박사
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오랜 기간 동안 지원하고 재정의 20% 이상을 기부금으로 충당한다는 점이에요. 요나트
박사
님도 연구 초기부터 유대인 부자 일가인 키멜만 가문의 아낌없는 후원을 받았답니다. 그가 20년 이상 연구비를 걱정하지 않고 아무도 주목하지 않던 리보솜 구조 연구에만 매달릴 수 있었던 비결이죠 ... ...
슝~! 사랑은 비행기를 타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과학실험실에 참여하고 싶은 친구는 엽서에 정성을 가득 담아 사연을 보내 주세요.섭섭
박사
블러그에도 놀러 오세요.blog.naver.com/sboy※덧붙입니다3월 15일자 ‘아찔아찔, 거울 나라 탈출기’에서 ‘볼록거울은 빛이 퍼지게 반사되어 얼굴이 퍼져 보인다’고 소개 되었어요. 정확하게는 볼록 거울이 ... ...
좀비 만드는 '5가지 레시피'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전망이다. 이 칩은 뇌 조직만 ‘좀비’ 상태로 만드는 것이다.미국 남가주대의 테드 버거
박사
는 뇌의 기억장치를 보완하는 미니브레인 칩을 개발 중이다. 그는 칩을 이식해 외국어를 익히거나 자동차 운전법, 어려운 물리 공식 등을 쉽게 외울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이 연구는 2004년 미국 ... ...
위험할 땐 통돌이 로봇 불러주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개발 중이다.통돌이는 왜 덕트형으로 비행로봇을 만들었을까. 안전성 때문이다. 신
박사
는 “통돌이만큼 힘을 낼 수 있는 비행로봇을 헬리콥터 형태로 만들면 꼬리날개의 길이를 확보해야 하므로 로터의 길이도 1m 가까이 된다”며 “이만한 로터를 휘두르는 물건을 인명구조용으로 쓸 수 ... ...
이전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