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별들의 세계도 약육강식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엑스선은 빠르게 자전하는 거성과 비슷한 정도였다.연구에 참여한 로돌프 몬테즈
박사
는 “이 별의 빠른 자전 속도는 다른 별과 충돌하는 과정에서 생긴 것일 수 있다”며 “BP피스키움이 잡아먹은 별에서 에너지를 얻은 듯하다”고 설명했다.별은 나이가 들어 핵융합 반응에 쓸 연료가 떨어지면 ... ...
Part 5. 수학자의 꿈, 필즈상 수상자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운동선수의 꿈은 올림픽 금메달, 과학자의 꿈은 노벨상, 수학자의 꿈은? 4년에 한 번 국제수학자대회에서 주는 필즈상! 2010년 필즈상을 수상한 영광의 주인공을 만나기 위해 인도 하이데라바드로 날아갔어. 필즈상 수상자뿐만 아니라 8월 18일부터 25일까지 하이데라바드에 머물면서 세계 최고의 수 ... ...
Part 6. 최고 수학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아니라는 거지.필즈상 수상자 중에 은둔 수학자라고 알려진 그레고리 페렐만
박사
님, 이번 대회에서 스미르노프교수님과 함께 공동수상한 응오 교수님이 IMO 만점 출신이야. 하지만 2번 연속해서 만점을 받은 수상자는 스미르노프 교수님이 처음이래.스미르노프 교수님은 “IMO 금메달과 필즈상이 ... ...
바나나킥의 비밀은 충분한 거리와 속도!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호베르투 카를루스 선수의 ‘UFO 슛’에도 그대로 적용됩니다. 연구팀의 데이비드 퀘레
박사
는 “골문에서 35m나 떨어진 곳에서 시속 130km의 빠른 속도로 찬 공이었기에 환상적인 곡선을 그리는 골이 될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이 연구는 앞으로 공기나 물에서 회전하는 물체의 움직임을 ... ...
숫자를 기억하는 능력, 수직선에 달렸다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발표했습니다.미국 오클라호마대학교의 톰프슨
박사
와 미국 카네기멜런대학교의 로버트
박사
는 “아이들이 수를 기억하는 능력이 머릿속에 있는 수를 표현하는 능력과 관계가 깊다”고 밝혔습니다 ... ...
Part 7. 필즈상 수상자와의 만남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나중에 나도 이 자리에 섰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지. 강연을 듣고 나오는데 아는
박사
님께서 필즈상 수상자인 빌라니 교수님이 대회장 뒤 잔디밭에 계시니까 가 보라고 알려 주시는 거야. 교수님을 만나기 위해 부랴부랴 달려갔지. 그런데 정말로 잔디밭에 빌라니 교수님께서 계셨어. 어찌나 ... ...
학교에 가다! 2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말이에요~!섭섭
박사
님과 함께양력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실험부록인 섭섭
박사
의 양력연구실로 양력을 직접 만들어 볼 수 있어요. 입으로 바람을 불어서 비행기 날개를 위로 띄우고 있답니다. 후우~!이 물체를 어떻게 공중에 띄우지?양력을 이용하면 되지! 날아라, 내 친구 부머랭~!부머랭을 ... ...
태양 쓰나미가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있는 걸까. 국내 천문학자들에게 확인한 결과 태양활동에 이러한 반동 효과는 없다.김
박사
는 “2007년 4월까지만 해도 다음 태양활동 극대기의 시기와 규모에 대해 2011년 하반기쯤에 흑점의 개수가 140개가 넘을 것이라는 안과, 2012년 8월에 80개 정도가 될 것이라는 안이 있었다”며 “지난해 5월까지 ... ...
한국 수학 필즈상에 도전장 내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교수와 한린 교수는 모두 올림피아드 2회 연속 금메달 수상자 출신으로 하버드대에서
박사
과정을 밟은 뒤 바로 국내 대학 교수가 된 인재다.이 분야에 주목해야 할 젊은 수학자가 한 명 더 있다. 내년 가을부터 미국 매사추세스공대(MIT)에서 강의할 예정인 신석우 연구원(32)이다. 신 연구은 ... ...
3D 기술로 살아난 백제의 혼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이용해 복원한 최초의 ‘도시’는 어디일까. 2007년 6월 미국 버지니아대 버나드 프리셔
박사
팀은 서기 320년경 콘스탄틴 대제 시절의 로마 모습을 완벽하게 재현했다. 이 ‘로마의 재탄생(Rome Reborn)’ 프로젝트를 위해 연구팀은 남아있는 로마의 유적을 레이저 스캐너로 읽어 모두 3차원(3D) 데이터로 ... ...
이전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