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치
정리
배합
정돈
순서
배포
병치
뉴스
"
배열
"(으)로 총 73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공감·AI]⑧동물 눈 모방한 카메라로 '시각혁명'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0
이미지센서를 개발했다. 여기에 매우 작은 고무 재질의 마이크로렌즈를 반구 모양으로
배열
시켜 시야각 160도의 초광각 곤충눈 카메라를 개발했다. 송 교수는 “곤충은 나는 과정에서 모든 공간을 봐야 하지만 고개를 돌려 보기에는 신체 공간이 부족하고 에너지 소모도 많아 한 번에 넓은 공간을 ... ...
[주말N수학] 필즈상과 노벨상 수상 비법 공개, 질문이 위대한 발견을 낳는다
수학동아
l
2020.11.07
’라는 질문이 떠올랐습니다. 실제로 수를 대응시킨 뒤 세 가지 방법으로 큐브를 자르고
배열
한 수를 이용해 새로운 연산 법칙 13개를 알아낼 수 있었죠. 기존 가우스의 연산 법칙은 2차 방정식에만 쓸 수 있었는데, 새로 발견한 연산 법칙 덕분에 가우스의 연산 법칙을 적용할 수 있는 범위를 3~5차 ... ...
[코로나19 연구속보] 코로나19 항체, 3D 시각화 성공
2020.10.30
9) 생존자로부터 분리한 항체를 코로나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바이러스 표면에
배열
돼 있는 돌기 구조물로, 세포막에 있는 단백질 수용체와 결합해 사람의 세포 속에 침투하는 역할을 한다)의 주요 작용을 방해하고 스파이크 단백질이 분리되도록 유도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해당 ... ...
[과학자의 서재] "책은 복잡계를 가르쳐 주는 진짜 선생"
동아사이언스
l
2020.10.30
다양한 분야의 책들이 빼곡히 들어차 있었다. 별다른 정리 없이 책들이 무작위로
배열
된 듯한 서가를 오가며 김 연구원은 거침없이 원하는 책들을 꺼내 들었다. 김 연구원은 아이작 아시모프의 ‘파운데이션’과 올더스 힉슬리의 ‘멋진 신세계’를 가리키며 “전공을 고를 때 가장 영향을 받은 ... ...
[과학자의 서재]"본캐는 연구원, 부캐는 독서광"
2020.10.23
책장은 컬러링에 일가견 있는 아내의 지도 아래 책을 색별로 모아 그라데이션이 되도록
배열
해 만들었다. 책 권 수는 직접 세보진 않았다. 가끔 아이들이 재미 삼아 세곤 하는데 대략 2000권 정도 있는 것 같다. 꽂을 데가 없어 400권 정도 버려서 이 정도다. 책을 안 산지도 꽤 됐다. 요즘 책값도 ... ...
노벨상 영예 '유전자가위' 유전질환 치료 '더 가까이'
동아사이언스
l
2020.10.23
생명체의 유전정보를 담은 DNA는 아데닌(A), 시토신(C), 구아닌(G), 티민(T) 등 네 가지 염기
배열
로 이뤄져 있다. DNA 염기 중 단 하나만 잘못돼도 심각한 질병을 앓는다. 하지만 유전자 가위로 DNA 일부를 잘라내 교정할 경우 원치 않는 염기가 잘리거나 또다른 변이가 일어날 수 있다. 이는 유전자 ... ...
OLED 해상도 한계, '메타표면' 거울로 뛰어넘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3
메타표면은 표면에 눈에 보이지 않는 나노미터(nm·10억 분의 1m) 크기의 구조물을 잔뜩
배열
해 들어오는 빛의 파장을 바꾸는 기술이다. 연구팀은 OLED 바닥에 다양한 두께와 높이를 가진 나노원기둥들을 세운 메타표면 거울을 제작했다. 이들 기둥의 두께와 높이를 수십 nm 단위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바이러스의 창 막는 박테리아의 방패
2020.10.13
스팅 단백질이 일렬로
배열
한다. 여기까지는 사람의 씨가스-스팅 경로와 같다.
배열
된 스팅 단백질은 사람에서는 인터페론을 활성화해 염증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반면 박테리아에서는 TIR 영역이 활성화돼 NAD+라는 생체분자를 분해한다. NAD+는 박테리아 대사에 꼭 필요한 분자이기 때문에 이게 ... ...
뇌가 낯선 공간을 기억하는 원리 밝혀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9
해마 속 치아이랑의 전극
배열
을 기록하고 있는 모습을 3D로 나타낸 그림. KIST 제공. 어떤 곳을 처음 찾아갈 때는 주변에 눈에 띄는 물체나 지형을 보고 길을 찾지만 점차 익숙해지면 그런 지표가 없어도 길을 헤매지 않는다. 이는 누구에게나 나타나는 흔한 현상이지만 사람의 뇌가 어떻게 공간을 ... ...
식품첨가제로 만드는 태양전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8
배향은 고분자로 이뤄진 고체물질 속에서 미세 결정이나 고분자 사슬이 일정 방향으로
배열
되는 현상을 말한다. 연구팀이 개발한 고분자 물질은 태양전지에 적합한 배향뿐만 아니라 전하 이동에 방해가 되는 결정 표면이 없고 열에 의한 결정화가 일어나지 않아 고온에서도 안정적이었다. 이를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