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치
정리
배합
정돈
순서
배포
병치
뉴스
"
배열
"(으)로 총 67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빙판길은 왜 그렇게 미끄러울까
2019.12.25
물분자의 움직임이 느려지면 수소결합의 비중이 점점 커지고 결국 물분자들이 일정한
배열
로 놓인 결정인 얼음이 된다. 이때 물분자 사이에 수소결합을 이루기 위한 공간적 배치 때문에 얼음의 밀도는 물보다도 낮아진다. 그런데 얼음을 이루는 모든 물분자의 상태가 똑같을까. 학창시절 ... ...
빛 색깔과 편광 동시에 제어하는 소형 광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3
물질을 성장시켜 막대 구조의 모서리 방향을 따라 1차원 구조인 양자선들이 자발적으로
배열
되도록 한 것이다. 그 결과 육각연필 구조의 길이 방향으로 만들어진 양자선은 청색으로 축 방향과 나란한 편광을 지니게 됐다. 반면 연필대와 연필심의 기울어진 부분과 만나는 단면에 형성된 양자선은 ... ...
[화보+] 사이언스·네이처가 뽑은 ‘올해의 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19.12.17
은하수/CSIRO/사이언스 은하수/CSIRO/사이언스 호주의 전파망원경집합체인 스퀘어킬로미터
배열
패스파인더가 관측하는 하늘 위로 은하수가 펼쳐져 있다. 36개의 전파망원경을 이용해 과학자들은 먼 은하에서 탄생한 고속전파폭발(FRB)을 관측했다. FRB는 1000분의 1초 정도 지속되는 라디오파로 원래 ... ...
‘질화갈륨’ 웨이퍼 기술 스타트업 80억원 규모 투자 유치
동아사이언스
l
2019.12.13
성장하는 결정에 전자 빔을 쪼여 결정을 맞고 회절돼서 나오는 패턴을 읽어 제대로
배열
되는지 확인해야 한다. 아이브이웍스는 박사급 엔지니어들이 눈으로 보고 판단해야 하는 이 패턴을 읽고 분석하는 데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했다. 이를 통해 초박막 구조의 결정 성장을 분석하고 제어하는 ... ...
[프리미엄 리포트] 교과서엔 절대 안나오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
과학동아
l
2019.12.13
때보다 고체 상태일 때 더 잘 일어난다. 강 교수는 “물 분자가 결정화되면 규칙적으로
배열
되고, 이에 따라 물 분자 사이의 수소 원자 이동이 더 활발히 일어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고 말했다. 얼음에서 전하 이동이 활발히 일어나면서 얼음 속에 있거나 얼음에 붙어 있는 물질들의 ... ...
시커먼 실리콘 태양전지 투명하게도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2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는 원자가 규칙적인
배열
된 구조다.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광활성층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한다. 결정질 실리콘은 광활성층의 솽전변환 효율이 높도 안정적이다. 그래서 현재 태양전지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 ...
64개국 아시아인 게놈 베일 벗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9
생명 활동에 필요한 단백질이 만들어진다. 유전체(게놈)는 DNA에 포함된 30억개 염기의
배열
순서(염기서열) 전체를 밝힌 것이다. 사람마다 유전체는 일부 차이가 있다. 과학자들은 특정 인종이나 국가, 민족을 대상으로 표준 유전체 지도를 구축하고 있다. 표준 유전체 지도를 만들면 특정 질병이 ... ...
손상된 근육세포 재생 돕는 인공근육 3D프린터로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27
복잡한 조건을 최적화해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고 전기 신호를 이용해 금 나노와이어의
배열
성을 제어하는 기술이 핵심”이라며 “난치성 근육질환 극복을 위한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
[프리미엄리포트] 50년 만에 첨단 CG로 부활한 거대 타조공룡 데이노케이루스
2019.11.17
수 없었던 새로운 특징들도 밝혀졌다. 갈비뼈와 등 척추의 결합 형태, 복늑골(배갈비뼈)
배열
을 입체적으로 복원하면서 복부의 크기와 형태가 밝혀졌고, 등에 있는 혹은 다소 뾰족했던 초기 복원 모습보다 좀 더 완만하고 둥그스름한 형태라는 사실도 알아냈다. 11m 거대한 몸집에 흠칫, 알고 ... ...
공중에 뜬 '지구본', 알고 보니 '허공 속에 구슬로 그린 그림'
동아사이언스
l
2019.11.14
연구팀은 지름 1cm인 초음파 생성 장치를 가로 세로 16개씩 총 256개를 정사각형 모양으로
배열
한 장치를 약 23cm 간격을 두고 위아래에 배치했다. 초음파는 허공의 공기 밀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연구팀은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것보다 주파수가 2배 이상 높은 40kHz의 초음파를 쏘아 반지름 1mm인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