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치
정리
배합
정돈
순서
배포
병치
뉴스
"
배열
"(으)로 총 679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리포트] 특수문자·그림에서 시작해 AR로 진화하는 이모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7.13
프랑스 작가 빅토르 위고의 작품 '레미제라블'을 이모지로 번역했다. 아무렇게나 그림을
배열
한 듯 보이지만 찬찬히 살펴보면 줄거리가 이해된다. 심지어 한 권 전체가 이모지로 쓰여진 책도 있다. 미국의 이모지 개발자인 프레드 베넨슨은 2009년 허먼 멜빌의 소설 '모비딕'을 이모지로 번역한 ... ...
과학지식 없는 AI, 과학 논문 읽어 새로운 소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4
단어와 함께 등장하는 관계 등에서 금속의 결정 구조와 같은 과학적 개념을 배워 단어에
배열
을 부여했다. 예를 들어 ‘강자성체’란 단어에 강자성체 소재 중 하나인 ‘퍼멀로이’(NiFe)란 단어를 빼고 강자성체의 반대인 반자성체 소재 ‘인듐망간 합금(InMn)’을 더하면 알고리즘은 ‘반자성체’란 ... ...
완전한 원자 한 층 그래핀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한 층의 단결정 그래핀을 제조하는 데도 성공했다. 단결정 그래핀은 탄소가 규칙적으로
배열
된 그래핀으로 단결정 그래핀들이 모여 이뤄진 다결정 그래핀보다 전기적 특성이 좋다. 단결정 구리 호일 위에서 단결정 그래핀은 20~50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m) 간격을 두고 군데군데 접힌 형태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잉크 안 쓰는 컬러프린터를 만들다
2019.07.02
날개 비늘에는 파란색소가 전혀 없다. 대신 비늘 표면이 공기층과 비늘층이 교대로
배열
된 독특한 구조를 지녀 파란빛의 보강간섭을 일으킨 결과다. 이렇게 만들어지는 색을 구조색이라고 부른다. 위키피디아 제공 일본 연구자들은 플라스틱을 굽히거나 잡아당기는 물리적 힘 대신 용매에 담가 ... ...
반도체 나노패턴 빠르고 정확하게 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6
고분자 사슬이 스스로 움직이면서 가장 안정한 배치인 적절한 간격을 둔 패턴으로 재
배열
됐다. 만원 버스에서 꼼짝 못하게 엉켜 있던 사람들이 여유가 생기면 스스로 손잡이를 중심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자리를 다시 잡는 것과 비슷하다. 이 과정에서 다소 불규칙하게 엉켜 있던 나노패턴이 일정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항암·맞춤치료 혁명 가져올 '오가노이드'
동아사이언스
l
2019.06.09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배아 발생 중에 줄기세포가 각 세포로 분화하면서 어떻게
배열
되고 각 기관을 형성하는지 관찰해 그 답을 찾고 있다. 제르니카-겟츠 교수팀은 지난해 3월 쥐의 배아줄기세포를 쌓아 인공 배아를 만드는 실험에 성공한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에 싣기도 했다. 당시 연구팀이 ... ...
신경세포가 가장 늙었다는 기존 학설 뒤집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7
밝혀졌다. 인슐린을 생성해 분비하는 췌장은 세포의 나이가 들쭉날쭉해 모자이크처럼
배열
돼 있었다. 췌장에서 인슐린을 생성 분비하는 랑게르한스섬의 베타세포는 세포분열이 활발한 만큼 세포 나이가 상대적으로 젊었다. 반면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하는 소마토스타틴을 만드는 델타세포는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조 힌 치오,염색체와 매카시즘
2019.06.06
초파리 유전학자들은 염색체에 새겨진 띠의 패턴을 연구해서 유전자를 염색체 상에
배열
하고 있었고, 인간 유전학은 초파리 유전학에 비하면 최첨단 학문이 아니라는 이유로, 그렇게 많은 연구자가 연구하고 있지도 않았다. 염색체 숫자를 33년동안 48개로 알고 지낸건, 최초 발견자의 잘못도, ... ...
늘어나도 끄떡없고 끊어져도 스스로 붙는 웨어러블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6.04
들여다봐 원인을 규명했다. 외력에 의해 변형이 일어나면 내부의 전도성 미세입자가 재
배열
해 전기적 특성이 자발적으로 늘어났다. 연구팀은 이를 ‘셀프 부스팅’ 현상으로 명명했다. 이 소재를 인터커넥트로 활용해 실제 인체에 부착해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신호를 로봇 팔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체이면서 동시에 초유체인 물질은 정말 존재할까
2019.06.04
초유체가 된 것이다. 고체이면서 초유체인 물질 최근 양자 기체를 일정한
배열
로 배치한 뒤(고체에 해당) 초유체 현상을 관찰해 초고체임을 보인 논문 세 편이 발표돼 주목을 받았다. 왼쪽은 마찰 없이 흐르는 초유체를 묘사한 그림으로 원자의 밀도가 균일하면서 약간의 편차를 보인다.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