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원
후원
원조
옹호
승인
시인
변호
뉴스
"
지지
"(으)로 총 4,010건 검색되었습니다.
영화 vs. 현실, 혼돈과 불신의 데자뷰
2015.06.07
영화로 옮겨 놓은 듯했다. 물론 현실에서는 ‘4차 감염자’의 존재 여부까지는 밝혀
지지
않았지만, 감염 환자가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면서 지리적으로 떨어진 도시 곳곳에 바이러스가 전파되는 모습도 현실과 흡사했다. 충격적인 부분은 도시 봉쇄였다. 전국적인 전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 ...
[메르스 업데이트] 생물과 무생물 경계에 있는 바이러스, 바이러스는 어디서 왔는가
2015.06.06
유전체는 세포 속에 있는 전령RNA(mRNA)와 구조가 매우 닮았다는 점이 세포 탈출설을
지지
하는 근거다. 바이러스와 세포의 기원을 다르게 보는 ‘독립 기원설’도 있다. 이 가설은 바이러스와 세포가 각각 독립적으로 출발해 서로의 진화에 영향을 주며 현재에 이르렀을 것으로 본다. 가령 ... ...
확진환자 접촉 의료진 쉬쉬… 일반환자에 마스크도 안줘
동아일보
l
2015.06.04
전염의 직접적 경로가 될 수 있는 호흡기내과, 감염내과 외래진료실에 대한 통제가 이뤄
지지
않고 있었다. 이 병원 3층에 있는 호흡기내과는 종양혈액내과 정신건강의학과 등과 붙어 있지만, 호흡기 진료 외에 다른 진료로 찾아온 환자에 대한 안내는 보이지 않았다. ○ 감염에 취약한 병원 구조 ... ...
메르스 대량 확산 우려
동아일보
l
2015.06.03
만한 점은 3차 감염 환자가 2명 새로 발생한 것. 격리조치 등 방역활동이 제대로 이뤄
지지
않아 메르스가 통제 불능 상태에 빠진 것은 아니냐는 걱정이다. ○ 중동과 다른 바이러스 변종 가능성 최초 환자에서 22명의 2차 감염자가 나오면서 메르스의 원인인 코로나-메르스 바이러스의 변종이 발생한 ... ...
“생명과학은 인류애를 실천하는 방법”
과학동아
l
2015.06.02
연구 중이다. 운반소낭과 관련한 유전자에 이상이 생기면 뼈 성장이 제대로 이뤄
지지
않아 두개골의 형태가 완성되지 않는 희귀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셰크먼 교수는 “이 희귀병을 치료할 방법을 찾는 게 목표”라며 “현재 이를 위해 발병 메커니즘을 상세히 연구 중”이라고 말했다. 2013년 ... ...
암세포 자살하게 만드는 단백질, 봉인 해제
2015.06.01
암세포로 변하는 과정에서 유전자 돌연변이가 일어나면서 이 단백질은 더이상 만들어
지지
않는다. 그 결과 세포가 살기 힘든 악조건에서도 스스로 자살하지 않고 항암치료에도 ‘굳세게 버티는’ 독한 암세포가 된다. 연구팀은 RIP3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가 ‘메틸레이션’이라는 과정을 통해 ... ...
[연구노트 운영 중구난방] 연구조작 방지, 꼼꼼한 해외 규정
2015.06.01
NIH)은 ‘노트는 한 페이지도 빠뜨리지 않고 기록할 것’ ‘연필 대신 잉크나 볼펜 등 지워
지지
않는 펜으로 쓸 것’ ‘잘못 나온 데이터도 삭제하지 말고 남길 것’ ‘연구노트는 집에 가져가지 말 것’ 등 연구노트 사용 철칙을 시시콜콜한 부분까지 명시하고 있다. 미국 버지니아공대는 연구노트의 ... ...
탄수화물은 뇌에 정말 나쁠까요?
2015.05.31
스쳐지나가 버리지만 실수나 잘못과 같은 나쁜 경험은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쉽게 잊혀
지지
않는다. 이는 우리 뇌가 부정적인 것에 먼저 반응하도록 진화돼왔기 때문이다. 뉴스를 볼 때 살인사건이나 재난 등 부정적인 소식에 더 귀를 울이게 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저자는 미국 ... ...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대피한다
과학동아
l
2015.05.29
어떻게 대피했는지 시간대별로 알 수 있다. - MIT 제공 이런 지진 경보 시스템이 갖춰
지지
않은 나라가 대다수라는 점이다. 위성 정보와 값비싼 센서를 이용해 정밀한 지진 관측 시스템을 구축하려면 큰 비용이 든다. 아이티와 네팔과 같은 개발도상국에선 엄두를 내기 힘들다. USGS는 도시 사람들이 ... ...
수원청개구리가 사라지고 있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5.29
물의 정화작용을 해요. 논밭에서 나온 농약으로 오염된 물이라도 수초를 지나면 깨끗해
지지
요. 수초를 먹이로 먹는 다양한 곤충들이 살고 있기 때문에 개구리는 수초에 있는 곤충을 먹으며 넉넉한 먹이활동을 할 수 있어요. 또 수초 사이에 숨으면 낮에도 포식자를 피할 수 있어요. 이처럼 ... ...
이전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