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유전자 돌연변이로 근육이 급격히 퇴화한다든지 다양한 이유가 있을 수 있겠는데요. 이때 병을 치료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문제가 되는 세포들을 정상 세포로 교체하는 방법입니다. 유도만능줄기세포는 바로 이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고로 특정 신경세포에 손상이 생긴 환자라면, 이 ... ...
- [Origin] 국제이론물리센터과학동아 l2017년 10호
- 10월은 노벨상 시즌입니다. 그래서 이번 호에서는 파키스탄인 최초로 노벨상을 수상한 이론물리학자 모하마드 압두스 살람 박사가 설립한 ‘국 ... 있다고 하니 꼭 드셔보시길 바랍니다. 에스프레소와 넉넉한 우유거품이 유리잔에 담겨 나오는데, 카푸치노보다 부드러운 맛이 일품입니다 ... ...
- [Culture] 원본 증명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혼령일까요? 장비를 가지고 여기로 날아오셔서, 혹은 혼령을 알아볼 수 있는 동료들을 데리고 오셔서, 죽은 저의 영혼을 봐 주시지 않으시겠습니까? 사실 저는 아직도 지금 이 편지를 쓰는 저야말로 제 유일한 원본이리라고 굳게 믿고 있습니다. 제 존재의 연속성을 놓쳐본 적이 한 번도 없었기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4색 정리의 응용판! 베크너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인텔 제온 CPU 48개를 사용해 55일간 계산했습니다. 비로소 성공한 토마센 교수그런데 2017년 8월 토마센 교수가 인터넷에 베크너의 문제를 푼 논문을 공개합니다. 이번엔 학술지 ‘조합적 이론 시리즈 B’의 게재 승인까지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여러 수학자의 검증 과정을 거쳤으니 문제가 풀렸다고 ... ...
- [DJ CHO의 롤링수톤] U2의 ‘Sunday, Bloody Sunday’ 집게발 무대의 정체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사건은 끝납니다. 그러나 1972년 1월 30일 일요일, 또 사건이 발생합니다. 북아일랜드 데리에서 시민권 운동 중이던 비무장 가톨릭교도에게 영국군이 총을 쏴서 14명의 사망자와 13명의 중상자를 낸 유혈사건이 벌어진 것이지요. 수많은 희생자를 낳은 두 사건을 아일랜드 사람들은 ‘피의 ... ...
- [Future] ‘부정맥 모음곡’으로 부정맥 조기 진단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작곡하는 것도 염두에 두고 있답니다. 어떤 사람들은 뇌전도나 바다, 우주 현상에서 데이터를 얻어 음악을 만듭니다. 심박으로 작곡한 음악이 아름다운 점은 ‘무지카 후마나(Musica Humana)’라고 부르는, 고대 그리스 시대에 상상했던 아이디어를 실현했다는 사실입니다. What advice do you have for ... ...
- [교과연계수업] 작을수록 더 위험한, 미세플라스틱의 위협!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1차 미세 플라스틱’이라고 해요. 그런데 미세 플라스틱이 각질이나 치석을 제거하는 데 효과가 좋다고 알려지면서 치약과 세안제, 스크럽 제품 등에 사용되고 있어요. 여기에 쓰이는 미세 플라스틱은 대부분 1mm보다도 작기 때문에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이동해도 걸러지지 않고 그대로 바다로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시작했어요. 그리고 1934년, 위에서 소화를 돕는 효소인 ‘펩신’의 구조를 분석하는 데 성공했답니다.이뿐만 아니라 호지킨은 스테롤과 비타민 B12의 구조도 밝혀냈어요. 특히 그가 페니실린의 구조를 알아낸 덕분에 페니실린을 합성해 수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었지요.호지킨은 이처럼 우리 몸에 ... ...
- [과학뉴스] 지구 최초의 동물은 빗해파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지구상 최초의 동물은 누구일까요?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애니메이션 ‘스폰지밥’의 주인공인 해면동물이 지구상 최초의 동물일 거라고 생각했어요. 우선 ... 이끈 앤토니스 로커스 교수는 “이번 연구는 지구 최초의 동물에 관한 논쟁을 해결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공룡은 왜?] 뿔만 봐도 다 알아! 코스모케라톱스의 화려한 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공룡들은 소나 양처럼 무리를 이루어 살던 초식동물이었어요. 이들은 새끼를 데리고 다니면서 물가에서 물을 먹이고 보살폈어요. 따라서 쉽게 서로의 종을 구별하거나 자신의 가족이 다른 무리들과 섞이는 것을 막는 방법이 필요했을 거예요.다행히도 카스모사우루스류 공룡들은 서로 각기 다른 ... ...
이전3693703713723733743753763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