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가짜 나’를 버리고 ‘진짜 나’를 찾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다르게 해석된다고 보는 등 언어에 집중했다. 비트겐슈타인은 언어로 세상을 해석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생각했고, 언어를 정확히 쓰기 위해 노력했다. 앤디 클라크 영국 에든버러대 철학과 교수는 사람의 뇌가 인식하는 현상은 실제와 차이가 있으며, 뇌는 끊임없이 이런 차이를 줄이기 위해 ... ...
- [Interview] ‘빅 히스토리’ 창시자 데이비드 크리스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올라가야 했다. 결국 우주의 역사를 가르침으로써 인류의 통일된 역사를 정립해야겠다는 데까지 생각이 미쳤다. 목표는 장대했지만, 목표한 만큼 과학적인 빅 히스토리를 정립하기란 말처럼 쉽지 않았다. 지금으로부터 30여 년 전에는 지금처럼 우주와 지구, 생물의 역사가 충분히 밝혀져 있지 ... ...
- [Career] ‘한국의 젊은 노벨’ 한 자리에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온새미로’ 팀의 백지현 양(충북과학고 3학년)은 “필터를 애초에 일회용으로 기획했는데, 조별 토론 중에 필터를 재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질문이 나왔다”며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아이디어를 얻게 돼 유익했다”고 말했다. 또 대회가 열리는 건물 1층에는 각 팀의 연구 포스터와 실험 ... ...
- Part 1. 웰컴 투 무한의 세계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자연수 제곱의 집합은 원소의 개수가 같을 것이다. 즉, 두 집합의 크기가 같다. 그런데 1, 4, 9, 16…은 원래 자연수 집합의 일부분이다. 따라서 집합이 자기 자신의 일부분과 크기가 같은 이상한 일이 생긴다. 무한을 상태가 아니라 수처럼 크기를 비교할 수 있는 대상, ‘실무한’으로 봐야 한다는 ... ...
- 한글의 美, 기하학 만나 추상미술로 피어나다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다시 보게 됐고, 모든 작업을 한글로 하기 시작했어요.” 강 작가는 미국 크랜브룩 아카데미 오브 아트를 다니면서 평면에서 펼치던 작품 세계를 공간으로 확장했다. 하고 싶은 작업을 마음대로 할 수 있게 돕는 학풍 덕분에 학교 안에 설치작업이 가능했고, 다양한 시도가 이뤄졌다. 학교 야외 ... ...
- [수학공감] 수학 교육을 바꾸다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찾아가 듣기도 했다. 덕분에 훌륭한 강의를 많이 들을 수 있었다. 연수에서 배우는 데 그치지 않고 스스로 새로운 수업도 개발해, 지금처럼 수업할 수 있게 됐다. 대나무로 이해하는 입체도형“브라보~!”우렁찬 권순학 인천 관교여자중학교 수학 교사의 목소리가 수업에 활기를 불어넣었다. ... ...
- [교과연계수업] 작을수록 더 위험한, 미세플라스틱의 위협!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1차 미세 플라스틱’이라고 해요. 그런데 미세 플라스틱이 각질이나 치석을 제거하는 데 효과가 좋다고 알려지면서 치약과 세안제, 스크럽 제품 등에 사용되고 있어요. 여기에 쓰이는 미세 플라스틱은 대부분 1mm보다도 작기 때문에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이동해도 걸러지지 않고 그대로 바다로 ... ...
- [Focus News] ‘살충제 계란’ 공포, 계란 계속 먹어도 되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없애는 데 주로 사용하는 살충제로 달걀에서 검출돼서는 안 된다. 2. 지금껏 먹어왔는데, 괜찮을까무엇보다 걱정은 지금껏 살충제가 포함됐다는 사실을 모른 채 계란을 먹어왔다는 점이다. 오랫동안 살충제가 포함된 달걀을 먹어서 건강에 문제가 되지는 않을까. 홍윤철 서울대 의대 예방의학과 ... ...
- [Issue] 유전자 가위 둘러싼 세기의 ‘특허 전쟁’ 2라운드 돌입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교정해 비후성 심근증 변이 유전자가 자손에게 전달될 확률을 50%에서 28.6%까지 낮추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이 사용한 크리스퍼 기술 중 일부가 툴젠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것이라는 점에서 이번 특허 전쟁의 향방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밀리포르시그마도 복병이다. 유럽 특허청은 ... ...
- [Future] 생체 이식 칩의 진화, 내 안에 ‘칩’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9호
- 하는 명령어를 만드는 것이다. 허치슨은 5년에 걸친 훈련 끝에 생각만으로 팔을 움직이는 데 성공했다. 2015년 리처드 앤더슨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교수팀은 총상으로 목 아래 전신이 마비된 에릭 소토의 뇌에 칩을 이식해 자신의 팔에 부착된 로봇 팔을 움직일 수 있게 했다. 에릭 소토는 손을 ... ...
이전3693703713723733743753763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