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재난구조로봇 1등은 ‘나야 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보내는 일이 가장 큰 과제”라며 “고준위 방사선을 차폐하는 소형 로봇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6월 15일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로봇이 견딜 수 있는 방사선량은 200Sv(시버트) 수준이다. 인간이 피폭되면 즉사하는 수치다. 리틀 선피시는 지름 13cm, 길이 30cm로 아담한 크기다. 격납용기에 접근할 ... ...
- [Issue] 길고양이가 살인진드기 옮긴다?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그러나 께름칙한 부분도 있습니다. 동물이 사람에게 SFTS를 전파하는 일이 극히 드문데다, 고양이 몸속의 바이러스와 사망한 여성의 바이러스가 동일한 계통인지에 대한 유전자 검사 결과가 나오지 않았기 때문입니다(8월 17일 기준). 전파 여부를 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동물실험 시설의 최상위 ... ...
- 수학공감➌ 통계, 생활이 되다수학동아 l2017년 09호
- 말했다.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시간에는 정규분포 곡선이 대칭인 종 모양이라고 배우는데, 짱(한)도리 팀은 실제로 그렇게 나오는지 조사했다. 결과적으로 대칭인 종 모양이 아닌 한쪽으로 치우친 결과가 나왔다. 자료의 수가 충분하지 못했고, 계급의 크기가 세분화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를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목표는 마고!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않았다.드디어 견학 날이었다. 하림은 혼자서 모이는 장소로 갔다. 모두 20명이 모였는데, 도착하고 보니 꼴찌였다. 먼저 와서 기다리던 아이들이 대놓고 눈총을 주었다. 하림은 전부 무시했다. 사실 눈총을 느낄 만한 정신도 아니었다. 인공지능센터로 들어가기 전에는 몸 수색을 받아야 했다. ... ...
- Part 2. [디저트] 신선한 인공 우유와 인공 달걀로 만든 달콤한 쿠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우유를 먹으면 배가 아픈 사람도 걱정 없이 마실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요. 퍼펙트 데이는 내년에 인공 우유를 실제로 판매할 예정이에요. 이렇게 얻은 우유로 치즈와 같은 유제품도 만들 계획이랍니다.닭이 필요 없는 인공 달걀?미국의 ‘햄튼 크릭’이라는 회사는 달걀과 똑같은 맛을 내는 인공 ... ...
- [Focus News] 질소 먹고 위에 구멍, 질소가 위험하다?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질소는 화학적으로 다른 물질과 반응을 잘 하지 않기 때문에 식품의 선도를 유지하는 데 사용한다. 특히 과자의 산화와 부스러짐을 막기 위해 과자 봉지에 넣는다. 빵빵하게 부풀려진 과자 봉지 안에는 질소 기체가 들어있다. 질소는 국내는 물론 국제식품규격인 코덱스(CODEX)와 미국, 일본, 유럽연합 ... ...
- [과학뉴스] 세포벽으로 ‘생체 종이’ 만들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물에 젖어도 찢어지지 않는다. 상처를 치유하거나 암 환자의 호르몬 기능을 회복하는 데 활용될 전망이다. 라밀레 샤 미국 노스웨스턴대 재료과학및공학과 교수팀은 돼지와 소의 심장, 난소, 자궁, 신장, 간,근육 등의 조직에서 세포를 제거한 뒤, 세포벽을 구성하는 세포외기질 단백질을 이용해 ... ...
- [Issue] 우사인 볼트는 왜 영원할 수 없나, 근육 노화로 풀어 본 스프린터의 숙명과학동아 l2017년 09호
- 2016년 8월 23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골격근의 성체 근육 줄기세포가 형성되는 데에는 ‘위성세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56쪽 사진). 위성세포는 분화능을 가진 근육 줄기세포로 골격근을 이루는 근원섬유의 표면에 붙어 있다. 위성세포가 활성화되면 세포분열이 일어나고, 그렇지 않으면 ... ...
- Part 3. “나는 ‘과학자 엄마’ 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09호
- 2014년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여성이 임신, 출산, 육아로 경제활동을 포기한 데 따른 사회적 비용은 13년간 195조 원이다. 만약 경력단절을 예방할 경우, 과잉교육, 임금손실, 재취업 비용 등을 예방할 수 있어 180조 원의 사회적 편익이 날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임신과 출산, 독박 육아로 ... ...
- [Future] 한국 온 지 9개월, ‘닥터 왓슨’ 뭐하세요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있을지가 더 중요하다”며 “사람의 뇌가 여러 기억을 모아 통합적인 예측을 하듯, AI도 데이터를 이용해 병의 발생이나 예후를 현재보다 정확하게 추측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AI가 현대의학도 완벽하게 해결하지 못하는 난치병에서 인류를 구할 수 있는 날이 올지 기대해볼 일이다 ... ...
이전3723733743753763773783793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