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100% CG 침팬지 ‘시저’의 귀환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가상현실(VR)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CG의 응용 분야도 더욱 폭넓어질 것 같은
데
. 임: 현재 할리우드에서는 영화 제작 계약을 할 때 시각효과에서 VR 작업을 따로 해 달라는 항목을 넣고 있다. 웨타디지털에서 VR 전담팀이 따로 있고, 내가 담당했던 ‘정글북’ 같은 영화는 VR 작업을 한 영상을 ... ...
Part 2. 5人 5色 인터뷰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앞으로 어떤 연구를 할지 고민이 크다. 10년 넘게 어류 생리에 대한 기초연구를 했는
데
, 지금은 어민들에게 도움이 되는 양식 기술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앞으로 20년은 더 연구자로 살아야 하잖아요. 저만의 연구 주제를 찾아, 훗날 그 분야에서만큼은 사람들이 가장 먼저 떠올리는 전문가가 되고 ... ...
[Culture] 명상과 전두엽의 과학적 관계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처리하는 후두엽에서의 변화가 뚜렷했다. 반면 청소년은 뇌 전체 영역에서 변화가 있었는
데
, 특히 종합사고력을 관장하는 전두엽에서 변화가 두드러졌다. 청소년은 전두엽이 발달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이 같은 결과가 나온 것으로 풀이된다. 전두엽은 계획하고 판단을 내릴 뿐 아니라 자신을 ... ...
[Career] 63빌딩보다 큰 선박, 어떻게 설계할까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공부했다는 노 교수는 “우리가 개발한 프로그램은 파도의 높이, 바람의 세기 등 빅
데
이터를 기반으로 설계됐다”며 “이제 조선해양 분야에서도 융합 연구는 필수”라고 강조했다 ... ...
Part 3. 런웨이에 선 수학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친구들과 이것저것 자주 대화해 보세요. 어떤 재미있는 얘기가 나올지 모르니까요. 쓸
데
없는 얘기라고 흘려 듣지 마세요. 언젠가 이용할 날이 올지도 몰라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알아두면 쓸모 있는 신비한 수학사전 알쓸신수!Part 1. 택시가 낸 수학 문제Part 2. 두 유 노우 ... ...
여성 최초 필즈상 수상자 미르자카니 눈을 감다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필즈상을 수상했다. 이란의 첫 필즈상 수상자이기도 하다. 수학계의 별이 지다그런
데
2017년 7월 충격적인 소식이 수학계에 전해졌다. 유방암 투병 중이던 미르자카니 교수가 7월 15일 미국에서 40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던 것이다. ‘최초’ 수식어를 받은 뒤 채 3년이 지나지 않아서 벌어진 일이다 ... ...
Part 1. 천사의 날개, 재난 지역을 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8호
정도가 심각한 곳과 양호한 곳을 구분해서 보여 주기 때문에 신속하게 복구가 이뤄지는
데
큰 도움이 됐지요.네팔에 드론을 날린 건 놀랍게도 우리나라의 대학생들이 팀을 이룬 ‘엔젤스윙’이에요. 2015년 네팔 대지진 당시 서울대학교에 교환학생으로 와 있던 박원녕 학생(미국 조지아공과대학교 ... ...
[Issue] ‘알쓸신잡’ 자외선차단제 고르는 법3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한편 피부발림성과 지속성을 논하는
데
용매도 빼놓을 수 없는 기준입니다. 보통 자외선차단제는 땀이나 물로 씻겨 없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일을 용매로 사용합니다. 자외선차단제를 바른 후에 피부가 번들거리는 것도 바로 이 오일 ... ...
Part 3. DNA로 몽타주를 그릴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받기 때문에 이보다 정확도가 더 낮습니다.이런 문제들이 산재해 있음에도 계속해서 DNA
데
이터베이스의 구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는 DNA 정보를 활용할 경우 범인을 검거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실제 우리나라에서는 2013년 제주지역에서 10대 미성년자 성폭행범을 ... ...
Part 2. 몸 속 생태계의 주인 - 기생충의 귀환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자가 암 세포를 체내에 주입해 암에 면역을 갖게 만드는 것을 암 백신이라고 하는
데
, 톡소포자충에 있는 프로필린과 유사한 단백질이 암 백신의 효과를 높인다는 사실도 알아냈다.유학선 부산대 의대 기생충학교실 교수는 기생충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조절T세포를 늘리는 기생충의 ... ...
이전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