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증거
보증
확증
검증
확인
논증
d라이브러리
"
증명
"(으)로 총 2,786건 검색되었습니다.
타디그레이트 피플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게 아니야.”“그럼 뭘 찾는데?”“음, 쉽게 말해서 ‘인간으로서 나의 존재의 의의를
증명
해줄 만한 확신’ 같은 거?”선은 미아가 무엇을 찾으려 하는 것인지 당최 감조차 잡을 수 없었다. 선은 그게 정확히 뭐냐고 미아에게 묻고 싶었지만, 미아가 다시 말을 시작하는 바람에 질문할 순간을 놓치고 ... ...
편지에서 시작된 난제 골드바흐의 추측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다시 오일러의 이야기로 돌아가 보자. 리만 가설보다 더 오래된 난제 이야기다. 한 편지에서 시작된 소수에 관한 난제 ‘골드바흐의 추측’이다. 골드바흐의 추측은 ... 이 수보다 큰 수에서 예외가 발견될 수 있다. 그 후의 짝수에 대해서 정확히 성립하는지 아무도
증명
하지 못했다 ... ...
쌍둥이 소수 추측으로 필즈상 수상한 제임스 메이나드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코이코일로포일로스 캐나다 몬트리올대학교 교수와 함께 ‘듀핀-쉐퍼의 정리’를
증명
했다. 1941년에 발표된 문제로, 실수와 유리수의 오차가 특정 수준만큼 작을 때 이를 만족하는 유리수가 무한히 많은 경우는 언제 나타나는지 밝히는 것이다. 즉 실수를 유리수로 근사시킬 때의 오차에 관한 ... ...
수학자 이름 새긴 소수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아래 수를 ‘피보나치 수’라고 한다. 피보나치 소수 또한 무한할 것으로 추측하지만
증명
되지는 않았다. 현재까지 알려진 피보나치 소수는 36개다. 처남 이름을 넣은 소수, 스미스 수 1984년 미국 수학자 앨버트 윌란스키는 어떤 수의 자릿수를 더한 값과 어떤 수를 소인수분해 했을 때 ... ...
RSA 암호의 핵심 원리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오가는 정보의 내용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그 정보가 원본 그대로 조작되지 않았음을
증명
한다. 또 사이버공간에서 신분을 확인하는 ‘주민등록증’ 역할도 한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공인인증서를 생각하면 된다. 이때 가장 많이 쓰이는 암호가 공개키 암호 중 하나인 ‘RSA 암호’인데, 그 ... ...
소수 찾는 획기적인 방법 뤼카-레머 판정법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뤼카가 메르센 수를 이용해 소수 판별법을 만들고, 39자리의 수인 2127-1이 소수임을
증명
했다. 이 수는 그때까지 발견한 소수 중 가장 큰 소수라는 영광을 차지한다. 그리고 1951년까지 무려 76년 동안 최대 소수의 자리를 굳건히 지켰다. 이후 1930년대에 미국 수학자 데릭 헨리 레머는 뤼카의 방법을 ... ...
소수가 나오는 범위에 집중한 가우스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놀라게 했다. 또한 대학 시절 정수론을 이용해 정십칠각형이 작도 가능하다는 사실을
증명
했다. 통계학과 사회과학에서 자주 사용하는 ‘정규 분포(평균값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인 분포)’를 발견한 것도 가우스다. 1801년에는 저서 를 써서 정수론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기도 했다. 179 ... ...
리만 가설을 향한 수학자의 끝없는 도전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소수를 전부 찾을 수 있어도 소인수분해는 다른 문제다. 물론 리만 가설이 풀리면
증명
과정에서 나오는 다양한 이론들이 다른 문제를 푸는 데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리만 가설을 향한 학자들의 도전은 소수의 규칙을 찾는 그 영광을 얻기 위해 계속될 것이다. *머튼스 추측 : 복소수의 ... ...
귤을 많이 담으려면 〇〇〇 모양으로? 귤포장에 숨은 수학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통찰로 확장했습니다. 그리고 응용 과학자들은 이 통찰을 현실에 대입해 실험으로
증명
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수학자들에게 제시했죠. 이렇게, 순수수학과 응용과학의 세계는 서로 자극을 주고 받으며 짜릿한 접점을 보여줍니다. 어쩌면 소시지 추측의 남은 수수께끼 또한 전혀 예상하지 못하는 ... ...
[과동키즈] "과학도의 역량은 어디서나 꼭 필요합니다”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모르고 모를 것이다).’라는 격언으로도 유명합니다. 이 정리가 페트로스에겐, 자신의
증명
이 성공할 수 없다는 저주였습니다. 불완전성 정리가 인간 지성의 본질적 한계를 경고하는 철학적 의미로도 차용된다는 점과 그 라틴어 격언이 당시의 제 마음에 깊이 와닿았습니다. 업무상의 ‘한 단계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