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증명"(으)로 총 2,7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커리어] 우주의 본질을 밝히는 IBS 지하실험 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캐나다의 지하실험실에서 관측됐다. 이를 통해 중성미자가 질량을 가진다는 사실이 증명됐다. IBS 지하실험 연구단도 태양중성미자를 좀 더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검출기를 설치할 공동(空洞)을 예미랩에 마련했다. 또한 몰리브데넘(Mo)의 동위원소인 몰리브데넘-100으로 구성된 결정을 이용해 두 ... ...
- [가상 인터뷰] 나무로 만든 위성이 우주로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충격에도 거뜬해야 하고, 급격한 온도 변화도 견뎌야 하는데 나무가 적합하다는 걸 증명한 거지. 그런데 왜 목련 나무가 선택된 거야? 새틴나무, 느티나무, 목련 나무 세 종류의 샘플 가운데 특히 멀쩡했던 샘플이 바로 목련 나무야. 우주 방사선과 급격한 온도 변화에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 ...
- [러셀 탐구생활] 제 12장. 러셀의 삶이 우리에게 남긴 것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받아들이고 극복하고자 투쟁하는 한 명의 인간으로서 마주할 수 있습니다. 그의 삶이 증명하는 불완전함의 위대함, 부조리의 아름다움이야말로 진정한 러셀의 역설입니다. ■ “내게 기회가 주어진다면 기꺼이 다시 살 것이다” ■ 앞서 러셀이 자신의 생애를 익살스럽게 표현한 회고록을 ... ...
- [빅잼] '더 마블스' 히어로 파워의 원천 ‘광자' 현실에 쓴다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특성이죠. 실제 중국은 2016년 양자 통신위성 ‘묵자호’를 발사해 양자의 얽힘을 증명하는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실험 방법은 이렇습니다. 지상에서 약 500km 상공에 있는 묵자호에 얽힘 상태에 있는 양자 한 쌍(A, B)을 둡니다. 그리고 이 중 한 개의 양자(B)를 지상으로 내려보냅니다. 그 다음 지상에 ... ...
- [최신 이슈] 그 털이 곱슬거리는 이유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유리하다는 설명도 있다. 그밖에 인간이 고릴라와 같은 조상으로부터 갈라져 나왔음을 증명하는 것이 곱슬한 음모라는 가설도 있다. 고릴라와 침팬지의 털을 비교했을 때 고릴라의 털은 침팬지의 털보다 거칠고 곱슬거린다. 이는 인간의 음모와 비슷하다. 그런가 하면 침팬지의 털은 인간의 ... ...
- 물리와 수학의 가교를 놓은 물리수학의 창시자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교수는 “콘체비치 교수와 오쿤코프 교수가 필즈상을 받은 것은 오로지 위튼 추측 증명 때문만은 아니지만, 미르자하니의 경우 이 문제를 푼 것이 필즈상의 주요 업적 중 하나”라며, “미르자하니는 물리에서 파생된 수학 문제를 물리수학이 아닌 순수수학으로 해결했다”고 설명했어요. 그는 ... ...
- [노벨상 2023] 생리의학상 - 대기만성의 mRNA백신과 꼭 닮은 과학자의 인생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발표했다. doi: 10.1126/SCIENCE.1690918 핵산 기반 면역화 플랫폼이 효과가 있다는 것을 증명한 첫 번째 실험이었다. 초창기 핵산 백신 연구는 DNA 위주였다. 이 당시만 해도 RNA를 제작하는 것은 DNA보다 더 비쌌고, 아무 전달체 없이 인체에 주입한 RNA는 리보뉴클레아제(Rnase)라는 효소에 의해 빠르게 분해돼 .. ...
- [최신 이슈] 최적의 직사각형 비율로 뫼비우스 띠 만들어볼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없느냐는 부존재를 탐구하는 수학자들에겐 매우 흥미로운 문제라는 겁니다. “이번 증명이 수학계에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기자의 질문에 최 교수의 답은 간결했습니다. “없을 겁니다. 그래도 수학자들은 이런 걸 궁금해 해요. 수학에서 할 수 없다는 걸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은 엄청난 ... ...
- [최신 이슈] 있었는데, 없습니다 ... 희귀동위원소 산소-28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나가기’ 때문에 명명된 이름입니다. 핵물리 과학자들은 이 존재 한계선을 실험으로 증명하고 있습니다. 현재 산소의 존재 한계선은 산소-24에 그어져 있습니다. 약 20년 전의 일이죠. 반면 양성자를 6개 갖고 있는 탄소는 존재 한계선이 탄소-22까지 포함합니다. 질소(양성자 7개)의 존재 한계선은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개념 먼저 다지고 문제 속으로 서울과학고 오유찬수학동아 l2023년 11호
- 린(Lean)에 대한 기사를 읽었어요. 린은 마이크로소프트 리서치팀이 2013년 개발한 증명을 검증하는 소프트웨어인데, 앞으로 수학 논문을 검증하고 난제를 풀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는 사실을 알게 돼 놀라웠어요. 그래서 올해 6월에 학교 친구인 이현진과 같이 수학 문제를 푸는 알고리듬을 만드는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