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3D프린터로 만든 인공 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최근 울산과학기술원의 강현욱 교수팀에 의해 3D프린터로 인공조직을 만드는 기술이 개발됐어요.자유롭게 입체모형을 만들 수 있는 3D프린터가 개발된 이후 많은 ... 일어나지 않았답니다.강현욱 교수는 “이 기술은 잃어버린 신체 부위를 복원시키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헷갈린 과학] 산수유나무VS생강나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나무껍질이 벗겨지는 산수유나무노오란 불꽃이 터진 듯한 모습의 산수유는 3월에 피는 봄꽃이에요. 꽃자루에 면봉 모양의 꽃 송이가 ... 점점 자주색으로 변하고 9월이 되면 검은색을 띠어요. 이 열매는 먹는 기름을 짜는
데
쓰이지요. 도시나 마을 근처보다는 주로 산에서 볼 수 있답니다 ... ...
PART 3 나도
데
이터과학자!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데
이터로 튀기는 치킨
데
이터 분석은
데
이터과학자만이 할 수 있는 일일까? 사실 마음만 먹으면 누구든지
데
이터 분석을 할 수 있다.
데
이터 전문가가 아닌 대학생 허성일 씨 ... INTRO 빅
데
이터가 미래다PART 1 크다고 다 빅
데
이터일까?PART 2 빅
데
이터 ...
[과학뉴스] ‘해충 퇴치!’ 달콤한 피 흘리는 식물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솔라눔 둘카마라가 해충의 공격을 받았을 때 흘리는 용액에 특정 개미들이 반응한다는
데
주목했다. 그 중에는 해충을 공격하는 개미가 세 종류 이상 포함돼 있었다. 이런 개미들은 공격당한 식물을 자주 찾아갔고, 정상적인 잎보다 상처 입은 잎 위에서 세 배가량 더 오래 머물렀다. 상처 입은 ... ...
[과학뉴스] 1억짜리 아이언맨 수술, 받으시겠습니까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될 것들이다. 그동안 우리는 로봇과 인공지능이 사람과 비슷한 존재가 돼 나타날 거라는
데
만 관심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한쪽에선 사람의 신체를 업그레이드 해 로봇과 비슷하게 만드는 이른바 ‘인체 플랫폼’ 기술이 속도를 내고 있다. 이와 함께 ‘아바타’가 벌일 수 있는 신종 범죄 우려와 ... ...
[News & Issue] NASA 비행기가 한반도에 뜬 이유는?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때만 한다.“가장 문제는 배가 막 움직이기 시작할 때예요. 매연이 아직 주변에 남아있는
데
관측 장비가 가동되기 시작하거든요. 이때 잊지 말고 장비 입구를 꼭 막고 있어야 해요.”(주태규 연구원)차주완 연구관은 “바다와 육지, 하늘에서 각자 정밀한 자료를 모은 다음, 자료를 공유하면서 동시에 ...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진화 이론에 따르면 개체의 적합도를 늘리는
데
기여하는 유전자는 항상 선택된다. 그런
데
왜 개체의 적합도를 낮추는 이타적 행동이 선택된 걸까. 유전자가 사회적 행동을 만들건 다른 형질을 만들건 간에, 자연선택은 개체의 ‘이것’을 일편단심 증가시키려 한다는 일반 법칙을 우리가 내놓을 수 ... ...
[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상록 KIST 박사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그러니까 인체 친화적 전극 재료, 생체신호 처리 기술 등이 우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분명 기여할 겁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체 플랫폼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상록 KIST ... ...
[Career] 사람이 만드는 도시, 도시가 만드는 사람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권영상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의 사무실에는 큰 도면과 함께 도시 모형이 있었다. 자세히 보니 세종특별자치시의 도면이었다. 그런
데
도시의 모양이 ... 평소에 SF 영화나 게임 등을 유심히 관찰하는 게 도움이 됩니다. 미래의 도시를 상상하는
데
도가 튼 사람들이 많은 콘텐츠니까요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푸는 열쇠인 셈이에요.처음 전자기파를 발견한 헤르츠는 ‘전자기파는 아무
데
도 쓸
데
가 없다’고 말했어. 하지만 오늘날 인터넷이나 전화 통화 등의 무선 통신을 할 수 있게 만든 게 바로 전자기파지. 그러니 중력파도 앞으로 활용 방법이 무궁무진하지 않을까?친구들이 커서 그 방법을 직접 ... ...
이전
440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