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푸는 열쇠인 셈이에요.처음 전자기파를 발견한 헤르츠는 ‘전자기파는 아무
데
도 쓸
데
가 없다’고 말했어. 하지만 오늘날 인터넷이나 전화 통화 등의 무선 통신을 할 수 있게 만든 게 바로 전자기파지. 그러니 중력파도 앞으로 활용 방법이 무궁무진하지 않을까?친구들이 커서 그 방법을 직접 ... ...
PART 3 나도
데
이터과학자!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데
이터로 튀기는 치킨
데
이터 분석은
데
이터과학자만이 할 수 있는 일일까? 사실 마음만 먹으면 누구든지
데
이터 분석을 할 수 있다.
데
이터 전문가가 아닌 대학생 허성일 씨 ... INTRO 빅
데
이터가 미래다PART 1 크다고 다 빅
데
이터일까?PART 2 빅
데
이터 ...
[지식] 스파이더맨 될 수 없다vs있다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힘★이 생겨나 중력과 수직 또는 반대 방향으로 쉽게 붙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반
데
르발스 힘★전자구름의 불균형으로인해 분자 사이에 일어나는 힘.‘게코도마뱀 패드’ 신으면 스파이더맨!호크스 박사팀은 게코도마뱀이 발을 얼마나 대느냐에 따라 벽에 달라붙을 수 있는 정도도 연구했다. ... ...
[인터뷰] 젊은 수학자를 만나다 서재홍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그런
데
막상 공부해보니 추상적으로 상상해볼 때와는 다르더라고요. 물리는 의문이 남는
데
해소가 안 되는 부분이 있었거든요. 그에 비해 수학은 결과가 명확하게 드러나 좋았어요. 문제가 어떤 과정으로 해소되는 지 깔끔하게 드러나는 게 제가 생각하는 수학의 매력입니다 ... ...
[과학뉴스] 지구온난화로 고통 받는 철새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몸집이 작아진 붉은가슴도요는 먹잇감을 구하는 능력이 부족해 서아프리카에서 겨울을 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과학자들은 또 다른 북극 철새들에도 비슷한 변화가 일어나 생존에 위협을 받고 있을 거라고 경고했다 ... ...
[News & Issue] NASA 비행기가 한반도에 뜬 이유는?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때만 한다.“가장 문제는 배가 막 움직이기 시작할 때예요. 매연이 아직 주변에 남아있는
데
관측 장비가 가동되기 시작하거든요. 이때 잊지 말고 장비 입구를 꼭 막고 있어야 해요.”(주태규 연구원)차주완 연구관은 “바다와 육지, 하늘에서 각자 정밀한 자료를 모은 다음, 자료를 공유하면서 동시에 ...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제안했다. 우주범선은 태양과 멀어지면 힘을 거의 받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는
데
, 이를 지상에서 쏘는 레이저로 보완하겠다는 아이디어다. 루빈 교수는 “광자추진체를 이용하면 빛의 속도의 26%에 달하는 속도를 낼 수 있으며, 화성까지 3일도 걸리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NASA는 돛 대신 ... ...
[Knowledge] 부러진 뼈 : 사건을 해결하는 퍼즐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않았을 거라 생각한다. 뼈는 거짓말을 하지 않으며 사건 당시의 정황을 재구성하는
데
뼈만큼 강력한 증거는 없다. 다만 뼈가 들려주는 이야기를 정확히 듣기 위해서는 훈련이 필요할 뿐이다. 지금도 늦진 않았다. 그래서 오늘도 난 부러진 뼛조각을 열심히 맞춘다 ... ...
[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상록 KIST 박사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그러니까 인체 친화적 전극 재료, 생체신호 처리 기술 등이 우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분명 기여할 겁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체 플랫폼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상록 KIST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활용할 수 있습니다. 김 교수는 “단순히 기존의 컴퓨터공학만으로는 인공지능을 만드는
데
한계가 있다”며 “행동은 환경과 상호작용해서 끊임없이 운동하고 피드백을 받는 과정이 반복되는 것이기 때문에 살아있는 유기체를 참고할 수밖에 없다”고 말합니다 ... ...
이전
440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