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3D프린터로 만든 인공 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최근 울산과학기술원의 강현욱 교수팀에 의해 3D프린터로 인공조직을 만드는 기술이 개발됐어요.자유롭게 입체모형을 만들 수 있는 3D프린터가 개발된 이후 많은 ... 일어나지 않았답니다.강현욱 교수는 “이 기술은 잃어버린 신체 부위를 복원시키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헷갈린 과학] 산수유나무VS생강나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나무껍질이 벗겨지는 산수유나무노오란 불꽃이 터진 듯한 모습의 산수유는 3월에 피는 봄꽃이에요. 꽃자루에 면봉 모양의 꽃 송이가 ... 점점 자주색으로 변하고 9월이 되면 검은색을 띠어요. 이 열매는 먹는 기름을 짜는
데
쓰이지요. 도시나 마을 근처보다는 주로 산에서 볼 수 있답니다 ... ...
PART 3 나도
데
이터과학자!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데
이터로 튀기는 치킨
데
이터 분석은
데
이터과학자만이 할 수 있는 일일까? 사실 마음만 먹으면 누구든지
데
이터 분석을 할 수 있다.
데
이터 전문가가 아닌 대학생 허성일 씨 ... INTRO 빅
데
이터가 미래다PART 1 크다고 다 빅
데
이터일까?PART 2 빅
데
이터 ...
[지식] 스파이더맨 될 수 없다vs있다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힘★이 생겨나 중력과 수직 또는 반대 방향으로 쉽게 붙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반
데
르발스 힘★전자구름의 불균형으로인해 분자 사이에 일어나는 힘.‘게코도마뱀 패드’ 신으면 스파이더맨!호크스 박사팀은 게코도마뱀이 발을 얼마나 대느냐에 따라 벽에 달라붙을 수 있는 정도도 연구했다. ... ...
[인터뷰] 젊은 수학자를 만나다 서재홍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그런
데
막상 공부해보니 추상적으로 상상해볼 때와는 다르더라고요. 물리는 의문이 남는
데
해소가 안 되는 부분이 있었거든요. 그에 비해 수학은 결과가 명확하게 드러나 좋았어요. 문제가 어떤 과정으로 해소되는 지 깔끔하게 드러나는 게 제가 생각하는 수학의 매력입니다 ... ...
[과학뉴스] 거대 블랙홀 품은 꼬마 은하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진화과정에서 내부에 있는 블랙홀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며 “은하의 진화를 연구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천체물리학저널 레터스’ 3월 17일자에 실렸다 ... ...
[News & Issue] 웨어러블 미생물 전지 시대!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말했다. 동물 몸에 카메라나 마이크로폰 등 작은 기계장치들을 실어 정찰을 보내야 하는
데
, 웨어러블 미생물연료전지를 함께 실어 동물이 가진 생체 유기물로부터 전기를 만들어 장치에 공급하겠다는 구상이다.이에로풀로스 교수팀은 미생물연료전지를 더 최적화하기 위해 연구 중이다. 현재 ... ...
[News & Issue] NASA 비행기가 한반도에 뜬 이유는?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때만 한다.“가장 문제는 배가 막 움직이기 시작할 때예요. 매연이 아직 주변에 남아있는
데
관측 장비가 가동되기 시작하거든요. 이때 잊지 말고 장비 입구를 꼭 막고 있어야 해요.”(주태규 연구원)차주완 연구관은 “바다와 육지, 하늘에서 각자 정밀한 자료를 모은 다음, 자료를 공유하면서 동시에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거치지 않고도 임상시험에 돌입할 수 있다. 원래 협심증 치료제로 개발됐던 실
데
나필이라는 물질을 발기부전 치료제(바로 ‘비아그라’다!)로 쓰게 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류인균 이화여대 뇌·인지과학과 교수팀은 운동보조제로 많이 복용하는 크레아틴이라는 물질이 여성 우울증 개선에도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활용할 수 있습니다. 김 교수는 “단순히 기존의 컴퓨터공학만으로는 인공지능을 만드는
데
한계가 있다”며 “행동은 환경과 상호작용해서 끊임없이 운동하고 피드백을 받는 과정이 반복되는 것이기 때문에 살아있는 유기체를 참고할 수밖에 없다”고 말합니다 ... ...
이전
444
445
446
447
448
449
450
451
4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