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스파이더맨 될 수 없다vs있다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힘★이 생겨나 중력과 수직 또는 반대 방향으로 쉽게 붙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반
데
르발스 힘★전자구름의 불균형으로인해 분자 사이에 일어나는 힘.‘게코도마뱀 패드’ 신으면 스파이더맨!호크스 박사팀은 게코도마뱀이 발을 얼마나 대느냐에 따라 벽에 달라붙을 수 있는 정도도 연구했다. ... ...
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못하기 때문이다.또 다른 행성과 달리 태양을 도는 궤도도 훨씬 길쭉한 타원 모양인
데
다가, 공전면도 17도나 기울어져 있었다. 심지어 자기 주위를 도는 위성 중 크기가 큰 카론과 서로 끌어당기듯 공전하고 있었다. 국제천문연맹이 2006년에 새롭게 제시한 행성의 조건 중 ‘궤도 주변에 작은 천체가 ... ...
[과학뉴스] 거대 블랙홀 품은 꼬마 은하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진화과정에서 내부에 있는 블랙홀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며 “은하의 진화를 연구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천체물리학저널 레터스’ 3월 17일자에 실렸다 ... ...
[과학뉴스] 피부에 넣은 태양전지로 전기 만든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광주과학기술원(GIST) 교수팀이 피부 속에 태양전지를 넣어 작동시키는
데
성공해 ‘어드밴스드 헬스케어 머티리얼스’ 5월 4일자에 발표했다. 심박조율기 등 체내 삽입형 의료기구에 연결하면 주기적으로 전지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을 줄일 수 있을 전망이다.연구팀은 6~7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6m) ... ...
[과학뉴스] 불나방의 초음파 경고 “나 맛없거든!”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맛없어”라는 독특한 경고신호를 보내는 당돌한 불나방을 자연에서 처음으로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미국 웨이크포레스트대 닉 다우디 연구원은 천적인 박쥐에게 초음파로 신호를 보내 포식을 피하는 불나방(tiger moth)을 자연 환경에서 관찰했다. 박쥐는 청각, 그 중에서도 초음파에 의존해 생활하는 ... ...
[과학뉴스] 외계행성 1284개 무더기 발견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케플러우주망원경으로 알아낸 지식이 인류가 우주에 홀로 존재하고 있는지를 밝히는
데
꼭 필요한 정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천체물리학저널’ 5월 10일자에 실렸다 ... ...
[과학뉴스] 1억짜리 아이언맨 수술, 받으시겠습니까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될 것들이다. 그동안 우리는 로봇과 인공지능이 사람과 비슷한 존재가 돼 나타날 거라는
데
만 관심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한쪽에선 사람의 신체를 업그레이드 해 로봇과 비슷하게 만드는 이른바 ‘인체 플랫폼’ 기술이 속도를 내고 있다. 이와 함께 ‘아바타’가 벌일 수 있는 신종 범죄 우려와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잘 자랄 수 있는 생체반응로를 만들었다. 이곳에 줄기세포로 작은 뇌 조직을 만드는
데
성공했고, 조직이 완전한 성체로 자라는 동안 바이러스에 감염시켰다. 그 결과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된 오가노이드는 정상보다 뉴런을 적게 만들었고 조직의 크기도 작아졌다. 이미 알려진 대로 임신 초기에 가장 ... ...
[Knowledge]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원리를 더 깊이 파악하는 일일 뿐만 아니라, 산업계에 필요한 새로운 물질을 만드는
데
에도 도움을 준다. 그건 나노 과학만으로는 불가능하다.Q : 응용연구에서 가장 기대되는 분야는 무엇인가.A : 재료과학 분야다. 중이온가속기가 만든 희귀 동위원소는 안정한 원자핵으로 변하면서 방사선을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거치지 않고도 임상시험에 돌입할 수 있다. 원래 협심증 치료제로 개발됐던 실
데
나필이라는 물질을 발기부전 치료제(바로 ‘비아그라’다!)로 쓰게 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류인균 이화여대 뇌·인지과학과 교수팀은 운동보조제로 많이 복용하는 크레아틴이라는 물질이 여성 우울증 개선에도 ... ...
이전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4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