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재미] 도넛처럼 생긴 적혈구의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지름은 적혈구의 지름인 7μm(100만 분의 1m)보다 작습니다. 적혈구는 도넛처럼 가운데가 오목한 덕분에 좁은 모세혈관을 지나갈 때는 빈대떡처럼 유연하게 찌그러집니다.프랑스 렌느1대 물리학과 이자벨 칸타 교수는 이 과정을 수학적으로 밝혀냈습니다. 적혈구가 모세혈관을 지나가면서 유연하게 ... ...
- [수학동아클리닉] 중등_우봉고로 일차방정식을 요리해볼까?수학동아 l2016년 04호
- 교육은 대화를 통해 이뤄진다. 수업은 교사 혼자서가 아니라 학생들과 소통하며 해야 한다. 필자는 학생들과 소통하며 즐겁게 수업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를 소개하고자 ... 놀이 학습은 학생들이 수학에 자신감을 얻고, 수학에 대한 흥미와 긍정적인 가치관을 갖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
- [과학뉴스] 수성이 빛나지 않는 이유는 ‘흑연’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수성과 달은 크기나 모양, 대기 등이 비슷해서 쌍둥이 행성으로 통하지만 밝기에서 만큼은 큰 차이를 보인다. 지구에서 봤을 때 달이 수성보다 세 배 ... 만들어졌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패트릭 페블로스키 교수는 “태양계 기원과 진화를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지능이 아니라 커다란 계산기라고 폄하하기도 한다. 심층 신경망은 단순히 많은 데이터 속에서 유사성을 찾아내는 것이고, 유사성을 넘어 독창적인 개념과 추상화를 하는 것이 인간지능의 핵심이라고 말한다. 필자도 알파고를 인간에 도전하는 궁극의 인공지능으로는 생각하지 않는다. 알파고는 ... ...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만한 천체 현상만을 찾아내는 식이다. 데이터를 처리하고 서비스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구글도 참여하고 있다. LSST는 현재 ‘LSST 코퍼레이션’이라는 비영리 회사를 통해 운영되고 있다. 미국 스탠퍼드대, 프랑스 IN2P3 등 전세계 22개 대학과 연구소에서 100명이 넘는 과학자가 참여하고 있다. 한국도 ... ...
- [Interview] “화성에서도 살아남을 인재를 꿈꿉니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줄탁동기’라는 말이 있지요. 새끼는 안에서 알을 깨고 나가려고 하고 동시에 밖에서는 어미가 알을 쪼아 길을 열어주는 것. 그것이 줄탁동기입니다. 우리 사회에도 줄 ... 하니까요. 새로운 과학교육종합계획이 이런 인재를 키울 창의적 문화를 만들어 가는 데 보탬이 되길 바랍니다 ... ...
- [Tech & Fun] 누군가가 멀고 밉게 느껴진다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위협이 되는 대상이 여성,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라면 나를 거절한 개인을 폄하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 집단 전체로 비난의 화살을 돌린다는 것이다. 실제로 여성인 교수로부터 좋지 않은 평가를 받은 학생은, 여교수의 능력이 남교수보다 떨어진다는 편견이 커졌다는 연구결과도 있다(Pers Soc Psychol ... ...
- [Career] 통신부터 국방까지, 일상을 지배하는 레이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수 있습니다.방준휘 전기․정보공학부에서 레이저 연구를 하는 분은 교수님이 유일하신데요. 레이저의 매력은 무엇인가요?정윤찬 전기 현상은 전자기파와 관련이 많습니다. 빛도 전자기파의 한 종류고요. 따라서 빛을 다루는 레이저 분야는 다양한 전기․정보공학 분야 중 기초에 속합니다. 보다 ... ...
- [과학뉴스] 머릿속에서 센서가 사르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없는 거예요.존 로저스 박사팀은 실제로 쥐의 두뇌에 이 센서를 넣고 두뇌의 정보를 얻는 데 성공했어요. 또한 쥐의 두뇌에선 염증이 발견되지 않아 이 센서가 생체에 대한 거부반응이 없다는 것도 밝혀졌지요. 존 로저스 교수는 “이 기술을 바탕으로 앞으로 몸 속에서 더 많은 신체 정보를 정확하게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입 안 대고 풍선을 불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녹아 있는 기체가 바로 이산화탄소예요. 또한 조개껍데기에 염산을 떨어뜨리면 조개껍데기의 주성분인 탄산칼슘이 염산과 반응한 결과 이산화탄소가 생기지요. 산소가 충분한 환경에서 물질이 탈 때 생기는 기체도 이산화탄소랍니다.드라이아이스는 고체로 만든 이산화탄소를 말해요. ... ...
이전4504514524534544554564574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