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재미] 마왕의 탑_4화 둥근 삼각형?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절대 만날 수가 없어요! 그런
데
왜 두 직선이 북극에서 만나는 거지요? 뭔가 이상한
데
….”“충격을 받았나 보군. 수학자 유클리드가 말한 이후 2000년 동안이나 절대적으로 믿었던 명제였으니 네가 그렇게 반응할 만도 해.”“그, 그렇군요…. 생각해보니 가우스 아저씨 말이 맞아요. 지구는 평평하지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몇 초가 걸렸는지 쟀습니다. 교실에서 잰 자신의 속력에 3반 교실부터 10반 교실까지 뛰는
데
걸린 시간을 곱하면 두 학급 사이의 거리가 됩니다.모둠원들은 더 정확한 값을 구하기 위해 모둠원 각자가 구한 3반과 10반 사이의 거리를 평균 내 봤습니다. 이 값은 두 학급 사이의 거리를 줄자로 잰 실제 ... ...
[과학뉴스] 수성이 빛나지 않는 이유는 ‘흑연’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수성과 달은 크기나 모양, 대기 등이 비슷해서 쌍둥이 행성으로 통하지만 밝기에서 만큼은 큰 차이를 보인다. 지구에서 봤을 때 달이 수성보다 세 배 ... 만들어졌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패트릭 페블로스키 교수는 “태양계 기원과 진화를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
[과학뉴스] 인공지능은 떡잎만 봐도 안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재료 ․ 기술식물의 독특한 잎맥 특성을 파악해 종을 감별해낼 수 있는 인공지능이 나왔다. 미국 펜실베니아주립대 피터 월프 교수팀은 식물 수천 종의 잎맥 ... 종류를 파악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며 “잘 알려지지 않은 식물의 유연관계를 파악하는
데
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Part2. ‘알파크래프트’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대결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0.15~0.2초 내에 새로운 판단을 해야 한다.제한시간도 짧은
데
정보량은 바둑 이상이다. 19×19크기의 바둑판에 세 가지 경우의 수(흑, 백, 빈 공간)뿐인 바둑과 달리 스타크래프트의 화면 크기는 640×480 픽셀이다. 바둑은 300장 정도의 바둑판 사진이면 한 게임을 분석할 수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작은 부분들은 잘 이어 붙이면 하나의 구부러진 구조가 나오는
데
, 붙이는 행위가 양자역학적으로 얽힘에 해당하는 겁니다.”(양현석 박사)이런 아이디어를 깊이 연구하고 열렬히 주장하는 과학자는 영국의 물리학자 줄리안 바버다. 그는 시간을 ‘환상’이라고 주장한다. 그가 ... ...
[Knowledge] 공룡의 그늘 밑에서 살아 남아라!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끝이 납작해졌다. 더 나아가, 이들은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뾰족한 이빨을 식물을 뜯는
데
적합한 나뭇잎 모양의 이빨로 바꿔버렸다. 갑옷공룡처럼 변해버린 이 노토수쿠스류가 바로 시모수쿠스다. 시모수쿠스는 노토수쿠스류와 갑옷공룡 사이의 수렴진화를 보여준다. 납작 주둥이의 등장!바다 ... ...
[Interview] “화성에서도 살아남을 인재를 꿈꿉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줄탁동기’라는 말이 있지요. 새끼는 안에서 알을 깨고 나가려고 하고 동시에 밖에서는 어미가 알을 쪼아 길을 열어주는 것. 그것이 줄탁동기입니다. 우리 사회에도 줄 ... 하니까요. 새로운 과학교육종합계획이 이런 인재를 키울 창의적 문화를 만들어 가는
데
보탬이 되길 바랍니다 ... ...
[Tech & Fun] 돌먼지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말씀하신 적이 있어요. 코쇠는 광산이라 그런지 언제나 진동이 있다고요. 우주는 고요한
데
여기는 좀 다른 소리가 난다고.”“기억이 나지 않는구나. 나도 이제는 잘 못 느끼겠고.”“저는 알겠네요. 저는 더 이상 코쇠 사람이 아니니까요.”소금은 자신의 가족에 대해서도 학교에 대해서도 묻지 ... ...
[과학뉴스] 머릿속에서 센서가 사르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없는 거예요.존 로저스 박사팀은 실제로 쥐의 두뇌에 이 센서를 넣고 두뇌의 정보를 얻는
데
성공했어요. 또한 쥐의 두뇌에선 염증이 발견되지 않아 이 센서가 생체에 대한 거부반응이 없다는 것도 밝혀졌지요. 존 로저스 교수는 “이 기술을 바탕으로 앞으로 몸 속에서 더 많은 신체 정보를 정확하게 ... ...
이전
451
452
453
454
455
456
457
458
4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