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 과학인가 사기인가 연구신뢰 흔드는 재현성 논란(上)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는 과정이다. 즉 유의확률을 얻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다. 그런
데
최근 여기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렇게 널리 이용되는 절차에 무슨 문제가 있는 걸까. 다음 호에서 영가설 검증과 유의확률의 허점에 대해 알아본다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수 있다(필라멘트 주변에 플라스마가 유지되는 시간이 번개처럼 짧고, 물건이 잘리는
데
는 그보다 긴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구현하기가 굉장히 힘들 것이다). 주변 기체를 어떤 것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플라스마의 색깔도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다이 기사들이 사용하는 녹색 광선검은 염소, ... ...
[Knowledge] 협력과 배신, 그 아슬아슬한 줄다리기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공 넘기기 게임에서 소외된 참가자들의 뇌를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으로 촬영했는
데
요. 심리적 고립으로 인해 활성화되는 부위는 신체적 고통을 느낄 때 활성화되는 부위와 동일했습니다. 그만큼 사회에서 누군가를 배신하고, 고립되는 것은 큰 아픔을 동반합니다.사회는 그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 ...
[Tech & Fun] 셜록홈즈 ‘세 사람의 징후’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1600N 이상의 힘을 가졌다는 겁니다.평균 110cm 정도의 긴 펜싱 칼은 거리감각이나 제어하는
데
훈련이 필요합니다. 범인이 이런 칼을 자유자재로 휘두를 수 있을까요. 하지만 칼의 길이가 3분의 1정도로 짧다면 이야기는 달라집니다. 김태완 한국 스포츠개발원 스포츠과학실 선임연구원은 “칼이 ... ...
[가상인터뷰] 벽 타기 선수는 발이 커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수 있지?도마뱀 : 제 발에는 수많은 작은 털들이 나 있어요. 이 털들과 벽 사이에는 ‘반
데
르발스 힘’이라는 것이 존재하지요. 이 힘은 아주 작은 크기의 힘으로, 털과 벽이 서로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작용한답니다. 아주 작은 크기의 힘이지만 발바닥에 나 있는 털이 무척 많기 때문에 이 작은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입 안 대고 풍선을 불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녹아 있는 기체가 바로 이산화탄소예요. 또한 조개껍
데
기에 염산을 떨어뜨리면 조개껍
데
기의 주성분인 탄산칼슘이 염산과 반응한 결과 이산화탄소가 생기지요. 산소가 충분한 환경에서 물질이 탈 때 생기는 기체도 이산화탄소랍니다.드라이아이스는 고체로 만든 이산화탄소를 말해요. ... ...
[지식] 최도훈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공존할 수 있도록 하는 생태학에 관심이 있어서 생태학과 밀접한 통계학을 공부해봤는
데
재미가 없더라고요. 하지만 수학의 유용성은 굉장히 중요해요. 바둑 두는 인공지능에도 수학이 있는 것처럼 수학이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많으니까요 ... ...
[소프트웨어] 응답하라, 1996! 20년간 사랑받은 명품 게임 바람의 나라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중요한 능력은 문제해결력입니다. 게임 개발을 하게 되면 매 상황 문제에 맞닥뜨리는
데
답은 하나가 아니고 여러 개입니다. 그중에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답을 찾을 수 있는 사람이 좋은 개발자지요. 따라서 문제해결력을 키우는 노력을 했으면 좋겠습니다. 만약 본인이 지적 호기심이 뛰어나고 ... ...
[Editor’s Note] 딴소리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기자는 ‘딥러너’다. 새로운 대상을 접했을 때 신경망을 재배열하고 가중치를 바꾸는
데
능하다(학습에 능하다는 말이다). 혜안을 보여준 인공지능 4파트도 좋지만, 시간의 정체에 대해 탐구하는 물리학 기사는 특히 지적 만족감을 채워줄 것이다. 송준섭 기자는 이번 달에 알파고를 취재하면서 ... ...
[과학뉴스] 새들도 문장으로 대화한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것이라고 추정했다. 그리저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언어가 발달한 과정을 알아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3월 8일자에 실렸다 ... ...
이전
453
454
455
456
457
458
459
460
4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