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반"(으)로 총 2,002건 검색되었습니다.
- RSA 암호의 미래는?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알고리즘으로 자리잡기도 했다. 2000년 9월 21일에 그 특허가 만료돼 현재는 이 알고리듬을 기반으로 다양한 암호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재밌는 사실은 RSA 방법을 처음 고안한 곳이 영국 정보통신본부인 ‘GCHQ’라는 비밀 기관이라고 한다. 이 획기적인 발명은 국가 최고 기밀로 분류돼 ... ...
- 귤을 많이 담으려면 〇〇〇 모양으로? 귤포장에 숨은 수학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좋은 예입니다. 이 연구원은 수학계에서 “부호이론의 오류정정부호, 암호학의 격자기반 암호에서도 구 쌓기 문제가 응용될 수 있다”고 소개합니다. 구 쌓기 문제의 응용 범위가 엄청나게 넓은 거죠. 물론 수학자들이 응용을 염두에 두고 구 쌓기 문제를 고찰하는 것은 아닐 겁니다. 지난 400년 동안 ... ...
- 모든 수의 근원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단위로 여겨졌다. 과거 정수론은 실용적이지 않은 분야로 생각돼 왔다. 그런데 수를 기반으로 하는 컴퓨터가 발달하면서 정수론을 이용해 여러 컴퓨터 기술을 만들 수 있다는 실용성이 입증돼 최근에는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다. 특히 소수는 암호와 보안에 많은 역할을 함으로써 소수 연구에 많은 ... ...
- [빅테크 기업들의 생성 AI 독주 속 START-UP 살아남는 방법] 뤼튼테크놀로지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주요 LLM들의 특징을 분석했다. 특히 LLM이 내놓은 대답을 언어학 대화 분석 이론에 기반해 명확성, 일관성, 공감능력 등 10대 지표를 활용해 분석했다.그 결과 GPT-4는 적절성과 대화 참여도에서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하이퍼클로바X는 완결성에서 GPT-4보다 높은 성능을 보였다. 대화하듯 정보를 찾을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 기초과학 vs. 응용과학 어떻게 다를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기초과학이 크게 주목받던 시절이었습니다. 오랫동안 쌓아 올린 기초과학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미국이 제2차 세계대전에 승리할 수 있었다는 주장이 미국사회에 널리 받아들여졌습니다. 눈에 보이는 성과를 바탕으로 기초과학 연구가 언젠가는 사회 혁신이 될 수 있다는 주장과, 부시가 보고서에서 ... ...
- [시사기획] 의사의 눈, 과학자의 손으로... 의사과학자가 걷는 길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온코크로스 대표는 동기들과 다른 경험을 했다. 대부분의 레지던트는 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석사 논문을 쓴다. 그런데 당시 김 대표의 지도교수가 “직접 실험을 해보라”고 권했다. 인문계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의대에 진학했던 김 대표가 실험과 연구에 처음 관심을 두게 된 계기였다. 관심이 ... ...
- [과동키즈] “꿈이 있다면, 자신을 믿고 도전하세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때문이다. 또한 현재의 연구는 지금까지 쌓인 학문 위에서 이뤄지기에, 먼저 그 축적된 기반을 내 것으로 삼아야한다. 학부 생활은 본격적인 물리학 연구를 위한 언어와 역사 공부의 연속이었다. 졸업 후 대학원에서 비로소 핵물리학 세계에 입문했다. 거대한 가속기 연구의 매력 핵물리학은 ... ...
- [특별기획] 중요한 일은 표면에서 일어난다 '금속 표면처리'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등의 전자 제품이 탄생한다. 홍 본부장이 “구리 도금은 전자 제품계의 인프라 스트럭쳐(기반 시설)”라고 표현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이때, PCB 제조의 첫 단계로써 필요한 부분에만 구리를 정확하게 도금하는 기술은 매우 중요하다. 도금이 덜되면 전류가 제대로 흐르지 않고, 도금이 과하면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기술정책이란 무엇일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국가, 기업 같은 답이 떠오르시겠지만, 처음부터 그랬던 것은 아닙니다. 근대 과학의 기반이 된 르네상스 시기 서유럽으로 가볼까요. 당시 과학자들은 크게 두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습니다. 귀족이나 재력가에게 후원을 받아 연구하거나, 아니면 본인이 돈이 많아 취미로 연구를 하던가요 ... ...
- [SF소설] 더 마더(THE MOTHER)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당시 그가 내세운 가설은 바로 ‘마더’의 기술이 양자물리학의 양자 얽힘의 원리에 기반을 두고 개발됐다는 것이었다.한 근원에서 태어난 한 쌍의 입자는 아무리 멀리 떨어져있어도, 심지어 수십억 광년 거리에서도 서로 얽힌 상태가 풀어지지 않는다. 그게 양자 얽힘의 기본 개념이다. 왜 다들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