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반"(으)로 총 2,0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과학동아 l2023년 12호
- 2022년 11월 30일 챗GPT 베타버전을 발표했다. 2020년에 출시한 GPT-3의 개량 모델 GPT-3.5를 기반으로 제작한 베타버전은 인간의 피드백을 활용한 강화학습, ‘RLHF(Reinforcement Learning from Human Feedback)’를 통해 언어모델의 수준을 한층 끌어올린 것이 특징이다. 챗GPT는 2023년 1 ...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유전체 연구를 위한 정확한 지도를 만드는 것과 같다”고 설명했다. 모든 유전체 연구의 기반이 되기 때문에, 참조 유전체 연구는 정밀할수록 유용하다는 뜻이다. 2022년 이전까지의 유전체 연구에 쓰인 참조 유전체는 ‘게놈 레퍼런스 컨소시엄의 38번 째 인간 빌드’, 약자로 ‘GRCh38’이다. 2013년에 ... ...
- [최신 이슈] 에너지·화학 산업에 불어온 ‘흰 물결’ 화이트바이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새로운 해결책으로 떠오르고 있다. 차형민 GS칼텍스 바이오퓨얼팀장은 “폐원료를 기반으로 바이오연료를 생산하는 화이트바이오 기술을 통해 화석연료로 생산되는 제품을 대체함으로써 도로〮해운〮항공 분야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 [Space Math] 우주선 위치 파악부터 우주 쓰레기 탐지까지 센서 기술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알아낼까? 지금까지 우주선의 위치는 지구를 중심으로 지상과의 통신이나 탐지 거리를 기반으로 파악해왔다. 하지만 최근 센서 기술의 발전으로 고속으로 회전하는 중성자별이 내보내는 전자기파인 펄서를 GNSS 위성과 같은 방식으로 활용하는 기술도 연구 중이다. 자전 주기가 일정한 중성자별의 ... ...
- [5년 후 과학은] 인류의 미래를 쌓아올릴 혁신 기술 '적층성형 기술'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유년기 때 모래나 찰흙 등을 빚어 재미난 형상을 만들어본 추억은 누구나 있을 것입니다. 겨울엔 눈으로 저마다 개성 있는 눈사람도 만들어보셨겠죠? 모래 ... 재직 중이다. 재료와 공정 간 상호 반응에 따른 특성 상관관계 해석을 기반으로, 금속 적층성형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hgk@kitech.re ... ...
- [최신 이슈] 세상 가장 무거운 동물? ‘페루세투스’가 말해주는 것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거대함’과 ‘무거움’을 나타내는 수치는 정확하지 않은 관찰과 모호한 추정치에 기반하는 경우가 많다. 기네스북의 ‘가장 큰 동물’ 항목에 등록된 대왕고래의 길이와 무게 수치는 1947년 3월 20일 남극해에서 잡힌 개체에서 나왔다. 체중이 측정되지 않은 33.6m 길이의 암컷도 관찰된 바 있는데, ... ...
- [노벨상 2023] 물리학상 - 100경분의 1초, 아토초로 원자의 이온화 순간을 포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강력장 물리학 연구의 기폭제가 됐다. 이런 분위기에서 아토초 펄스를 만들 수 있는 기반 연구는 자연스럽게 이어졌다. 아고스티니 교수와 같은 CEA 연구실에 있던 륄리에 교수와 그의 동료들은 1988년 1064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의 적외선 레이저를 이용해 고차조화파를 발생시키는 데 성공했다. ... ...
- 1차 프로젝트 엿보기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중요성을 주제로 대중이 참여하는 패널 토론 또는 공개 강연도 열 예정이에요. 언어 기반으로 수학사 탐구고대 및 중세 수학사 여름학교카린 셰믈라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원 연구책임자 수학사를 연구할 때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는 언어인데요. 고대나 중세시대의 수학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가장 ... ...
- [노벨상 2023] 화학상 - 양자점이 ‘빛’나기까지 끊임없는 질문이 있었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전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새로운 물성을 갖는 나노입자 합성 연구 및 합성된 양자점 기반 진단키트, 바이오이미징 등의 응용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jnpark@unist.ac ... ...
- [5년 후, 과학은] 슈퍼커패시터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미국 오리건대의 박사후 연구원을 거쳐 2016년부터 경북대에서 재직 중이다. 전기화학 기반의 다양한 에너지 저장장치용 소재를 주로 연구했으며, 특히 활성화 탄소와 배터리 양극재 개발에 특화된 연구로 주목받고 있다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