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한
은하수
hadsund
d라이브러리
"
하순
"(으)로 총 111건 검색되었습니다.
올여름 저녁은 금성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가깝다. 하지만 하루하루가 지날수록 점차 크기가 커지면서 모양도 반달을 닮아간다. 8월
하순
이 되면 금성은 완전한 반달 모양이 된다. 그리고 9월이 되면 크기가 점점 커지면서 초승달 모양으로 바뀐다.금성의 모양과 크기는 일정한 규칙을 가지면서 변해간다. 이같은 변화는 7월에서부터 시작해 ... ...
5월 새로운 혜성 이케야-장 관측 적기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용머리를 뜻하는 용자리 사각형을 지나가며 5월 중순에는 헤르쿨레스자리를 지난다. 5월
하순
에는 왕관자리로 이동한다.혜성은 달이 없는 밤하늘에서 제대로 그 모습을 볼 수 있다. 5월 중 달빛이 없는 기간은 5월 중순경이다. 따라서 이때 헤르쿨레스자리 주변에 위치하는 혜성을 주요 타깃으로 삼을 ... ...
8월 혹한 이겨내는 남극동물 이야기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밀려온 얼음덩어리들이 허옇게 얼어붙고 눈으로 덮인다.남극 둘레의 바다는 보통 3월
하순
부터 얼기 시작한다. 남극대륙을 둘러싼 바다인 남빙양의 상당부분이 얼어붙은 해빙이 된다. 필자가 있는 남극 세종기지 부근의 바다는 매년 어는 것은 아니지만, 얼게 되면 평균두께 60cm 정도로 언다. 설혹 ... ...
2. 지구 위협하는 블랙리스트 300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천단위 숫자 ‘1’ 대신 영문자 ‘A’를 쓴다. 예컨대 소행성 ‘A904 OA’는 1904년 7월
하순
에 첫번째로 발견된 소행성을 뜻한다. 그럼 네자리로 된 소행성 번호와 고유이름은 언제쯤 얻을 수 있을까.소행성이 충(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을 2-3회 통과한 이후, 네자리로 된 소행성 번호를 부여받는다. ... ...
우리 속 동물들의 스트레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빌미로 도태됐다. 그후 하마가 다시 들어온 때는 1957년. 네덜란드에서 온 어린 하돌이,
하순
이는 잘 자라 1968년부터 1982년 사이에는 무려 11마리의 새끼를 낳았다. 다시 그 새끼들도 번식을 순조롭게 해 일본과 국내 각 동물원에 팔려 나갔다.여하튼 하마들이 들어와 살면서부터 동물원이 지저분하고 ... ...
혜성을 어떻게 찾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월 밤하늘에 3년 만에 다시 혜성 하나가 나타나 밤하늘의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1999년 9월
하순
에 4번째로 발견된 혜성이라는 뜻인 ‘1999 S4’(S:9월 15-30일사이 기간) 리니어(LINEAR)혜성이 그 주인공이다. 이 혜성은 지구 접근 소행성의 조기 발견 탐색 연구로 많은 소행성을 발견하는 미국 뉴멕시코주에 ... ...
3월 하늘의 북두칠성 시계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피라미드에는 내부에서 이 별을 관찰할 수 있는 통로가 발견된다고 한다. 지난 1996년 3월
하순
초저녁에 대혜성 햐쿠다케가 투반 바로 옆에서 지구와 가장 가까워져 밝고 긴 꼬리를 보여주었던 대사건의 중심지이기도 하다.황도에 위치한 사자한편 북두칠성 국자 손잡이가 시작되는 부분에 있는 ... ...
1월 1일 0시의 자오선 찾기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뒤편으로 숨어버린다. 다시 2001년과 2003년에 밝아지며 모습을 드러낸다. 특히 2003년 8월
하순
에는 물병자리 속에서 15년마다 생기는 대접근 현상을 보여준다. 이때는 전 하늘에서 가장 밝게 빛나고(-2.9등급) 겉보기 크기도 토성보다 커서(25.1초) 작은 망원경으로도 화성의 표면 모습을 자세히 볼 수 ... ...
서리 맞은 단풍은 꽃 보다 붉지 않다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알 수 있다.지역의 고저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지만 우리나라 단풍은 대체로 9월
하순
부터 11월 상순까지 북쪽에서부터 남쪽으로 물들어 가는데, 첫서리는 평지의 경우 중부지방에서 10월
하순
, 남해안 지방은 11월 10일 경에 내린다. 서리가 내리는 시기와 단풍이 드는 시기가 거의 겹쳐 있어서 그런 ... ...
1. 장마는 약해지고 국지성 호우 등장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점차 힘을 얻어가고 있는 추세다.원인 밝히는 연구 서둘러야기상청에 따르면, 올해는 7월
하순
부터 일찍이 태풍이 발생하고 태풍의 발생지점도 예년의 북위 10-15도의 열대 해역이 아닌 북위 20도 근방의 해역에서 발달하는 새로운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한다. 또한 북태평양 기단이 세력을 확장하지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