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한
은하수
hadsund
d라이브러리
"
하순
"(으)로 총 111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월따라 다양한 모습 선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가장 높아 동방최대이각이 된다. 이때의 밝기는 0등급이다. 광도는 초순에 -0.3등급에서
하순
에는 0.7등급이 되며 시직경은 5.1초에서 8.6초로 변한다.수성과 토성이 서쪽하늘로 져버리고 밤의 반이 지나 1시경이 되면 동쪽하늘의 사자자리에서 목성이 빛나며 떠오른다. 광도는 11월 한달 동안 -1. ... ...
거꾸로 매달린 허영심 많은 왕비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이달의 행성금성/사자자리에 있게 되는데 초순경에는 아침 여명 때문에 보이지 않는다.
하순
경에는 -4.3등급의 밝기로 보일 것이다.화성/처녀자리에서 2등급으로 보인다. 중순 이후에는 저녁 황혼 속으로 사라질 것이다.목성/두번째 주 동안은 아침 여명 때문에 보이지 않으며 그 외에는 사자자리의 ... ...
바람을 멈추게 한 거문고 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22일에는 금성 곁을 통과한다.목성/게자리에서 사자자리로 옮겨가며 밝기는 -1.3등급이다.
하순
경에는 저녁 황혼 속으로 사라질 것이다.토성/0.3등급으로 염소자리에 위치한다. 27일에 충(衝-태양 지구 토성이 일직선상에 있게 되는 시점)이 된다.7월의 길잡이별여름철의 대삼각형눈부신 청백색의 직녀 ... ...
하늘을 거꾸로 걷는 사나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23일경엔 아주 밝아진 금성과 쌍을 이루게 된다.목성/게자리에서 -1.4등급으로 빛나며
하순
경에는 저녁의 황혼속으로 사라질 것이다.토성/염소자리에서 0.6등급으로 보인다. 자정 이후에 볼 수 있다.날씨가 더워지면서 더 밤이 아쉬워지는 계절이다. 밤하늘의 모습도 계절의 변화만큼이나 빠르게 ... ...
석기시대 목동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정도까지 접근한다.화성/ 쌍둥이자리에서 카스토르와 같은 밝기인 1.6등급으로 빛난다.
하순
에는 게자리로 옮겨가며 밝기는 1.8등급으로 약간 어두워진다.목성/ 게자리의 벌집성단(M44, 프레세페 성단)에 위치하며 밝기는 -1.6등급으로 점차 흐려진다.토성/염소자리에서 0.8등급으로 빛난다. ... ...
외래해충에 파괴되는 생태계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것으로 추정된다. 1년에 1회 발생하며 애벌레로 낙엽밑이나 땅속에서 겨울을 난 뒤 5월
하순
~6월 상순에 우화(羽化)한다. 성충은 솔잎의 기부사이에 6~7개씩 산란하며 알에서 깨어난 애벌레는 솔잎기부속으로 들어가 즙액을 먹으면서 서서히 벌레혹을 만든다. 이렇게 피해를 받은 솔잎은 자라지 못하고 ... ...
수컷은 훨훨, 암컷은 자루 속에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볼 수 있는 기관들의 형성도 눈에 보이지 않는다.번데기는 약 1개월이 소요되는데 5월
하순
에서 6월 상순에 번데기로부터 우화(羽化)한다. 우화가 이루어 질 때는 도롱이의 하단 구멍에 번데기의 머리를 내밀고 번데기속에서 왕도롱이나방이 밖으로 나오게 되는데, 이 때는 온몸의 힘을 날개로 보내 ... ...
환경파괴 없는 남극개발에 나설 때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남극잔디도 발견됐다.7월초에는 기지앞바다에 두께 60㎝의 얼음이 얼었다. 이 얼음은 9월
하순
폭풍으로 깨어져 나갈 때까지 온통 바다를 덮었다. 이때를 이용해 연구원들은 얼음에 구멍을 뚫고 해저퇴적물을 채집했다. 또 4시간 간격으로 24시간 연속 해수의 수온과 염분을 측정했으며 식물성 동물성 ... ...
천적 내가 살기에 남을 죽인다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흔히 볼 수 있다. 그러나 배추벌레에 기생하는 배추벌레고치벌도 이 시기를 놓칠세라 4월
하순
에서 7월까지 십자화과(十字花科) 식물이 있는 밭에 날라 온다. 배추벌레고치벌이 산란을 하게 되는 대상은 배추벌레가 2~3령기가 되었을 때 배추 벌레몸벽에 산란관을 꽂고 1회에 20~30개의 알을 낳는다. ... ...
올여름 날씨 냉해 등 위험 예상돼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홍수와 가뭄, 고온과 저온현상이 있었던 것이 사실.중앙기상대는 "올여름 장마는 6월
하순
에 시작하여 7월 한달 동안 계속되겠으며, 장마 기간중 강우량은 평균 2백~3백50mm로 예상된다"고 밝히면서 "강우량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심하여 집중호우도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기상학의 발달은 2~3일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