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순"(으)로 총 1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왕가의 가족회의 세페우스자리과학동아 l1999년 08호
- 가장이다. 북극성에 가까워 일년 내내 지지 않는 주극성 별자리지만 8월 하순에서 9월 하순 사이에 가장 잘 볼 수 있다.알파(α)별은 2.4등성으로 세페우스의 ‘오른 손’ 알데라민(Alderamin)인데 지축의 세차운동 경로에 있어 4천5백년 뒤에는 이 별이 북극성 노릇을 하게 된다.우주의 등대 세페이드 ... ...
- 삼복더위와 누렁이의 수난과학동아 l1999년 07호
- 이열치열로 더위 쫓기하지가 6월 22일 경이니까 삼복더위는 양력으로 7월 하순에서 8월 하순까지 약 30-40일에 해당되는 기간의 더위이다. 직장의 휴가철이요, 학교의 방학 기간이니 그야말로 한창 더운 때다. 태양의 고도로만 따지면 하지 때 가장 강한 태양빛이 내리 쬔다. 하지만 지구가 데워지는데 ... ...
- 하늘에서 가장 긴 별자리과학동아 l1999년 03호
- 2월 초순 자정무렵에 남중하고, 꼬리 부분은 초여름 별자리인 천칭자리까지 뻗어 4월 하순에 남중하는 매우 긴 별자리이기 때문에 한번에 보기가 더욱 쉽지 않다. 한편 이 곳은 황도에서 멀지 않아 많은 혜성들이 발견되는 곳이기도 하다. 20세기의 가장 유명한 혜성인 이케야-세키 혜성도 1965년 9월 1 ... ...
- 한국 최초 소행성 발견과학동아 l1998년 12호
- 반증일 뿐이라고 개탄하는 사람도 있다.이번에 발견된 소행성 1998SG5는 올해 9월 하순에만 발견된 1백32번째 소행성이었다. 이미 올 해만 하더라도 이씨의 발견 이전에 1천여개가 넘는 소행성이 새로 발견 보고됐다. 천문대의 박승 철 연구원에 따르면, 90년대 초까지만 해도 한해 약 5백여개의 ... ...
- 살아있는 화석과학동아 l1998년 12호
- 서식지가 발견됐다는 반가운 소식이 들린다. 고해양환경에 대한 열쇠지난 9월 하순 미국 CNN 방송은 인도네시아 셀레베스섬 북쪽 해안에서 실러캔스가 발견됐다는 놀라운 보도를 했다. 지금까지 코모로 군도 근해에서만 생존한다고 생각됐던 실러캔스가 1만km나 떨어진 곳에서 발견된 것이다. 그 ... ...
- 1. 주도세력 없는 공백기의 게릴라성 호우과학동아 l1998년 09호
- 그러나 이때부터는 오오츠크해기단의 세력이 약화돼 장마전선도 점차 약해진다. 7월하순에는 만주지역까지 북상해서 장마전선은 소멸하고, 본격적인 여름날씨가 시작된다 ... ...
- 전갈이 뜨면 오리온은 지고과학동아 l1998년 07호
- 더위는 더욱 심해지고 있지만 밤은 하지가 지난 뒤라 아주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 지난달 하순 부터 시작된 장마가 이달 중순까지 계속되며 밤하늘을 구름으로 가리고 있고, 상순과 중순에는 달빛도 강해 관측회를 떠나기 어려운 시기이다. 실제 관측여행을 떠날 수 있는 날은 하현이 지나는 17일 ... ...
- 우주의 심연 은하들의 천국과학동아 l1998년 05호
- 스피카를 제외하고는 밝은 별이 없어 처녀의 모습을 그려내기는 쉽지 않다. 태양은 9월 하순에서 11월초까지 수확의 계절에 처녀자리를 지나는데, 이 때문에 왼손에 밀 이삭을 들고 있는 처녀의 모습은 고대부터 아테나, 아르테미스, 이시스 등 농업과 수확의 여신으로 그려져 왔다.동양에서는 28개의 ... ...
- 병주고 약주는 옻나무과학동아 l1998년 05호
- 채집)이나 말칠(8월 하순에서 9월 하순 사이에 채집)보다 성칠(盛漆: 7월 하순에서 8월 하순 사이에 채집한 것)이 채집량도 많고 품질도 좋다. 사려져가는 칠기문화옻칠은 살아있는 도료다. 일반 인공 화학도료는 건조한 후에 색이 차츰 퇴색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에 옻칠은 비록 처음에는 색이 잘 ... ...
- 봄철 꽃가루 알레르기과학동아 l1998년 03호
- 소나무와 양버들 화분들이 가장 많이 관찰됐다.잔디를 비롯한 목초류의 화분은 4월 하순부터 11월까지 발견됐으나, 5월 중순에 가장 많이 채집됐다. 쑥, 두드러기 쑥, 명아주, 비름, 환삼덩쿨, 토끼풀, 질겅이, 기린초 등의 잡초 화분은 7월부터 시작해 겨우네 관찰되지만 9월 중순부터 10월 초순에 가장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