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요"(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컴퓨터 속에서 공룡이 ‘쿵쿵쿵’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2호
- 몸무게도 80톤 정도 나가는 거대한 4족 보행 공룡이에요. 데스크탑 컴퓨터가 3만 대나 필요할 정도로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정교한 프로그램으로 재현한 결과, 아르젠티노사우르스가 이동하는 속도는 초속 2m, 시속으로 바꾸면 7.2㎞ 정도라고 해요.실제로 있는 뼈를 바탕으로 움직임을 시뮬레이션한 ... ...
- 건강한 색깔 입힌 기능성 과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1호
- 과일이 몸에 좋은 이유과일은 비타민이 풍부해요. 비타민은 우리가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영양소지요. 식물은 비타민을 스스로 만들 수 있어요. 과일에는 특히 비타민A와 C가 많아요.사과나 배처럼 섬유소가 많은 과일을 먹으면 똥을 시원하게 눌 수 있어요. 우리 몸에서 소화할 수 없는 섬유소가 ... ...
- 치르치르의 응답하라 외계생명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1호
- 지적 생명체들이 신호를 보내는 바람에 우리가 신호를 받는 데 지구 나이 이상의 시간이 필요할 지도 모르고요. 하지만 언젠가는 반드시 만날 수 있을 거라고 믿어요. 어쩌면…, 이미 여러분 옆에 있을지도 모르지요. 이상, 외계생명체를 찾는 ‘지구 거주’ 외계생명체 치르치르가 전해드렸습니다. ... ...
- 전자칠판에서 스마트폰으로 ‘쓱’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1호
- 한답니다. 이러면 웹사이트에 있는 동영상을 수업에 바로 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한 부분만 선택해 연결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로 바로 보낼 수도 있지요.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집에서 그대로 보며 복습할 수도 있답니다. ETRI는 이 기술을 학교에서 쓰는 전자칠판에 사용할 예정이라고 해요. ... ...
- 너무 춥고, 너무 더운 날씨 북극에서 답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0호
- 부분의 정확한 얼음 두께도 모르고 그냥 위성으로 찍은 사진만 보고 그렇게 겁먹을 필요 없어요. 날씨에 큰 영향을 미치는 건 얼음 면적보다 얼음 두께라고 들었어요. 아무튼 제 생각엔 이번 보도에 다들 그렇게 큰 신경 쓰지 않아도 될 듯합니다만….이혜림 기자 : 선배~! 그래도 저는 계속 신경이 ... ...
- 과학수사 전문요원, ‘몬지 잘모르게슈’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0호
- 참석자 중에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아무도 수사에 참여할 수 없었다.“그래서 썰렁홈즈가 필요하다는 거죠? 알겠습니다. 그런데 도난당한 물건은 뭔가요? 네? 뭐라고요? 황금으로 만든 닭 ‘아무도모르계’라고요?”미션1 이건 누구 지문일까?“저는 회의 진행을 담당하는 과학수사 전문가 ‘몬지 ... ...
- 제9의 예술 만화에 빠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9호
- 유행과 같아서 아이들이 자라면 저절로 찾는 책도 달라져요. 미리 걱정하고 못 보게 할 필요가 없는 것이죠. 물론 부모님이 좋은 만화를 찾는 안내자가 되어 준다면 가장 좋겠죠.그래서, 어린이과학동아가 탄생!안녕하세요? 세계의 가장 핫한 뉴스만을 전달하는 과학특파원 황당맨 기자입니다. ... ...
- 일본산 해산물은 입국 거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9호
- 지난 9월 6일 우리나라 정부는 후쿠시마를 중심으로 한 일본 동북부 현 8곳에서 잡은 수산물의 수입을 전면 금지하겠다고 밝혔어요.2011년 폭발한 일본 후쿠시마 원전이 ... 물질은 우리나라를 포함해 전 세계에 계속 영향을 미칠 거예요. 앞으로도 새로운 조치가 계속 필요할 것 같네요 ... ...
- 백두대간에는 신갈나무도 있고, 하늘다람쥐도 있고!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9호
- 녹색연합이 만든 백두대간 생태지도라고요. 설마 모르고 오신 거예요? 그럼 설명이 좀 더 필요하겠네요. 백두대간은 백두산에서 지리산까지 1400㎞ 넘게 이어지는 우리나라의 중심 산줄기예요. 남한 쪽에는 강원 향로봉에서 지리산 천왕봉으로 이어지는 684㎞ 구간이 있지요. 백두대간 생태지도는 ... ...
- 조상님도 뵙고 까마득한 후손도 만나고 한가위 타임머신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8호
- 크고 두꺼워진다.가느다란 다리 이동수단이 편리해지면서 더 이상 오래 걷거나 달릴 필요가 없다. 가느다랗게 퇴화했다.퇴화한 발 다리와 함께 퇴화했다. 발가락 개수도 줄었다.120살까지 길어진 수명 인공 장기가 개발돼 과거 불치병이라 불렸던 질환들이 치료가 가능해졌다. 하지만 지나친 ... ...
이전5055065075085095105115125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