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요"(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_ 우주를 팽창시키는 힘, 암흑에너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적이 있었다. 불과 6년 전이었는데도 수백만 개의 은하 적색편이를 정밀하게 관측할 필요가 있다는 부분에서 흄 펠드만 같은 전문가도 난색을 표했다.하지만 수천 개의 광섬유를 집적해, 수많은 은하의 분광을 동시에 관측하는 광섬유 분광학이 등장하면서 불가능이 가능으로 바뀌기 시작했다. 이 ... ...
- PART2 물 건너 온 한국 음식 김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오랫동안 먹기 위해서는 적숙기에 이른 김치를 그 상태로 오랫동안 보존하는 기술이 필요했다. 조상들은 땅을 파서 김장독을 묻었고, 현대에는 김치냉장고를 개발했다. 유산균 발효가 온도와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김치는 pH 4.5까지는 빠르게 발효가 진행되다가 이 시기부터 비교적 느린 속도로 ... ...
- 시간여행이 만든 잔혹한 스릴러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영화의 가치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과학적으로 가능한 상상력이 필요하다”고도 강조했다. 자칫 잘못하면 과학적으로 오류가 있는 지식을 대중에게 심어줄 수 도 있기 때문이다. 사실 ‘11시’에서 ‘웜홀을 통해 시간여행이 가능할까’라는 질문은 크게 중요하지 않다. ... ...
- 어른인데… 나도 혹시 ADHD?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하지만 아직 사람을 대상으로 회복을 실험한 연구 결과는 없어요. 계속 주의와 연구가 필요한 이유죠.”아직 소아청소년정신과에서 사용하는 교과서에는 스트레스가 ADHD의 원인이라는 내용은 없다. 하지만 스트레스는 지금도 한창 연구가 진행중인 분야이며, 의미 있는 연구 결과도 쌓이고 있다. ... ...
- 필리핀 슈퍼태풍, 한반도에도 온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회전은 태풍발생의 충분조건은 아니지만 따뜻한 해수면 온도와 함께 매우 중요한 필요조건이다. 한반도 태풍 점점 세지고 있다필리핀에 사상 최악의 태풍이 왔다고 우리나라에도 슈퍼태풍이 오리라 생각하는 것은 지나친 걱정이 아닐까. 그렇지 않다. 우리 연구팀이 미국, 일본, 중국 세 나라의 ... ...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할 일은 다양성을 늘리는 게 아니라 우주의 무질서도를 줄이는 것이다. 고로 정화는 꼭 필요하다. 진화선의 증가는 우주의 파멸을 앞당긴다. 따라서 정화는 우리의 의무, 피할 수 없는 의무이다. 진화는 이미 포화 상태에 다다랐다. 다양성은…….나는 무의식적으로 순간이동을 멈췄다. 정말일까? ... ...
- 서울공대 카페 12 건설환경공학부 김호경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현장소장처럼 강한 리더십과 카리스마가 필요한 자리도 있지만, 연구소처럼 꼭 그럴 필요가 없는 자리도 많아요. 앞으로 점점 더 길은 다양해질 것이고요. 저부터 그렇지 않나요?”부드럽고 온화한 표정을 가진 김 교수의 말은 묘하게 설득력이 있었다. 수십 km에 이르는 초장대교량도 연구실에서 ... ...
- 재미있는 전공탐험-강풍에도 끄떡없는 튼튼한 다리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도시환경, GPS시스템, 상하수도, 교량, 댐, 터널, 도로 등 도시가 원활하게 돌아가기 위해 필요한 대부분의 시설물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는 건설관리, 공간정보공학, 교통공학, 구조공학, 도시계획 및 설계, 수공학, 지반공학, 환경공학의 8개 분야로 구성돼 있습니다 ... ...
- [12월]도전! 과학동아 청소년 기자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준비 “외출을 할 때에도 패딩을 들고 나가지 않으면 안 되는 겨울이 왔다. 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내복, 그 중에서도 발열내의다. (…) 히트텍은 우리 몸의 미세한 수분을 흡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흡습발열의 원리를 이용한다. (…) 흡습발열 외에 다른 원리를 이용한 발열내의는 없을까? 첫째로 ... ...
- Part 2_ 보이지 않는 68%의 수수께끼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12호
- SNLS, SDSS-II 등은 2세대로 나뉘었다. 2세대까지는 앞으로 암흑에너지의 정체를 밝히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지 가능성을 타진하는 수준이었다. 결과는 긍정적이었다. 암흑에너지 자체에 대한 이야기가 가능해지는 건 2010년대에 시작된 3세대 연구부터다. SDSS에는 우리나라 고등과학원도 1 ... ...
이전508509510511512513514515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