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요"(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위생해충에 대한 오해와 진실, 진드기는 억울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생물들이 죽고, 환경이 오염되거나 생태계가 파괴되는 피해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답니다." -용태순(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환경의생물학교실 교수) 빨간 피를 좋아하는 친구들 이제 내가 왜 ‘살인진드기’가 아닌지 알았겠지? 우린 풀숲에 살고 있던 야생진드기들 중 한 종류일 뿐이라고 ... ...
- [매스미디어] 세이빙 산타 산타의 썰매를 지켜라!수학동아 l2013년 12호
- 특수상대성이론은 처음부터 모든 물체의 속도가 항상 일정하다는 조건이 꼭 필요하다. 그러나 이 쌍둥이의 경우, 우주선을 탄 언니의 속도가 변한 셈이다. 따라서 시간 차이를 계산하는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을 적용할 수 없다.산타 썰매의 경우도 앞서 살펴본 것처럼 ‘어린이와 산타의 ... ...
- 미래의 선택, 통계로 결정한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많이 들어 봤을 거예요. 스펙이란 ‘specification’의 줄임말로,구직자들 사이에서 취업에 필요한 정보인 학력, 학점, 자격증 등을 뜻하는 말로 통해요. 구직자들은 원하는 곳에 취업하기 위해 스펙 쌓기 열풍을 몇 년째 이어가고 있어요.그렇다면 사람들은 왜 이렇게 스펙에 집착하는 걸까요? 바로 ... ...
- 포경수술 좋다 vs 나쁘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해야 할까, 말아야 할까? 포경 수술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하는 게 유익하다는 주장과 의학적인 필요성이 딱히 없다는 주장을 들어보면 각자 ... 없기 때문이 아닐까. 그렇다면 굳이 해야 한다고, 하지 말아야 한다고 핏대 올려서 싸울 필요가 없다. 각자 취향(?)에 맞게 선택하면 될 일이다 ... ...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할 일은 다양성을 늘리는 게 아니라 우주의 무질서도를 줄이는 것이다. 고로 정화는 꼭 필요하다. 진화선의 증가는 우주의 파멸을 앞당긴다. 따라서 정화는 우리의 의무, 피할 수 없는 의무이다. 진화는 이미 포화 상태에 다다랐다. 다양성은…….나는 무의식적으로 순간이동을 멈췄다. 정말일까? ... ...
- 한택식물원에서 즐기는 풋풋, 매콤 우리 산나물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같은 산나물에는 특히 비타민A가 많다고 해. 하루 한 번만 반찬으로 먹으면 하루에 필요한 비타민A를 모두 채울 수 있을 정도거든.산나물이 천연 비타민제인 셈이구나! 나, 여기 있는 산나물 다 먹어 볼래!그런데 서연아, 산나물을 캘 때 주의할 점이 있어. 산나물을 꼭 닮은 독초가 있거든. 둘을 잘 ... ...
- [생생 포토 뉴스] 고등과학원, 국내 최초 수학난제연구센터 설립수학동아 l2013년 12호
-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힘을 모으려면 이를 뒷받침해 줄 실제적인 환경과 여건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고등과학원은 수학난제연구센터를 통해 국내 수학계에게 새로운 연구의 장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난제를 중심으로 한 국제적인 교류가 활발해지길 기대하고 있다.수학난제연구센터장을 겸직하고 ... ...
-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제안되는 라그랑주점애니메이션 을 보면 우주 거주지를 만들어 기타 행성들로부터 필요한 여러 자원을 캐내고 도시를 건설하는 내용이 나온다. 또한 우리나라의 만화 도 고정된 지점에 띄워진 우주정거장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각종 SF ... ...
- 마지막회 폴의 선택은?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수학을 즐거워하는 마음도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지. 너희들 생각은 어때? 정말 수학이 필요한 거니?”폴리스와 하루, 피타는 어떤 답변도 할 수 없었다. 그저 폴의 선택을 믿고 따르는 수밖에 없었다. 폴이 결심을 내린 듯, 가운데 떠 있던 무한대 기호로 손을 내밀었다. 그리고 기호에 손이 닿는 ... ...
- Part 1_ 우주를 팽창시키는 힘, 암흑에너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적이 있었다. 불과 6년 전이었는데도 수백만 개의 은하 적색편이를 정밀하게 관측할 필요가 있다는 부분에서 흄 펠드만 같은 전문가도 난색을 표했다.하지만 수천 개의 광섬유를 집적해, 수많은 은하의 분광을 동시에 관측하는 광섬유 분광학이 등장하면서 불가능이 가능으로 바뀌기 시작했다. 이 ... ...
이전5075085095105115125135145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