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 학과 뭘 배우지?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출신이 무려 36명이야. 공학계열 1위라고!WORST 지방근무는 선택 아닌 필수!취직은 잘 되는데 지방근무가 많다는 게 함정이야. 대다수 화학공장이 해안을 따라서 지방에 있거든. 그리고 위험한 화학공장에서 일할 경우 안전을 위해 다소 위계질서가 강할 수도 있어. 생산직 근로자들을 잘 관리하는 ... ...
- PART2 - 군집로봇 뇌 속엔 무엇이 들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해양에서 임무 를 수행하기 위해 수많은 전자장치를 갖추고 있는데, 실 험 전날 점검하는 데만 모든 팀원들이 꼬박 밤을 새야 한다. 아무리 꼼꼼히 점검해도 막상 바다에 가면 꼭 말 썽이 일어난다.앞으로는 실제 로봇을 통한 검증뿐만 아니라 야외의 어떤 환경에서도 똑같이 작동하는 군집 알고리듬 ... ...
- ❷ 일반상대성이론 - 절친 수학자가 열어준 아인슈타인의 기적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상자보다 약간 강한 가속도로 낙하한다. 따라서 처음에는 세 공이 평행하게 움직였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멀어진다. 이것이 휘어진 시공간의 증거다. 지구의 질량에 의해 지구 주위 시공간도 굽어진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 과학과 ‘썸’탄 수학 6❶ ... ...
- 야구공 뇌는 어떻게 칠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조용히, 평화롭게 중계를 할 수 있겠네요. 이 분들이 가는 와중에도 제게 쪽지를 남겼는데, ‘설명한 내용은 다 분명한 사실이다’라고 썼군요. 그럼 무슨 사기를 치고 싶었던 걸까요. 그냥 야구가 좋았던 걸까요. 아무튼…. 노던리그의 4회 초 공격 시작합니다. 해켈 선수 마운드에 오릅니다. 타자 ... ...
- 카카오톡 창업자도 산업공학과 출신과학동아 l2014년 08호
- 특히 확률통계, 미적분, 행렬을 이용한 선형대수를 잘하면 산업공학을 공부하는 데 매우 유리합니다. 그렇지만 이런 수학은 모두 대학교 학부 과정에서 배울 수 있고, 지금은 자신이 없어도 열심히 하면 충분히 보완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
- PART 2. 파도에도 ‘클라스’가 있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이 파가 통과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15분이므로 바다에 떠있는 배는 1m를 오르내리는 데 15분이나 걸린다. 이쯤 되면 자잘한 다른 파도에 계속 흔들리기 때문에 정작 배 위에서는 이 파가 지나가는 것을 잘 느끼지 못한다. 이 파도가 중간에 다른 요인으로 소멸하면 다행이지만 육지에 도달하면 어떻게 ...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1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잘 휘면서도 충·방전을 1만 번 반복할 수 있는 배터리를 만드는 데 성공해 저널 ‘나노레터스’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딱딱한 광물인 운모로 만든 기판 위에 양극재료인 ‘리튬코발트산화물’을 얇게 층층이 쌓아 올려 700℃로 열처리했다. 그 뒤 운모 기판을 떼어내자 남은 ... ...
- [과학뉴스] 쿼크 6개로 이뤄진 新 입자 발견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측정기를 통해 이 각도를 재 이 가운데에서 이중중입자의 붕괴 생성물을 검출해내는 데 성공했다. 독일 국가핵융합연구소 제임스 릿만 소장은 “이 입자가 존재한다면, 다른 특이한 상태의 입자도 충분히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 ...
- 날조 의혹 STAP 세포 논문, 결국 철회하기로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게재된 논문 두 편 중 STAP 세포의 ‘만능성’이 담긴 논문을 자진 철회하기로 한 데 이어 이번에 같이 실렸던 나머지 한편마저 철회하기로 하면서 결국 STAP 세포 연구는 원점으로 돌아가게 됐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복수의 관계자를 인용해 “오보카타 연구주임이 논문의 다른 저자인 찰스 버캔티 ... ...
- [hot science] 달의 여신의 눈빛, 루나 스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연구를 제안했다. 빛은 달 표면에서 표토 입자에 부딪혀 반사되거나 산란, 흡수되는데, 그 중 반사된 빛의 편광을 분석하면 표토 입자의 크기를 알 수 있다. 김 교수팀은 15cm 반사망원경으로 달 앞면 전체의 편광 지도를 만들고 지상 실험을 통해 검증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심채경 연구원은 “편광 ... ...
이전5385395405415425435445455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