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1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잘 휘면서도 충·방전을 1만 번 반복할 수 있는 배터리를 만드는
데
성공해 저널 ‘나노레터스’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딱딱한 광물인 운모로 만든 기판 위에 양극재료인 ‘리튬코발트산화물’을 얇게 층층이 쌓아 올려 700℃로 열처리했다. 그 뒤 운모 기판을 떼어내자 남은 ... ...
맨틀에 제2의 바다가 있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이번에는 미국 대륙 아래의 지진파 관측 자료를 통해 맨틀이 실제로 녹는지도 확인했는
데
, 예측한 대로 전이지대 아래에서 맨틀이 녹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슈만트 교수는 “지하에 바닷물 정도의 물이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는 뜻”이라며 “다른 대륙의 자료를 추가로 조사할 ... ...
남성미 물씬 사각턱, 이유는 ‘강펀치’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턱을 갖게 된 것이라고 추정해왔다. 하지만 이 가설은 남성의 얼굴형은 각진 경우가 많은
데
비해 여성은 갸름한 얼굴형이 많은 이유를 설명할 수 없었다. 또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큰 어금니로 과일 등 부드러운 음식을 주로 먹은 것으로 나타난 점과도 들어맞지 않는다 ... ...
십자매는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이전보다 커졌다. 그 결과 십자매 수컷은 점점 더 복잡한 노래를 부르게 됐다. 그런
데
이런 과정은 낯익지 않은가. 사람이 정착해서 사회를 구축하는 과정과 대단히 비슷하다. 새장 대신 사회가 됐을 뿐, 포식자의 위험과 채집의 노고, 잡종 교배의 위험에서 해방됐다는 점은 같다. 혹시 사람 역시 ... ...
[Life & Tech] 한여름에 더운 바람이 솔솔~ 제습기의 불편한 진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제습기의 소비전력이 적다는 것도 오해다. 일반 가정용 냉장고의 소비전력이 100~200W인
데
비해 제습기의 소비전력은 200~300W로, 거의 두 배다. 동일 면적에 사용하는 에어컨과 소비전력이 비슷하다. 일단 가동시키면 제습기나 에어컨이나 전기를 많이 먹기는 마찬가지라는 얘기다. 그렇다면 소비전력 ... ...
세계에서 가장 얇은 다이아몬드 같이 만들래요?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것보다는 직접 연구에 참여하며 사람들과 소통하는 것이 앞으로 과학자의 길을 걷는
데
큰 도움이 된다”고 말한다. 이를 위해 내년부터 루오프 교수가 직접 대학생을 지도할 계획도 갖고 있다. 세계적인 학자에게 대학생 시절부터 직접 가르침을 받을 수 있는 기회인 셈이다. 외국으로 박사 학위를 ... ...
양자를 훔친 악동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사형이 집행됐다. 플랑크는 모든 것을 잃었지만 전쟁이 끝난 후 독일 과학을 재건하는
데
여생을 바쳤다. 전쟁이 끝난 후 독일 과학자 대부분이 국제과학계로부터 왕따를 당한 반면, 끊임없이 나치에 저항했던 플랑크만은 예외였다. 그의 이름을 딴 막스플랑크연구소는 이제 독일을 대표하는 ... ...
PART 2. 파도에도 ‘클라스’가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이 파가 통과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15분이므로 바다에 떠있는 배는 1m를 오르내리는
데
15분이나 걸린다. 이쯤 되면 자잘한 다른 파도에 계속 흔들리기 때문에 정작 배 위에서는 이 파가 지나가는 것을 잘 느끼지 못한다. 이 파도가 중간에 다른 요인으로 소멸하면 다행이지만 육지에 도달하면 어떻게 ... ...
[과학뉴스] 쿼크 6개로 이뤄진 新 입자 발견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측정기를 통해 이 각도를 재 이 가운
데
에서 이중중입자의 붕괴 생성물을 검출해내는
데
성공했다. 독일 국가핵융합연구소 제임스 릿만 소장은 “이 입자가 존재한다면, 다른 특이한 상태의 입자도 충분히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 ...
빛으로 물질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만들고, 이를 다시 레이저의 빛(또 다른 광자)과 충돌시켜서 전자-양전자 쌍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마침내 빛에서 물질이 만들어진 것이다. 당시 레이저를 2만 번 쏠 때 약 100개의 전자-양전자 쌍이 만들어졌다. 하지만 이 결과는 정확히 그림➋와 같은 브라이트-휠러 과정은 아니다. 레이저의 빛이 ... ...
이전
540
541
542
543
544
545
546
547
5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