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공부의 적❷ 스마트폰 공부를 잘하려면 스마트폰을 버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완벽해지지. 영국 런던대학교의 제인 워들 교수는 우리 몸이 습관을 확실하게 익히는 데까지 평균 66일 걸린다는 사실을 알아냈어. 66일 동안 스마트폰을 멀리 하고 공부 습관을 익히면 그 다음부터는 때가 되면 밥을 먹듯 공부할 수 있다는 거야.이제 스마트폰을 이기고 공부를 잘할 수 있겠지? ... ...
- PART 1 - 과학기자가 예측한 브라질 월드컵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한 방에 12명씩 16개 방이 있었다). 같은 방 친구들과 말랑말랑한 공으로 열심히 연습했는데, 정작 시합 때는 옆방에서 가져온 딱딱한 공에 적응을 못해 패한 적이 있다. 경기가 끝나고 ‘공 때문에 졌다’고 아쉬워했던 기억이 있다(실력 때문에 진 것은 절대 아니다!).월드컵에서도 비슷한 일이 ... ...
- [과학뉴스] ‘불로영생의 약’은 젊은 피?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직접 연결하지 않고 젊은 피를 여러 번 주사했을 때도 ‘회춘’ 현상이 비슷하게 나타난 데다, 피를 가열한 후에 수혈한 경우에는 효과가 없었기 때문이다. 가열은 단백질을 손상시킨다. 신하 교수팀은 단백질의 정체도 밝혔다. 뇌와 근육, 혈관의 기능에 연관된 GDF11이라는 단백질로, 이 단백질은 ... ...
- [과학뉴스] 고층빌딩에 불나면? “화장실로 대피!”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고층 아파트에서 불이 났을 때 탈출할 수 없다면 화장실로 피하는 걸 고려해 보자. 국내 연구진이 화재시 화장실을 대피공간으로 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했다.한국건 ... “양로원, 소아병원 등 행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있는 시설에서도 피난시 안전을 확보하는 데 효과적이다”고 설명했다 ... ...
- [Life & Tech] 암세포만 때려잡는 마법 방망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많은 약품의 성질을 온전히 이해하지 못한 채로 산업계에서 쓰기 시작했는데, 나노기술 역시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미리 예방해야 한다”고 말했다. 나노입자가 어떤 영향을 주는지 잘 알지도 못하는 사이에, 먼저 퍼져버리는 일이 없기를 바란다 ... ...
- 매년 쥐 100마리 신체검사 하는 독일마우스병원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개발팀 홀게르 마이어 박사가 설명했다. 그는 생물학을 전공하고 지금은 생물학 데이터베이스를 축적하는 일을 하고 있다. 내내 놀라워하던 김일용 교수가 기자에게 말했다.“당뇨와 대사질환 전문 병원으로 거듭날 것”현재 독일마우스병원은 새로운 기로에 놓여 있다. 거의 모든 돌연변이 쥐가 ... ...
-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씨가 있다는데 과학자들은 아직 나이가 확실하지 않다며 인정하지 않고 있나 봐. 그런데 너, 나랑 엄청 닮은 것 같아. 혹시 잃어버린 막내 동생?우와~! 드디어 내가 누군지 알아냈어! 내가 700년이나 자고 잠에서 깨어난 연꽃씨였다니! 지금은 이렇게 까맣고 못생겼지만 예쁜 꽃이 될 수 있다니 행복해. ... ...
- “볼펜부터 휴대전화까지, 화학이 없는 곳이 있던가요?”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들어갔지요. 또 유학을 준비하면서 잠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연구한 적이 있는데, 거기에서 연료전지라는 말을 우연히 들었습니다. 그때가 25년 전이니, 국내에는 아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어요. 그래서 미국에 가서 그 쪽으로 진로를 정하고 공부하고 왔습니다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수학 산책 마이클 아티야의 수학 세계수학동아 l2014년 06호
- 디랙이 전자 방정식을 기술할 때에도 AB+BA=0 꼴의 등식이 성립하는 수 체계가 필요했는데, 다행히 19세기에 이미 대수학자 그라스만과 클리포드에 의해서 발견돼 있었다. 그리고 이런 이상한 대수가 결국 전자의 스핀을 설명한다는 사실도 디랙이 밝혀냈다.3월호에 이야기했듯이 추상적인 사고로부터 ... ...
- INTRO 위성 요리사를 위한 7가지 레시피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이들이 모여서 위성이 될 가능성도 있다. 얌전히 트랙을 돌던 개들이, 간식을 보고 한 데 뒤엉켜 달려들다 트랙을 벗어나면 그게 위성.마치 쌍성처럼, 두 소천체가 서로의 주위를 도는 경우가 있다. 이들이 행성 주위를 지날 때, 중력에 변화가 생기며 하나는 에너지를 잃고 행성에 빨려 들어 위성이 ... ...
이전5425435445455465475485495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