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 과학기자가 예측한 브라질 월드컵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한 방에 12명씩 16개 방이 있었다). 같은 방 친구들과 말랑말랑한 공으로 열심히 연습했는데, 정작 시합 때는 옆방에서 가져온 딱딱한 공에 적응을 못해 패한 적이 있다. 경기가 끝나고 ‘공 때문에 졌다’고 아쉬워했던 기억이 있다(실력 때문에 진 것은 절대 아니다!).월드컵에서도 비슷한 일이 ...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심하게 분산시킨다. 굴절률이 다소 높아야 빛이 원하는 대로 굴절돼 휘돌아 나가기 쉬운데, 재료의 굴절률이 유리의 굴절률(1.5)보다 크면 가시광선을 통과시켰을 때 빛이 심하게 산란되는 것이다. 이번에 김 교수가 개발한 메타물질은 굴절률이 3 이상인 유전체로 만들어졌다. 그는 “정말 유리처럼 ... ...
- 의사도 모르는 의학이야기4 - 세월호 트라우마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PTSD의 사례는 과학적이고 의학적인 지식이 어떻게 새로운 현실 세계를 만들어내는 데 영향을 끼치는가를 드러내죠. 다시 말해 어떻게 사회에서 전쟁이나 재해가 이해되는지, 그 결과 치료가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사람들은 어떻게 선정되는지, 누가 국가의 보상과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등과 ... ...
- 화성 동토층에도 미생물이 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드라이밸리에서는 한 시간 정도면 1m를 거뜬히 뚫었는데, 여기서는 첫 번째 코어를 얻는 데 세 시간이나 걸렸다. 다행히 지질학자인 동료의 도움을 받으며 1m 정도의 코어 열 개를 얻어 오늘부터 분석에 들어가게 됐다.큐리오시티, 말라버린 강을 발견하다동토 코어를 얻고 보니, 문득 지난 10여 년 ... ...
-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씨가 있다는데 과학자들은 아직 나이가 확실하지 않다며 인정하지 않고 있나 봐. 그런데 너, 나랑 엄청 닮은 것 같아. 혹시 잃어버린 막내 동생?우와~! 드디어 내가 누군지 알아냈어! 내가 700년이나 자고 잠에서 깨어난 연꽃씨였다니! 지금은 이렇게 까맣고 못생겼지만 예쁜 꽃이 될 수 있다니 행복해. ... ...
- 도박하면 대박? 수학으로 보면 쪽박!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수밖에 없다니…. 저 이제 도박 그만 둘래요. 그런데 도박에 중독되면 헤어나올 수 없다는데, 이미 중독돼 버린 건 아니겠죠? 제 상태를 알고싶어요~!채점 방식1번 문항에서는 ‘➊, ➋’에 체크하면 1점, ‘➌, ➍’에 체크하면 0점입니다. 2~12번 문항에서는 ‘예’에 체크하면 1점, ‘아니오’에 ... ...
- Part 1 - 난 오늘밤도 삐딱하게 뜬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1km 정도밖에 안 되는 위성 도 있다. 하늘에 그냥 돌 덩어리가 떠다니는 정도다. 그 런데 묘하게도 목성의 불규칙위성을 공전궤도의 기울기 와 거리 별로 분류해 보면, 크게 네 개의 그룹으로 나뉜 다. 또 위성이 전혀 없는 구간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공 전면의 기울기가 60~120° 사이인 위성은 전혀 ... ...
- BRIDGE - ELO랭킹 적용하면 한국 16강 확률 높아져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부른다. 미국 메이저리그 등 야구와 농구, 미식축구 등의 선수 순위를 매기는 데도 사용되고 있다. FIFA랭킹에서는 55위인 한국이 ELO랭킹에서는 36위(5월 20일 기준)까지 껑충 올라간다. 스위스 UBS 은행에서 2006년 ELO랭킹을 사용해 독일월드컵의 승패를 예측한 결과 우승국 이탈리아를 비롯해 8강 진출국 ... ...
- 양치기 개는 갈매기도 잘 몰아요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넓은 초원에 점점이 흩어져 있던 양의 움직임이 부산해진다. 양치기 개가 나타났기 때문이다. 양치기 개는 여기 저기 뛰어다니며 요령 좋게 양을 한 곳으로 몰아넣는 ... 갈매기를 쫓아내기 때문”이라며 “여름철에 해변에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막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 ...
- 6개 염기 가진 인공 생명체 탄생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오래 살아남지 못한다.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인공 염기가 붙은 DNA가 복제돼야 하는데, 이에 관여하는 효소들은 A, T, C, G만을 인식하도록 진화했기 때문이다.연구팀은 규조류 유전자가 발현되도록 대장균을 조작했다. 이 유전자가 만드는 단백질은 외부 분자가 대장균의 세포막을 통과할 수 있게 ... ...
이전5435445455465475485495505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