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태양광 기술 몽골 사막 밝힌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한몫할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사업 전담관리기관인 에너지관리공단의 김계수
박사
는 “게르 10만호에 발전시설을 공급할 몽골 정부 계획에 한국의 참여 기반을 확보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사업팀은 10일 울란바토르에서 태양광 가로등과 분수대의 점등식 및 제막식도 개최했다 ... ...
방귀냄새 맡고 모기 미끼 되는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얻는 것은 아니다. 미국에서는 이공계
박사
들이 과잉 공급되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박사
취업시장에서는 과학자로서의 지적 능력보다는 쥐에 물려가면서 주당 80시간의 일을 할 수 있는 인내심이 요구된다.물고기 숫자 세기Fish Counter댐은 연어의 회귀를 방해하는 장벽이 되기 때문에 최근에는 ... ...
2003 제2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의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대한 이해가 기본이 된 탓에 DNA의 작동 메커니즘을 파악하는 일이 어렵지 않았다.
박사
후연구원 생활을 하던 텍사스대에서는 노벨 화학상(1977년)을 수상한 물리학자 프리고진을 만나 생명현상에 대한 관심을 지속시킬 수 있었다. 프리고진은 열역학적 방법으로 생명을 이해하는 연구를 진행중이었다 ... ...
아인슈타인 우주로의 시간 여행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시간여행에 대한 연구 내용을 알고 싶다는 전화를 종종 받는다고 한다. 고트
박사
는 그런 전화를 아주 진지하고 심각하게 받아들였으며, 이 책 역시 그런 질문에 답하기 위해 썼다고 했다.시간여행이 매혹적인 이유 중 하나는 시간여행을 하려는 사람들의 아름다운 소망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 ...
물 이용한 새로운 발전법 개발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통해 상업용 전지를 만들 것으로 내다봤다. 영국 런던 임페리얼 칼리지의 존 기빈스
박사
는 “대규모 전력은 생산이 어렵다”면서도 “나노기술을 이용한 초소형 장비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왕따 당하면 두뇌는 육체적 고통 느낀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느껴지는 큰 고통을 줄이기 위해 방어 메커니즘을 가동하는 것이다.아이젠버거
박사
는 “연인과 헤어지거나, 데이트 신청을 거절당하거나, 모임에 초대받지 못하는 등 다양한 사회적인 따돌림이 이와 같은 육체적 고통을 유발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사회에 속하려는 인간의 본능은 우리의 ... ...
최초의 나노과학자 돌턴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축구 선수들이 진짜 축구공으로 강연에 온 어린이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14일 크로토
박사
가 강연을 한 곳은 맨체스터 시청이다. 이곳에서도 돌턴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는데, 시청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돌턴의 조각상이 서있다. 맞은편에는 그의 제자이며 열역학 제1법칙을 발견한 제임스 줄의 ... ...
1 21세기, 촉각을 재발견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haptics) 분야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한국표준과학연구원 김종호
박사
는 “시청각정보가 아무리 완벽하게 재생되더라도 실제 상황의 70%정도만을 전달할 수 있을 뿐”이라며 “여기에 촉각정보가 더해져 85-90%의 정보가 전달되면 생생한 현실감이 느껴질 것”이라고 말한다. ... ...
3 2020년에는 사이버 섹스도 가능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느껴진다는 내용이다. 이 연구의 주인공은 캐나다 맥길대 가브리엘 로블레-드-라-토레
박사
팀이다.연구자들은 기발한 실험을 통해 수평력과 표면의 요철을 느끼는 감각의 관계를 규명했다. 수평력이란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손끝에 느껴지는 힘이다. 표면이 편평할 경우 매끄러울수록 수평력이 작고 ... ...
2 새로운 초전도체 존재 예측 혼돈의 초유체 원리 밝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쌍(쿠퍼쌍)을 이루면서 점성이 없어진다는 사실을 밝혀냈다.올해 공동 수상자 레깃
박사
는 1970년대 He3 초유체에 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 인물이다. He₃ 초유체는 He₄에 비해 1/1천 정도 더 낮은 온도에서 발견되며, 이 역시 He₃ 원자 두개가 쿠퍼쌍을 이루며 형성된다. 많은 학자들은 초유체를 ... ...
이전
545
546
547
548
549
550
551
552
5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