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달걀 삶는 기구의 패러독스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않는 간단한 과정들을 자세히 관찰함으로써 놀라운 사실들을 발견할 수 있다.뷔르거
박사
는 사람들에게 친근한 도구와 주변현상을 물리적 탐구활동의 소재로 삼고 그것을 수학적으로 규명해보인다. 그는 문제의 설명과 해설은 물론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까지 제시함으로써 독자들의 지적 호기심을 ... ...
소만한 크기의 쥐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동물로 하루 일정 시간을 물 속에서 지내고, 나머지는 땅에서 지냈다. 산체스-빌라그라
박사
는 “많은 시간을 물가에서 보냈기 때문에 눈은 현재 쥐보다 훨씬 등 쪽으로 있었을 것이고, 턱은 좀더 뾰족했으며 현재의 모르모트와는 달리 꼬리를 갖고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이 설치류의 화석은 ... ...
화성이 핏빛으로 물든 사연은?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5cm 정도로 쌓였고 이같은 먼지가 물이 없는 지금의 화성에서 붉게 변했다는 것이다. 옌
박사
는 화성처럼 꾸민 실험실 환경에서 이를 재현해보였다.다시 허블우주망원경이 찍은 화성 사진을 들여다보자. 위쪽 중앙에는 태양계에서 가장 큰 화산으로 지구의 에베레스트 산보다 3배나 높은 올림푸스 ... ...
1 예수의 동생 유골함은 가짜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9/10월호에 재질 조사와 문법, 글자체에 대한 분석결과를 함께 발표했다. 여기서 고렌
박사
는 요아스 비문의 문법과 글자체가 오류 투성이란 점과 함께, 야고보 유골함의 글자 역시 이곳저곳의 진품 유골함에 있는 글자들을 컴퓨터 스캐닝한 다음 포토샵 등의 프로그램으로 크기를 조절해 베낀 ... ...
부작용 없는 제2의 비아그라 개발된다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많은 연구팀들이 결정을 만들어보지도 못하고 이 단계에서 연구를 포기했다. 이
박사
등 연구자들은 숱한 실험 끝에 배양온도를 15℃로 낮추고 특정 화합물을 첨가할 경우 결정을 만들 수 있는 단백질이 얻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이렇게 얻은 단백질에 약물을 결합시킨 뒤 이 결합체가 결정을 ... ...
박테리아가 만든 황제의 상징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사용합니다. 전통 염색은 이런 화학물질이 필요없는 친환경 염색법인 셈이죠. 존
박사
는 박테리아를 이용한 대량 염색법을 연구하고 있는 중입니다.한편 인디고도 요즘엔 석탄이나 석유에서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또 유독물질이 부산물로 나와 골칫거리입니다. 박테리아는 이 ... ...
인간 배제된 채 기계 액션만 난무 터미네이터는 돌아왔는가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어디까지 발전할 수 있을까? 세계 최대 반도체 업체인 인텔의 공동 창업자 고든 무어
박사
는 1965년 ‘컴퓨터칩의 저장용량과 연산처리 능력은 매 18개월마다 두배의 속도로 증가한다’는 ‘무어의 법칙’을 주장했다. 당시 과학자들은 물리적인 한계를 내세워 무어의 법칙이 10년 내에 무너질 ... ...
인간과 공동조상 가진 진흙 생명체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결과 연구팀은 제노튜벨라가 후구동물의 가장 원시적인 형태라는 결론을 내렸다. 텔포드
박사
는 “믿기 어려운 일이지만 제노튜벨라는 지금것 발견된 무척추동물 중에서 가장 인간과 가까운 친척이다”며 “이 작은 동물이 인간처럼 오랜 시간을 진화해왔다는 사실은 정말 흥미롭다”고 밝혔다 ... ...
밤하늘 별은 7천억의 1천억배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관측 가능한 우주의 끝까지 고려했다. 그래서 나온 숫자가 7천억의 1천억배다.드라이버
박사
는 현재망원경이 관측할 수 있는 우주만을 고려했기 때문에 실제 별의 수는 훨씬 더 많을 수 있다고 강조한다. 거의 무한히 많아서 그야말로 셀 수 없는 만큼 말이다.이렇게 무한히 많은 것 같은 별들도 계속 ... ...
산모 음식이 자식 유전자의 기능 바꾼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좋은 유전자로도 바꿀 수 있는 길이 열려 있는 셈이다.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김용성
박사
는 “환경 변화로 인한 메틸화는 염기서열을 바꾸지 않더라도 유전자의 기능을 변화시킨다는 점에서 전혀 새로운 생물학의 출발을 예고하고 있다”고 말한다.아마도 먼 미래에는 아이의 유전적 ... ...
이전
547
548
549
550
551
552
553
554
5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