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피아노 치면 기억력 쑥쑥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신참보다 기억력이 뛰어났다. 그로부터 1년이 지나자 신참 역시 기억력이 좋아졌다.찬
박사
는 “어린이에 대한 음악교육은 좌뇌의 측두엽을 발달시킨다. 이 부분이 언어의 기억도 관장하기 때문에 기억력이 향상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미국 어바인 소재 캘리포니아대 프랜시스 라우셔교수팀도 3- ... ...
수화를 말로 바꿔주는 장갑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때문에 좀더 정확한 번역을 위해서는 양손 장갑이 개발돼야 한다. 헤르나데스-리볼러
박사
는 현재 두손 수화번역 장갑을 개발중이며 2005년에는 성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한편 이번 성과는 청각장애인의 의사소통외에 다양한 용도로 쓰일 예정이다. 전투시 군인들이 조용하게 명령을 ... ...
1 태풍잡는 사나이로 변신한 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지구의 일부 상공이 한순간 전자레인지 안에 놓이는 셈이다.하지만 이스트런드
박사
의 계산에 따르면 폭풍 아래에 서있는 사람은 안전하다. 하강기류의 물방울들이 상당한 양의 마이크로파를 흡수해서 땅에 도달하는 양은 굉장히 미약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만약 폭풍과 마이크로파 빔 사이를 ... ...
인체 결합과 분리의 딜레마 샴쌍둥이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남들과 다르게 태어났다는 사실을 기억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영국 스피즈와 키엘리
박사
는 2002년 ‘영국외과학저널’에 결합쌍생아가 건강하다면 생후 3개월경에 분리 수술을 하는 것이 좋다고 보고한 바 있다.한편 태어나자마자 분리 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한 아이가 결합된 상태에서 ... ...
주인 바뀐 렘브란트 작품 속 얼굴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알 수 있습니다. 과연 렘브란트가 자신의 그림에 스밤메르담을 그려 넣은 것일까요.툴프
박사
는 레이덴대학 의대 학장이었지만, 스밤메르담이 입학하기 전 학생지도를 그만둔 상태였습니다. 결정적인 사실은 렘브란트가 이 그림을 그린 1632년은 스밤베르담이 태어나기 5년 전이라는 것입니다. ... ...
비만 질환 모델 쥐 국내서도 탄생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쥐는 몸속 혈중 유리지방산, 중성지방, 혈중 포도당 농도가 높아져 몸집이 비대해진다.장
박사
는 “세계적으로 형질전환 쥐는 30여종에 불과하고 비만 모델 쥐는 거의 없다”며 “이번에 개발된 쥐는 내분비 이상에 의한 비만의 원인을 규명하고 비만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유용하게 쓰일 것”이라고 ... ...
산호 2030년까지 60% 파괴 예상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멸종되지는 않고 많은 변화를 거치게 될 것이라고 한다.헤그헤스
박사
는“앞으로 50년 간 증가할 이산화탄소의 양과 기온은 과거 50만년 이상 산호를 번성하게 했던 환경 조건을 급격히 변화시킬 것”으로 확신했다. 따라서 산호의 생존을 위해 해양보호지역을많이 지정해야 ... ...
태양빛 이용해 나서는 달 탐사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890~1972 미국의 전자공학자·물리학자 그로브시티 칼리지를 졸업하고 1923년 예일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양극과 음극 사이에 그리드를 하나 또는 둘 가진 열음극방전관(熱陰極放電管 ; 음극을 가열하여 열전자방출을 이용하는 방전관) 그리드 제어 방전관(制御放電管)으로 분류되나 ... ...
2 한국 2020년이면 비구름을 부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기술의 역사는 60년이 채 되지 못한다. 1946년 미국 제너럴일렉트릭사의 빈센트 쉐퍼
박사
는 자신의 실험실에서 과냉각된 안개로 가득 찬 냉장고 속에 드라이아이스 파편을 떨어뜨려 수많은 작은 얼음결정들이 형성되는 것을 목격했다.그는 여기에서 힌트를 얻어 그해 최초로 인공강우 실험을 ... ...
신경생리학으로 분석한 자살의 원인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관련이 있을까. 그렇다면 어떤 유전자가 관여할까.영국 킹스 칼리지 아브샬롬 카스피
박사
팀은 우울 성향에 유전자가 관여한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7월 18일자에 발표했다. 세로토닌의 전달에 관여하는 물질인 5-HTT의 유전자가 그 주인공이다. 5-HTT 유전자는 2가지 종류가 있다. 긴 형질(l)과 ... ...
이전
548
549
550
551
552
553
554
555
5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