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남성 과학자는 30세에 절정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저널 어브 리서치 인 퍼스낼러티’ 최신호에 발표했다.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가나자와
박사
는 “남성이 반려자를 만나 결혼을 하고 아기를 낳으면 더이상 경쟁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남성은 결혼 후 경쟁과 행동을 부추기는 것으로 알려진 남성호르몬의 분비가 ... ...
김치 고유의 유산균 확인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쎌바이오텍 연구팀이 김치에서 분리, 서울대 천종식 교수가 확인한 종이다.한편 김
박사
팀이 해독한 류코노스톡 시트리움(Leuconostoc citreum)은 이번에 처음 밝혀진 김치 유산균으로 약 2백만쌍의 염기로 이뤄져 있다. 연구팀은 이 유산균의 유전체에서 김치 고유의 시원하고 상큼한 맛을 내는 성분인 ... ...
고갯짓이 판단에 영향 미친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대해서는 오히려 결과가 반대로 나타났다.예상과 다른 결과에 대해 페티
박사
와 브리뇰
박사
는“끄덕이는 고갯짓이 사람을 좀더 긍정적으로 생각하게 만들기보다는 자신의 생각에 확신을 갖도록 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결국 고개를 끄덕이는 행동이 긍정이나 부정에 대해 강한 ... ...
형제자매 해치는 동물들의 기막힌 사연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형 독수리는 동생이 알을 깨고 나오는 순간 무차별한 공격을 시도한다. 1978년 미국 가제트
박사
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 발표한 관찰 결과에 따르면 형 독수리는 3일 동안 동생을 1천5백69번이나 쪼아댔다고 한다. 이렇게 쪼임을 당한 동생은 결국 죽고 만다. 더욱 어처구니없는 것은 이 행동이 ... ...
대형 구조물 안전 책임지는 시뮬레이션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환경공학과 곽효경 교수의 구조설계연구실은 이런 분위기 탓인지 요즘 정신없이 바쁘다.
박사
과정 및 석사과정 각각 6명씩 총 12명의 학생들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가상의 구조물을 수없이 만들고 부수며 이상적인 구조를 찾고 있다. 곽 교수가 최근 관심을 갖고 진행하고 있는 분야 중 하나는 ... ...
2 첨단기술 활약할 무대장치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사업을 원만히 수행하기 위해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진공기술기반사업단(단장 정광화
박사
)을 구성했다.15개 부문 ISO 9001 국제인증 획득사업단은 연구원 내에 약 5백60m2의 실험실 공간을 확보하고 진공도 10-9Pa 정도까지의 영역에서 사용되는 각종 진공장비에 대한 평가장치를 구축하고 있다. ... ...
쿠루병 감염 원인 식인 행위로 추정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연구팀은 그들이 사람이나 사슴 고기를 날것으로 먹었으리라고 추측했다.그러나 화이트
박사
는 “모든 네안데르탈인이 식인종이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단지 그들 중에 식인종이 있었다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인류에게 정말 식인종의 피가 흐르고 있는 것일까 ... ...
뜨거운 지방에 사내아이 많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더 많이 태어난다는 속설이 빈말이 아니란 얘기다.또 맥라클런
박사
와 스토리
박사
는 성 결정에 대한 온도의 영향이 고환이 신체 밖으로 나와있는 이유일지 모른다고 제안했다. 이들의 가설에 근거한다면 신체 밖으로 나와있는 고환의 위치는 성 스위치가 활성화되지 못하도록 하는 또다른 ... ...
밀양 얼음골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벌였는데, 그때 역고드름이 생겨나는 특이한 곳이라고 보고했다. 변 교수는 “다나카
박사
가 역고드름으로 오해한 것은 일주일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머물렀기 때문”이라고 말한다.어쨌건 4월에는 이곳 냉혈의 입구에 고드름이 녹으면서 그 안쪽이 보이게 됐다. 변 교수는 냉혈 안에서 녹았던 ... ...
세계 암연구에서 우뚝 선 토종과학자 김규원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굳이 해외로 나가지 않고도 세계수준의 성과를 얻을 수 있다고 강조한다.김 교수가 비록
박사
학위는 미국에서 했지만 오늘날의 혈관연구는 이러한 동양적인 상호관계의 사고방식을 바탕으로 순수하게 국내 여건에서 이뤄낸 것이다. 특히 최근의 연구성과로서 뇌혈관세포와 뇌성상세포, 그리고 ... ...
이전
550
551
552
553
554
555
556
557
5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