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배
양성
경작
양식
교화
수예
사육
d라이브러리
"
배양
"(으)로 총 828건 검색되었습니다.
식충식물 이용한 개미 퇴치약품 연구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충북대 원예학과 이철희 교수가 조직
배양
으로 대량생산에 성공한 9종류의 식충식물을 식충이넷(www.sikchungi.net)을 통해 6월 15일부터 판매하기 시 ...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는 실정이다.원바이오(주)에서는 현재 약 2백여종의 식충식물을 수집해
배양
방법을 개발하는 중이다. 문의는 043-275-9106 ... ...
1. 인간배아 이용한 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수정된 배아가 아니고 체세포의 핵을 이식해 만든 새로운 복제배아다. 일단 복제배아는
배양
과정을 통해 착상전 단계의 배아까지 발생시킨다. 그리고 착상전 배아를 이용해 줄기세포를 얻는 방법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배아줄기세포를 만든다. 복제배아는 복제기술을 통해 배아줄기세포를 대량 ... ...
① 가혹한 환경 극복한 미지의 생존자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관한 연구사업’을 시작하기에 이르렀다.본 연구사업에서는 다양한 심해생물을 분리·
배양
하며 유전체를 확보해 신소재개발에 이용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며,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일본, 미국 등과 공동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따라서 우리도 선진국과 어깨를 겨루며 심해에 관한 ... ...
① 극한의 생존자 미생물 수색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이 세균은 4℃에서 가장 활발하게 생장하며, 12℃가 넘으면 생장을 중단한다. 이 세균을
배양
하기 위해서는 아이러니컬하게도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4℃짜리 가정용 냉장고를 사용해야 한다.한편 어두운 땅밑에서 생명의 자취를 찾기도 한다. 1987년 일단의 과학자들이 미국 ... ...
⑤ 자생식물이용기술 개발사업단장 정혁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종자를 구하는데 10-15년이나 걸리기 때문에 크게 실망했다. 하지만 정단장의 조직
배양
기술 덕분에 ‘초백’이라는 이름의 이 감자는 2-3년만에 농민들의 손에 들어갈 수 있었다. 장박사는 크게 감동했고 은퇴한 지금도 정단장을 친형제처럼 생각하며 연락하고 있다고 한다.인공씨감자 기술을 북한에 ... ...
복제된 인간에 머리 옮겨 붙이기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만드는데 성공한 것이다. 이 연구는 인간이 필요로 하는 신체 부위만을 인공적으로
배양
하고 생산하는 기술이 가능할 것임을 보여 주었다. 뒤이어 1998년 5월, 미국의 화이트는 원숭이 두마리의 머리를 교환해 몸에 붙이는 수술에 성공함으로써 또 한번의 충격을 안겨주었다.위의 두 연구를 ... ...
고추가루에 곰팡이병 치료물질 있어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때 병원미생물 생장이 93% 억제된 결과가 나왔다. 모든 실험에서 CAY-1은 인간 세포
배양
체에 해를 끼치지 않았으며, 인간 폐조직 세포에서도 안전했다.많은 연구에서 CAY-1은 다른 여러 병원미생물에게도 항균작용이 있음이 입증되고 있다. 최근 사람의 건강을 위협하는 곰팡이병 치료 물질에 가장 ... ...
한국인 게놈지도 초안 6월 발표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연구원은 지난해 서울의대 박재갑 교수팀으로부터 12가지 유형의 위암 세포를 받아 이를
배양
해 암세포에서 발현되는 유전자를 추적하고 있다. 지금까지 암세포에서 약 3만개의 발현된 염기서열조각(EST)을 분석해 약 5천개의 유전자를 찾아냈다. 이중 30%는 이전에는 보고된 바 없는 새로운 유전자로 ... ...
행운을 만드는 생물공학계의 아이디어 뱅크 이상엽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터였다. 그래서 대장균
배양
액 바깥을 분석해보라고 지시했다. 결과는 놀라움 그 자체.
배양
액 바깥쪽에 고분자가 분해돼 나와 있었다. 실험 중에 계속 버려만 왔던 쓰레기 같은 곳에 21세기의 신기술이 진흙 속의 진주마냥 놓여져 있었다.원래 고분자는 세포를 통과하지 못한다. 따라서 세포 ... ...
바이러스 걸러주는 필터의 세계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않고 기다리기에는 너무 긴 시간이었다. 이때 정밀여과막으로 식수원의 세균을 분리하고
배양
해, 세균 검사시간을 24시간 이내로 줄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이렇게 해서 식수원의 세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의약과 반도체에까지 응용돼초정밀을 요구하는 반도체 산업에서도 여과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