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배
양성
경작
양식
교화
수예
사육
d라이브러리
"
배양
"(으)로 총 82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인 위장의 불청객 헬리코박터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직접 감염시켜 연구했다는 일화도 전해진다. 결국 1982년 그의 동료였던 마샬이 세균을
배양
하는데 성공했다. 강산인 위 내부에도 세균이 산다는 사실이 입증된 것이다. 이 균은 처음에는 켐필로박터균(식중독균) 종류로 불렸는데, 1988년에 헬리코박터 파이로리라는 정식 명칭을 얻었다 ... ...
유산균 시장의 아우토반 쎌바이오텍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가능한 일로 여겨져 왔기 때문이다.반면 정사장은 원하는 유산균을 찾아내고 대량
배양
기술을 개발하려면 적어도 5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한데, 대기업의 특성상 3년 이상 같은 업무를 맡을 수 없기 때문에 오히려 창업하는 편이 낫다고 보았다.그렇지만 대기업의 기술연구팀장이라는 안정적인 ... ...
기억이 이식된 복제인간 6번째 날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배양
탱크. 그 경우도 현재로서는 상당기간 동안 실현될 수 없는 것입니다.미경_ 만일
배양
탱크에서 복제가 가능하다면 영화에서처럼 순식간에 성인 형태의 인간이 복제되는 건 가능할까요.황교수_ 물론 불가능합니다. 신생아가 될 수밖에 없죠. 너무 비약된 설정 같아요.홍재_ 완벽하게 똑같은 ... ...
복제 들소 '노아' 탄생임박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자궁세포를 각각 추출해 일본 흰토끼의 난자와 합성해 배아를 만들어 배반포 단계까지
배양
하는데 성공했다. 한편 ACT는 북미 흑곰을 팬더의 배아를 키울 대리모로 선택해 복제연구를 하고 있다.아프리카의 봉고 영양은, IUCN의 보고서에 따르면 케냐의 일부 지역에 대략 50마리 정도만 남아있다. ... ...
썩는 플라스틱 생산하는 대장균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개발하는 것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PHA도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했다”며, “세계 최고의
배양
기술을 토대로 대사공학을 주도하겠다”고 자신감을 보였다.대사 및 생물분자공학연구실은 대사분석, DNA칩과 전체유전자학, 단백질공학, 생분해성 고분자 등 크게 네분야로 나뉘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
복제술로 부활하는 백두산호랑이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백두산호랑이의 체세포 수가 적당히 늘어나면 호랑이 세포를 영양분이 극히 적은 배지에
배양
해 세포를 굶긴다. 영양분이 없기 때문에 세포는 증식하지 못하고 잠들어 버린다. 흥미롭게도 세포가 잠든 상태가 되면 기존의 신체 일부분으로서의 특징을 잊어버린다. 즉 배지 속 백두산호랑이의 ... ...
난치병 치료의 두가지 돌파구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인간배아복제는 자궁에 착상시켜 복제인간을 탄생시키는 것이 아니라 줄기세포를
배양
하는 일이 주요 목표다.이 일이 왜 중요할까. 바로 난치병 치료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자신의 심장에 치명적인 질병이 발생했다고 가정하자. 만일 건강한 심장세포를 질환 부위에 ... ...
② 농업 : 슈퍼옥수수와 씨감자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1989년 세계 최초로 개발한 인공씨감자도 북한에 심어지고 있다. 인공씨감자는 조직
배양
을 통해 병충해에 강한 유전자를 가진 감자를 콩알만한 크기의 씨감자로 만든 것이다. 한개의 씨감자를 심으면 약 20개의 새로운 감자를 얻을 수 있는데, 이 감자 또한 병충해에 강하고 순도가 높아 다시 이것을 ... ...
과학자들의 콤플렉스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받은 박사학위도 분개하며 돌려줬다. 1881년에 양과 염소와 소를 대상으로 탄저균
배양
액을 공개 투입한 실험은 전 세계 뉴스거리가 됐다. 영국에서는 타임스지 기자까지 특파된 시대의 사건이었다.교회와의 싸움으로 유명한 갈릴레오 갈릴레이(1564-1642)도 파스퇴르 못지 않게 자신의 주장을 ... ...
멸종위기 식물 되살리기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일부만 남아있다. 이런 경우 복원에 충분한 양의 종자를 얻기가 어려우므로 조직
배양
, 꺾꽂이 등의 증식방법이 사용된다. 마치 제몸을 조금씩 떼어내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 그렇다면 이렇게 증식된 식물들은 유전적으로 모두 같은 개체인 셈이다. 그래서 유전적 다양성을 위해 인공변이를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