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배
양성
경작
양식
교화
수예
사육
d라이브러리
"
배양
"(으)로 총 828건 검색되었습니다.
⑤ 복제기술과의 만남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예를 들어 양의 체세포 하나에 인간의 성장호르몬 유전자를 주입한 후 시험관에서
배양
하고, 이 가운데 성장호르몬 유전자가 제대로 삽입된 것만 고르면 된다.이 체세포의 핵을 떼어내 돌리와 같은 방법으로 복제시킨다면 어떨까. 새로 태어난 개체가 인간성장호르몬 유전자를 가질 확률은 이론상 ... ...
② 변신의 명수 바이러스 퇴치 최전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바이러스의 유전자에 삽입시켜 백신을 만들 수 있다. 또 바이러스 유전자를 세포
배양
시스템을 통해 대량으로 복제하고, 이를 항원으로 사용해 백신을 만들 수도 있다. 현재 B형 간염 바이러스 백신의 일부가 이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다.한편 바이러스의 종류에 따라 인체에서 감염되는 장소가 ... ...
① 시험관아기의 등장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어머니의 나팔관이 막혀 있어 오랫동안 아기를 가질 수 없었다.2-3일만 시험관에서
배양
이들에게 행운을 안겨준 곳은 케임브리지 의과대학이었다. 로버트 에드워즈와 패트릭 스텝토 박사팀은 어머니의 난자를 추출한 후 아버지의 정자와 수정시켰다. 인공수정이나 나팔관수정과 다른 점이 있다면 ... ...
④ 쥐 정소에서 사람 정자 성숙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쥐의 세포를 사용했을까. 안티노리 박사는 “만일 정상적인 다른 사람의 정소 세포에서
배양
했다면 여기서 발생한 정자와 불임남성의 정자가 섞일 우려가 있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밝혔다. 누구의 정자인지 알 수 없게 돼버린다는 의미다. 이에 비해 쥐의 정자는 사람의 것과 모양이 다르기 때문에 ... ...
⑥ 첨단 대리모 인공자궁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하나는 일본에서 개발한 경우처럼 자궁을 대체할 새로운
배양
시스템을 만드는 일이다. 최근 미국에서는 생쥐 수정란을 10일 정도 생존시킨 인공자궁 시스템을 만드는데 성공했다. 생쥐의 임신 기간이 20일 내외인 것을 볼 때 적어도 생쥐의 경우 인공자궁의 실현이 멀지 ... ...
플레밍 신화의 진실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기적의 약은 10여년을 더 기다려야 했고, 이 운 좋은 관찰은
배양
실험 때 귀찮게 나타나는 원하지 않는 세균을 제거하는 데만 사용됐다.페니실린을 망각 속에서 찾아내 그 효능을 증명하여 인류 앞에 내놓고 항생물질의 시대를 연 사람은 옥스퍼드 대학의 병리학자 플로리와 ... ...
쥐 정소에서 길러낸 사람 정자로 임신 성공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남성의 생식세포를 쥐의 정소 조직에서 성공적으로
배양
한 뒤 이를 사람 난자와 수정시켜 4명의 신생아가 태어났다. 지난 3월 17일 이탈리아의 세베리노 안티노리 박사는 영국 B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현재 이 방법으로 3명이 이탈리아에서, 1명이 일본에서 태어나 자라고 있다”고 밝혔다.정상적인 ... ...
1945년 노벨생리, 의학상 플레밍, 폴로리, 체인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전에는 훌륭한 성과를 기대할 수 없다. 곰팡이는 수조의 표면에서만 자라기 때문에
배양
성적이 신통할 수 없는 것이다. 곰팡이들이 자라려면 공기가 많이 필요한데 따라서 공기를 수조 속으로 불어넣으면서 수조액을 휘저어 주어야 한다. 이때 세균이 섞여 들어가면 좋지 않은데 그렇게 조작하기란 ... ...
복제소 영롱이와 유전자 조작 슈퍼벼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기술은 병충해에 강한 작물을 개발하는 전통적 단계에서 인체에 유용한 성분을 작물에
배양
하는 단계로 바뀌는 추세다. 이른바 특정 기능을 갖춘 기능성 농작물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번에 개발된 품종 가운데 혈압을 낮춰주는 토마토나 오메가3 지방산이 강화된 들깻잎은 미래형 농산물의 ... ...
생물계의 공생전략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나왔으니 말인데, 김치를 담글 때 왜 풀을 써서 같이 넣는 것일까. 실험실에서 세균을
배양
할 때 한천이 들어가는 배지를 쓰는 것과 같은 원리다. 풀은 곧 세균의 먹이가 되는 것으로 번식을 도와준다. 대장암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채소나 과일을 많이 먹으라고 하는 것도 결국은 대장균의 먹이를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