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확"(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 다시 보는 밥상 위의 물고기, 그리고 자산어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등장인물이 물고기에 대해 해박한 지식을 갖춘 섬 청년 창대다. 창대는 바다 생물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제공하며 정약전의 저술을 도운 실존 인물이다. 실제로 정약전은 책의 서문에서 그의 도움을 받아 저술을 완성할 수 있었다고 고백했다. 창대가 얼마나 뛰어난 자연과학적 재능을 가졌는지 ... ...
- [융복합파트너@DGIST] 미지의 물질 특성 양자 상태로 밝힌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1985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클리칭 교수는 양자홀 상태를 관찰해 플랑크상수를 보다 정확하게 계산해냈고, 이를 바탕으로 무게의 기준을 만들었다.김 교수는 “양자 상태 연구로 물질의 근본을 이해하는 것은 고체물리학자들의 영원한 관심사”라며 “새로운 양자 상태를 발견해 과학지식의 저변을 ... ...
- [Bridge] 음성 인식 AI에 꼭 필요한 너! 삼각함수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자연스러운 대화는 아직 완벽하게 인식하기 어려운데, 우리 연구실은 대화에서 음성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더불어 대화의 내용을 이해해 적당한 응답을 내놓는 기술도 열심히 연구하고 있답니다! 삼각함수는 음성 신호의 숨어있는 특징을 보여줘요! 김훈카카오엔터프라이즈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4화. 사라진 말캉 다이아몬드, 범인은 바로 삐뚤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관광객이 몇 명이나 지나갔습니까?”딱지가 물었습니다. “모두 다섯 명이에요.”“정확합니까?”“아, 그게…. 대여섯 명이에요.”“그 사람들을 모두 찾아야 합니다.”딱지가 단호하게 말했습니다. 그중에 삐뚤란이 있을 게 분명했습니다. 용의자를 찾는 건 어렵지 않았습니다. 모두 아직 ... ...
- [훈훈한 훈쌤이랑 쫑알쫑알 코딩수다] 인공지능이 심판 본다! 청기백기 게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훈훈한 훈쌤이랑 말로만 들었던 인공지능을 엔트리 홈페이지(playentry.org)에서 함께 만들어 봐요. ‘청기백기 게임’은 청색 깃발과 백색 깃발을 양손에 각각 들고 ... 알 수 있지요. 이를 훈련 중인 선수의 자세 데이터와 비교하면 공을 찰 때 고쳐야할 점을 정확하게 알아낼 수 있답니다 ... ...
- [기획] π의 혁신을 불러온 무한급수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무려 15년에 걸친 계산 결과입니다. 이후 컴퓨터 계산을 통해 527번째 자릿수까지만 정확한 것으로 판명됐습니다. 샹크스의 결과는 사람이 직접 손으로 계산한 원주율의 최장 기록으로, 여전히 깨지지 않고 있습니다 ... ...
- 인공지능, 수학으로 타파수학동아 l2021년 03호
- x를 받아 y를 출력하는 경우는 y=wx+b로 나타낼 수 있죠. 여기서 w는 가중치, b는 함수가 더 정확한 결과를 내도록 돕는 편향입니다. 입력 신호가 두 개면 y=w1x1+w2x2+b, 세 개면 y=w1x1+w2x2+w3x3+b와 같이 나타냅니다. 다수의 입력 신호 x1, x2,…, xi가 있는 경우에도 같은 방식으로 표현합니다. 출력값이 ...
- [이슈] 헷갈리는 꼭짓점의 정의, 각뿔의 꼭짓점은 하나라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만나는 점이 아니니까요.‘원뿔의 꼭짓점’은 원뿔에서 뾰족한 점으로 1개예요. 더 정확하게 말하면 원뿔의 전개도에서 부채꼴의 중심이에요. 그래서 꼭짓점의 정의에 대해 다시 알아보게 됐고, ‘각뿔의 꼭짓점’은 삼각뿔을 제외하고는 언제나 한 개라는 글을 보게 됐어요.혼란의 시작은 ... ...
- [하비맨] 파이데이를 기념하며 키슈에게 ‘Kiss You’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자와 컴퍼스만으로 1913년에는 π를 소수점 아래 6자리 수까지, 1914년에는 8자리 수까지 정확하게 그리면서 √π의 근사치를 구현해 원적문제를 일부 해결했죠. 3단계 키슈 만들기 총평 “하비맨 대표 요리 탄생” 하비맨처럼 요리를 잘하지 못해도 만들 수 있습니다. 과정이 생각보다 ... ...
-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때도 탐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다. 다만 아직은 관측 정확도가 떨어진다.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부빙에 설치된 측정소와 원격 탐사 장비가 관측한 데이터를 비교하고, 이를 통해 해빙과 눈이 마이크로파의 방출, 반사 및 산란에 미치는 영향을 제대로 알 수 있었다. 빠르고 취약한 변화 ... ...
이전545556575859606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