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d라이브러리
"
정확
"(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DGIST@융복합 파트너] 내 몸의 모든 단백질 한눈에 단백체 지도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있다.김 교수는 “멀티오믹스를 활용하면 인간의 생애주기에 따라 각 기관과 조직별로
정확
한 유전체 지도와 단백체 지도를 만들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밝혀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최근에는 연구성과를 인정받아 미국국립보건원(NIH) 국립암센터(NCI)에서 주도하는 국제암유전단백체 컨소시엄(ICPC ... ...
[기획] 경이로운 π 어디까지 알고 있니?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의미하는 그리스 문자인 π로 표시하죠. 지금 우리가 너무나 당연하게 쓰고 있는 π의
정확
한 값을 알아내기 위해 동서양의 학자들은 수천 년 전부터 연구를 이어왔어요. 파이데이를 맞아 준비한 수학자들의 π 구하기 열전, 지금부터 시작합니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경이로운 ... ...
[기획] 동양 vs 서양, 누가 먼저 찾았을까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학교 수업 중 원의 넓이나 둘레 등을 계산할 때 쓰는 원주율(π·파이)은 3.14입니다. 소수점 아래 2번째 자릿수까지만 계산에 넣는 거죠. 하지만 현대 공학과 산업 분야에서 ... 맞혔습니다. 1500년대 후반에 이르기까지 어떤 수학자도 알 카시가 구한 것보다 더
정확
한 값을 제시하지 못했죠 ... ...
[기획] 소수점 이하 50조 번째 자릿수까지 나왔다!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이 식을 사용하면 첫 번째 항만을 이용해 원주율의 소수점 아래 8번째 자릿수까지
정확
히 계산할 수 있습니다. 1985년 당시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소속의 수학자 빌 구스퍼가 이 식을 적용한 알고리듬을 개발해 원주율의 소수점 아래 1700만 번째 자릿수까지 알아내는 데 성공합니다. 그보다 현대적인 ... ...
[한페이지 뉴스] 액시온 존재 2배 빨리 찾는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양자 압착 기술을 이용하면 위상을
정확
하게 측정하는 것을 포기하는 대신, 진폭을
정확
하게 분석해 각 주파수에서 액시온의 존재 여부를 확실하게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 방법을 활용해 액시온 존재 여부를 일반적인 분석 속도보다 두 배 빠르게 분석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 ...
살고 싶은 행성 ‘눈’으로 확인하자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위치하기 때문에 나타납니다.지구와 금성을 연구해 얻은 정보는 다른 외계행성을 더
정확
히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비교 정보가 됩니다. 두 행성의 불규칙적인 밝기 변화로 대기가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영향을 알게 됐습니다. 외계행성에 대기가 존재할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지구나 ... ...
가습기 살균제는 폐질환과 관계없다? ‘무죄 판결’ 둘러싼 과학적 쟁점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충분히 밝혀지지 않은 물질은 역학조사 결과에 무게를 두고 독성을 평가하는 것이 더
정확
하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2012년 당시 한국환경보건학회 학회장을 역임하며 가습기 살균제 피해 사례를 조사했던 백도명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현재 법원이 검토하는 내용, 즉 CMIT/MIT의 독성이 ... ...
[논문탐독] 가상 우주로 은하의 역사를 들여다 보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수의 가상 은하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연구입니다. 하지만 아직 우리은하 주변 환경까지
정확
하게 재현한 가상 우주는 찾지 못했습니다. 필자를 포함한 많은 천문학자들은 우리은하를 더 정교하게 이해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우주로 쏘아 올려질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과 칠레에 ... ...
[매스미디어] 듣도보도 못한 놈들의 우주 청소가 시작된다! 승리호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미국인이 한국말을 알아듣게 된다. 최근에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해서 다양한 언어를 더
정확
하게 번역하는 기술이 나오고 있다. 인공신경망을 활용한 신경기계번역(NMT) 기술이 대표적이다. 사람의 뇌신경망을 수학적으로 흉내낸 인공신경망은 함수를 기반으로 작동하는 딥러닝 기술에 적용된다. ... ...
명화 속 빛의 비밀, 데이터는 알고있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구조는 완전히 바뀌었다. 이에 따라 미술계에서는 고대 그리스, 로마로의 회귀를 외치며
정확
하고 균형 잡힌 미술을 주장하는 신고전주의 미술, 구체적 형태보다는 느낌과 색채를 중시하는, 현실보다는 인간의 감정을 중시한 낭만주의 미술 사조가 차례로 전개됐다. 이후 사진보다 더 사진 같은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