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백두산이 폭발하면 초소형 무인기가 뜬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할 수 있다. 비행체 앞에 달린 초소형 카메라로 비행 영상을 지상 모니터로 전송하는
데
성공했다.수평 비행과 정점 비행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는 초소형 플래핑 무인기의 성능을 극대화하려면 장애물을 스스로 피해야 한다. 아직은 기술적 한계가 있다. 원격 조종 콘트롤러로는 장애물을 피할 수 ... ...
[hot science] 외계인이 탐낸 물 우주에는 넘쳐난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가스는 주변의 가스에 에너지를 가하고 여기서 수소와 산소가 결합해 물이 된다. 그런
데
이번 연구는 가스 원반 바깥쪽에서 차가운 수증기를 발견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 양은 지구에 있는 물의 수천 배다.연구팀은 앞으로 수백만 년 뒤에 이곳의 가스가 뭉쳐서 행성이 되기 시작할 것으로 ... ...
당신의 대통령은 누구입니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쏟아냈다. 당시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와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는 격차가 컸는
데
이때 제3후보 지지자들의 성향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던 것이다. 많은 조사기관들이 판별분석에 실패하면서 3위를 기록한 무소속 이회창 후보의 득표율을 실제보다 낮게 예측했다.대다수 조사기관들은 이명박 ... ...
황금바다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끝났는지도 모른다. 당위성만으로 지역주민들을 옭아매는 것은 폭력적일 수 있다. 그런
데
경제적 가치만으로 환경을 지킬지 말지를 선택하는 것 또한 가혹한 일이란 생각이 들었다. 중국 정부는 동탄습지가 있는 충밍섬을 ‘에코-시티’로 개발할 계획이다. 에코 시티란 사용하는 에너지양과 ... ...
빙하가 숨겨 놓은 얼음 세계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높이 4478m로 알프스를 대표하는 산봉우리인 마터호른. 지금은 관광객과 등산객으로 발디딜 틈이 없는 곳이다. 그러나 아직 이곳에도 미지의 세계는 있다. 바로 빙하 속 ... 말했다. 탐험대의 관찰 기록은 과학자들이 알프스 빙하의 모습과 녹는 속도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 ...
물질파로 시간·질량 잰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원자 간섭계는 원자의 물질파가 만드는 간섭작용을 이용해 정밀한 측정을 하는
데
쓰는 장치다.뮬러 교수는 아인슈타인의 쌍둥이 패러독스를 이용했다. 쌍둥이 중 한 명만 빠른 우주선을 타고 여행을 다녀오면 시간 지연 효과 때문에 여행을 다녀온 사람이 나이를 덜 먹게 된다는 것이다. ... ...
애완용 늑대는 왜 없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또 다시 익숙해지는 시간이 필요했다. 결국 새끼 늑대는 낯선 대상에 익숙해지는
데
강아지보다 많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사람과 친해지기가 어려웠던 것이다.로드 교수는 “유전자의 차이가 아니라, 유전자가 발현하는 시기의 차이가 개와 늑대의 차이를 만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 ...
개코보다 더 개코 같은 돼지코의 비밀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갖고 있는 후각수용체 유전자가 다른 동물보다 더 많았다. 이는 돼지가 살아가는
데
후각이 단순히 냄새를 맡는 것만이 아니라 또다른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증거이다.인간의 경우 연애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여러 가지 요소 중 후각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연구가 있다. 후각에 이상이 있는 ... ...
와이파이는 왜 ‘찬밥’ 신세가 됐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스마트폰의 와이파이 기능을 켜면 무선 인터넷 신호를 제공하는 핫스폿(또는 AP, 액세스포인트)이 여러 개 잡힌다. 이동통신사가 제공하는 공용 와 ... 해결되지 않는 부분도 분명히 있다”며 “더 좋은 장비와 스마트폰이 짧은 주기로 나오고 있는
데
점점 개선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 ...
세상에서 가장 슬픈 향기, 커피로드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갔죠. 이후 이 종은 대서양 건너 코스타리카를 거쳐 파나마의 농장으로 흘러 들어갔는
데
, 그게 바로 게이샤 종이에요. 요즘은 파나마와 코스타리카 등지에서 아주 조금씩 키우고 있어요.파나마에 자리를 잡은 게이샤 종은 병충해에 약했어요. 그래서 파나마를 휩쓴 병충해에 곧 대부분 죽고 말았죠. ... ...
이전
593
594
595
596
597
598
599
600
6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