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W5 코드 브레이커] 리만 가설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공개키 암호체계를 뚫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빠르게 소인수분해 하는 것뿐이다. 그런
데
리만 가설이 참이라면 공개된 수보다 작은 소수를 빠르게 찾을 수 있는 방법이 생긴다. 따라서 오늘날의 암호체계는 쉽게 뚫릴 수 있는 것이다 ... ...
찜질한다고 몸이 건강해질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생리통 완화, 천식이나 알레르기성 비염이 있는 사람이 호흡하기 편하게 만들어주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를 찾을 수 있었지요. 울혈성 심장기능상실이나 만성피로증후군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도 있습니다.이렇게 이야기하면 원적외선이 아주 몸에 좋은 것 같지만, 논문에는 보통 아직 제한적인 ... ...
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동물에게 암을 일으키는 레트로바이러스가 사람에게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데
주목하고 있다.이것은 광범위한 RNA 편집을 통해 레트로바이러스의 RNA를 변형시키는 진화적 메커니즘 때문일지도 모른다.하지만 역설적으로 외부 바이러스의 RNA뿐만 아니라 자체 RNA마저 편집하고 있다.이것은 ... ...
태양보다 100만 배 밝은 빛, 통신혁명 가져올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구리선보다 효율이 높은 빛을 이용하기 때문에 대규모
데
이터 전송에 많이 쓰이는
데
, 한 번에 더 많은 빛을 보낼 수 있다면 속도와 전송량 모두를 끌어올릴 수 있다.주 교수는 “이번 기술은 적은 공간에 더 많은 빛을 모을 수 있다는 점에서 광통신 분야에 활용 가치가 높다”고 설명했다 ... ...
동서남북 모인
데
서 신약 개발 꿈꾼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잎, 열매 등으로 분류해 한 식물 당 2kg씩 딴다. 자른 식물을 비닐에 담아 연구실로 옮기는
데
, 한 사람당 20kg가 넘는 큰 짐을 메고 돌아온다.4월부터 채집해온 식물을 건조하기 시작한다. 식물체 대부분을 차지하는 물기를 빼 부피와 무게를 줄이는 것이다. 말린 식물은 곱게 갈아 가루로 만든다. 가루에 ... ...
아프리카의 아성에 도전하는 아시아의 인류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화석의 연대는 논란이 많습니다. 이 문제는 아직도 분명한 결론이 나지 않았습니다.그런
데
보다 확실하고 강한 반전이 일어났습니다. 터키 북동쪽에 있는 나라, 조지아의 드마니시 지방에서 이상한 화석이 발견된 것입니다. 이 화석은 머리도 몸집도 별로 크지 않았습니다. 함께 발견된 석기 역시 ... ...
산화·환원 반응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용액 속의 산소와 결합해 많은 양이 산화되면 용액은 초록색을 띱니다. 그런
데
가만히 두면 포도당이 산소를 흡수하면서 인디고카민은 환원되죠. 그러면 노란색을 나타냅니다. 다시 용액을 흔들면 공기 속 산소가 용액 속으로 들어오면서 인디고카민과 결합하죠. 인디고카민은 다시 산화되고 붉게 ... ...
2013 눈길을 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운영하고 있답니다. 활주로 제설작업의 선두에는 초특급 제설장비 ‘SE-88’이 앞장 서는
데
, 퇴역 전투기의 제트엔진을 재활용해서 만든 특수차량이에요. 강한 바람이 6개 배출구로 나오면서 활주로에 쌓인 눈을 20∼30m 밖으로 날려버려요. 또 400∼500도에 이르는 고온으로 눈을 순식간에 증발시켜 ... ...
PART 4. 마음을 유전자에 담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우리의 최고 성과가 이제 자연의 가장 못난 성과에 근접했다”고 말했다.그런
데
이런 연구는 왜 하고 있을까.새로운 물질을 만들기 위해서다. 새로운 재료나 치료제를 만들려면 체내에서 쉽게 분해되지 말아야 한다.목표 조직이나 기관에 가기도 전에 분해되면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만약인공 ... ...
잠자리도 집중력 있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명령을 내린다”며 “선택적 주의는 인간이 외부에서 받은 정보에 반응하고 행동하는
데
중요한 능력이지만 어떤 과정을 통해 일어나는지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이번 연구는 뇌신경 분야에서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595
596
597
598
599
600
601
602
6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