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의'처럼 말과 교감하는게 중요해요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말은 달리기, 점프, 장거리 경주 등 운동량이 많은 ‘퍼포먼스 동물(performance animal)’인
데
다 스포츠 의학이 필요한 동물”이라고 말했다. 그래서 말은 오랫동안 치료해야 하고 치료한 뒤에도 상당히 많은 운동량을 감당해야 한다. 말 전문의는 이런 점들을 고려하며 말과 교감을 나눠야 치료 효과가 ... ...
대한민국 원자력 기술의 상징, 하나로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하나로의 또다른 용도는 원자력 시설의 재료 검증과 시험이다. 원자력 발전소를 만드는
데
쓰는 재료는 오랜 시간에 걸쳐 중성자의 영향을 받아 성질이 변한다. 하나로를 이용하면 이런 재료의 변화를 미리 시험할 수 있다. 2010년 완공된 핵연료 노내조사시험설비가 이 역할을 한다.이 설비는 원자력 ... ...
기계공학, 바이오로보틱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축바퀴의 원리 등 공통적인 과학원리가 쓰였다. 기계가 왜 그렇게 움직이는지 이해하는
데
필요한 과학원리를 상세한 글과 친절한 일러스트를 이용해 설명했다. 중간중간 귀여운 매머드 이야기도 들어 있어 이해를 돕는다.미국의 의생학 분야 선두주자 재닌 비니어스가 쓴 책입니다. 자신이 ... ...
[1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다른 개미들을 보호하는 행위도 진화론으로 이해하기 힘든 이타적 행동이다. 그런
데
유전자 측면에서 확률적 계산을 해보면 이런 행동이 결국 유전자의 이기적인 행동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개미가 수컷과 직접 교미할 경우 일개미와 일개미 자식 사이의 유전연관성은 50%가 된다. 반면 ... ...
PART 1. 누가 뉴턴을 죽였는가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영역을 확장했다고 평가해야 할 것이다.우리 주변의 일상적인 영역을 설명하는
데
는 고전물리학을 사용하는 것이 훨씬 간편하고 유용하다.제트여객기가 출현했지만 뉴욕이 아니라 수원에 가는 정도라면 기차를 타는 것이 훨씬 간편한 것과 같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당신의 뉴턴은 ... ...
무중력이 만든 1cm 헬륨 결정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잃어버리는 성질을 말한다. 다카하시 교수는 “결정 발달과 관련한 물리적 성질을 밝히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실험의 의미를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학술지 ‘뉴 저널 오브 피직스’ 2012년 12월 13일자에 공개됐다 ... ...
수중동물에 다리 생긴 비밀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진화하는 과정에는 어떤 비밀이 있었을까.호세 루이스 고메즈 스페인 파블로
데
올리비
데
대 박사팀은 열대어인 제브라피시 배아의 지느러미가 형성되는 시기에 ‘Hoxd13’이란 유전자를 과다 발현시켰다. 그러자 지느러미 속에서 새로운 연골 조직이 자라나고, 반대로 지느러미 말단조직이 ... ...
우리나라 하늘에서 춤추는 UFO 웨이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말했다. 또 다른 목격자인 오형석 씨는 “물체는 LED조명처럼 대단히 밝은 빛을 냈는
데
처음에 정지 상태였다가 아주 느린 속도로 멀어지면서 흐릿해져 안보이게 됐다” 고 말했다.필자가 운영하는 UFO조사분석센터(이하 UFO센터)가 안산에 출현한 것으로 추정되는 UFO 영상과 사진을 분석한 결과 ... ...
아늑한 겨울을 품은 외암마을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기계로 이엉을 엮는다.원래 건조한 겨울철에 해이기를 집집마다 돌아가며 진행한다. 그런
데
주민들은 해이기를 서두르고 있었다. 12월 초에 예상치 못하게 많이 내린 이른 눈이 재촉하게 만든 것이다.오후 4시를 향해 가는 시간에도 따뜻한 햇살이 마을 전체를 감도는 기분좋은 기운을 느끼며 마을을 ... ...
과학은 문화다. 이야기다. 상상력이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깊고 가깝게 전해준다. 현실이 이야기를 오히려 앞질러 실현하고 있다는 생각이 드는
데
, 뇌-기계 인터페이스가 여는 세상은 과연 현실일까 이야기 속 세계일까 궁금해진다.체험하거나 인식하지 못하는 대상은 과연 현실일까 아닐까. 분명 존재하지만 눈으로 볼 수 없었던 현실을 만나보자. 현미경 속 ... ...
이전
597
598
599
600
601
602
603
604
6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