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나
일
한사람
한개
d라이브러리
"
1
"(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적인 물리학자와의 대화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일정 가운데
1
0월 24일 POSTECH 내부에 위치한 아시아 태평양 이론물리센터에서 직접 만나
1
시간 가량 대화를 나눴습니다. Q. 이휘소상 수상을 축하드려요. 이휘소상을 받아서 영광이에요. 대학원생이었던
1
973년 당시 대부분의 물리학과 학생이 이휘소 박사의 논문을 읽었던 것으로 기억해요. 저도 이 ... ...
[Reth?nking] 제
11
화. 증명은 왜 중요한가?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발전할까?’가 더 맞는 질문이라 생각하고, 개인적으로는 그렇게 될 거라고 생각해요.
1
월호에서는 ‘수학이란 무엇인가’라는 주제로 리씽킹을 마무리하겠습니다 ... ...
[한 장의 과학] 서남극 빙붕의 돌이킬 수 없는 미래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결과가 나왔다.
1
0월 23일, 케이틀린 노턴 영국 남극연구소(BAS) 연구원이 이끈 연구팀은 2
1
세기 아문센해의 빙붕이 녹는 속도가 20세기보다 3배 빨라질 것이라는 연구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기후변화’에 발표했다. 이는 파리 협정에서 결의한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적용했을 경우에도 큰 차이가 ... ...
[르포] '씨즈' 숏다큐 : 물에 잠기는 도시들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아니어도 시간과 돈이 드는 일이다. 뉴욕시는 수질 개선을 목적으로 그린인프라를
11
년째 짓고 있지만, 목표 개수 달성 연도는 2030년에서 2040년으로 늦춰졌다. 홍수 대비를 위해 목표량을 더 늘리려면 더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할지도 모른다. 지하주택을 위한 대책도 실행이 어렵다. 뉴욕의 ... ...
[르포] 달을 향한 열망과 비전이 넘치는 곳 아제르바이잔 국제우주대회에 가다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기업의 달 착륙, 달 탐사 프로젝트다. 2022년
1
2월 아이스페이스의 탐사선 ‘하쿠토-R 미션
1
’은 스페이스X의 로켓을 타고 날아가 2023년 3월 달 궤도에 정상적으로 안착했다. 그러나 달 착륙 직전 고도계 센서 오류로 그대로 달 표면에 추락해 결국 착륙에는 실패하고 말았다. 국제우주대회에서 만난 ... ...
[최신 이슈] 그 털이 곱슬거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뒷이야기를 털어놨다. 사실 이번 음모 논문이 세상에 발표되기까지는 긴 시간이 걸렸다.
1
년 6개월 동안 열심히 연구를 하고 저널에 논문을 투고했지만 ‘학술적 의미가 부족하다’는 의미로 여러 번 수정 요청을 받았다. 신 교수는 “논문의 초록에 이 연구에 대한 쓸모와 연구 방법 등을 강조했다면 ... ...
[최신 이슈] 태우는 게 최선일까? 지구 오염시키는 우주 쓰레기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연구팀은 달 주변의 우주 쓰레기를 모델링하고 이를 추적하는 방법을 개발해 2023년
1
월 열린 AAS/AIAA 우주 비행 역학 회의에서 발표했다. 대기권에서 불탄 위성, 금속 에어로졸 만들어일각에서는 우주 쓰레기를 지구로 내려 태워버리는 것이 최선인가를 두고 논쟁도 벌어진다. 미국 퍼듀대와 ... ...
[커리어] 우주의 본질을 밝히는 IBS 지하실험 연구단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예미랩 검출기에서
1
초에 2개쯤 관측되겠지만, 중성미자 없는 이중베타붕괴는
1
년에 고작
1
~2번 미만일 것이다. 확률이 너무 낮은 것이 아니냐는 기자의 질문에 김 단장은 중성미자 천문학을 개척한 공로로 2002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일본 물리학자 고시바 마사토시 교수의 이야기를 들려줬다 ... ...
[최애은하] 제임스 웹 설상가상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플랑크와 같은 우주망원경 관측으로 우주 전역에 퍼진 미세한 온도의 차이를
1
0만 분의
1
규모까지 파악해가고 있다. 우주배경복사 관측으로 추정되는 우주 팽창률은 약 67km/s/Mpc이다. 이 값은 은하를 직접 관측해 추정한 팽창률보다 6이나 낮다. 오랫동안 천문학자들은 이 차이가 계산 결과의 오차 ... ...
[논문탐독] 미래의 공항에도 관제탑이 존재할까?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약 72만 건의 항공기 이착륙을 처리했다고 하는데요. 이것은 하루 동안 이착륙이 약
1
800번 이뤄진다는 뜻입니다. 수많은 비행기가 공항 주변을 둘러싼 가운데, 비행기들은 어떻게 충돌하지 않고 차례대로 활주로에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을까요? 비행기는 높고 빠르게 움직이는 까닭에 각 비행기의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