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준비기간 단 1달, 과학고 합격 비결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하지요. 2단계. 중학교 1, 2학년 내용도 다시 보자! 소집면접은 서류 마감이 끝나고 1달 정도 열심히 준비했어요. 주어진 문제를 풀고 면접관 앞에서 풀이 과정을 설명하는 면접이었어요. 과학고 20곳 중에 몇몇은 홈페이지에 기출 문제를 올려놨어요. 그곳에서 기출 문제를 출력해서 풀어봤어요. ... ...
- [러셀 탐구생활] 제 12장. 러셀의 삶이 우리에게 남긴 것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철학적 모순으로 인해, 외부적으로는 나치당에 의해 와해되고 말았습니다. 한편 제1차 세계대전 동안 그가 개진한 평화 운동은 전쟁을 막는 데 역부족이었으며, 오히려 러셀이 제2차 세계대전을 지지하고 나설 때 사람들이 그의 진정성을 의심하게 만드는 부메랑이 됐습니다. 그럼에도 제게는 ... ...
- [특집]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20년 인간 유전체, 그 끝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되지 않을까.바로 그런 시도가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HGP・Human Genome Project)’였다. HGP는 1990년부터 2003년까지, 23년 동안 약 3조 원의 자금을 투입해 인간 유전체 전체를 해독해낸 ‘생물학계 최초의 거대과학’ 프로젝트였다.그러나 HGP가 끝난지 20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유수의 국제학술지에는 ... ...
- [특집] Part2. 유전체 연구의 미래, 생물학에서 정밀의학으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서비스의 취지를 이렇게 밝혔다. 서 회장은 서울대 의대 교수 시절, 한국인 유전체 ‘AK1’ 분석 결과를 네이처에 발표하는 등 한국인 유전체 연구의 기틀을 닦아왔다. 그가 만든 생명공학 기업인 마크로젠은 전 세계에서 보내온 유전체 시료를 분석하며 성장했다. 젠톡은 연구실과 병원에 국한된 ... ...
- 네 친구의 꿈, 12월 창공을 가르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1’을 발사할 계획입니다. OSR-1의 동체에는 과학동아 로고도 각인될 예정이고요. 과연 OSR-1은 12월 창공을 날아 고도 30km에 닿을 수 있을까요? 이 기사를 읽는 여러분도 함께 응원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 ...
- [기획] 실패? 다시 일어나면 성공이니까요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씨가 화면에 그의 ‘네 줄짜리 과제’를 띄우자 객석에선 웃음이 터져 나왔습니다. 11월 1일 저녁 개최된 ‘KAIST 실패학회: 망한 과제 자랑대회’에서는 최 씨 외에도 다양한 실패 경험을 가진 학생들이 나와 자신의 이야기를 전했습니다. 전국의 수재가 모인다는 KAIST에서 실패를 자랑하는 행사가 ... ...
- [기획] KAIST 학생들의 실패라고 더 멋진 건 아니었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생각합니다. 그런데 2020년에 팬데믹이 터졌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최 씨는 자취를 하고 있었습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속되며 사람들과 교류가 적어지자, 최 씨는 자기만의 세계에 갇히게 됐죠. 과제도, 현실도 모두 외면하고 집 밖으로 나가지도 않은 상태로 ... ...
- [기획] ‘아프니까 청춘이다’가 와 닿지 않는 당신에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세계 각국의 학생들이 모이는 국제 컨퍼런스도 포함돼 있습니다. 실패학회가 끝난 11월 3일, 이 학생들을 만나 “망한 과제 자랑대회가 망해버렸다면 어떤 기분이 들었을지” 물었습니다. 행사 총괄을 맡은 김태현(KAIST 기술경영학부 학사과정) 씨의 대답이 멋집니다. “실패한다면 슬펐겠죠? 그런데 ... ...
- [커리어] 진로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제약공학자란 꿈을 이뤄보는 하루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되어보는 진로체험 프로그램-제약공학자’ 수업 현장 속으로 함께 들어가보자. 10월 26일 오전, 경기 용인에 위치한 바이오세상에듀 본사. 충북 음성 대금고의 화학・생명과학 동아리 학생 30여 명이 ‘전문가가 되어보는 진로체험 프로그램-제약공학자’ 수업에 참가했다. 흰 실험가운을 입은 ... ...
- [커리어]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 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더 짧은 펄스인 젭토초(10해분의 1초) 펄스 연구도 활발하다. “초강력 레이저는 21세기 새로운 과학적 발견을 이끌어낼 엔진 역할을 할 겁니다. 이곳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은 강력한 빛으로 새로운 물리학을 연구하고 있죠.” 김철민 연구위원의 강연으로 랩투어가 시작됐다. 초강력 레이저의 ...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