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실패 이야기의 효능: 위로, 용기, 또는 재미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됐다는 그는, 2018년 폐암의 뇌 전이 연구를 하던 도중 쓰러지고 말았습니다. 우뇌에 직경 1cm의 혈관종이 생겼기 때문이었죠. 다행히 수술이 잘 끝나 생사의 기로에서 벗어나게 됐지만, 그의 두개골 우측에는 직경 5cm의 구멍이 남았습니다. “앞으로 뭐 해먹고 살지?”란 고민도 함께 남았죠. 만 24세에 ... ...
- [빅잼] '더 마블스' 히어로 파워의 원천 ‘광자' 현실에 쓴다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이때 양자 C를 관측하면 동시에 A와 B의 상태가 결정됩니다. 만약 C가 1이었다면 B는 0, A는 1이 되는 식으로요. 얽힘 이론에 따르면 A와 C는 같은 값을 갖게 됩니다. 지구에서 관측한 양자의 정보가 ‘0초’ 만에 500km 상공에 있는 위성에 전달되는 셈이죠. 때문에 이런 양자의 특성을 통신에 활용하려는 ... ...
- [커리어]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 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더 짧은 펄스인 젭토초(10해분의 1초) 펄스 연구도 활발하다. “초강력 레이저는 21세기 새로운 과학적 발견을 이끌어낼 엔진 역할을 할 겁니다. 이곳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은 강력한 빛으로 새로운 물리학을 연구하고 있죠.” 김철민 연구위원의 강연으로 랩투어가 시작됐다. 초강력 레이저의 ... ...
- [과학사 극장] 지석영이 조선에 우두법을 처음 소개했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꼴이었다. 높은 접종비는 사람들이 우두 접종을 끝까지 완수하지 못하게 했고, 이는 1차 접종을 한 사람들도 천연두를 앓는 현상으로 이어졌다. 민간에서 인두법을 시술하는 인두의나 굿을 통해 마마신을 물리치는 무녀들도 우두법을 강하게 반대하고 나섰다. 치명률이 20%였으니, 순전히 ... ...
-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망원경이 관측한 포말하우트(위). 궤도에 행성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흰색). 하지만 2017년 ALMA가 포착한 포말하우트(아래)의 사진에서는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관측한 행성을 찾지 못했다. 용어 설명*ALMA : 칠레 북부 아타카마 사막에 있는 전파 망원경 집합체. 총 66개의 전파 망원경이 우주를 ... ...
- [기획] 생명체 찾아 목성의 달로! 탐사선 주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생명체 찾아 목성의 달로! 탐사선 주스Part1. 주스, 정체를 밝혀라!Part2. 생명체의 가능성을 품은 뉴 골디락스 존은?Part3. 주스, 목성까지 가는데 8년이 걸린다? 용어 설명*위성: 행성 주위를 도는 천체 ... ...
- [꿀꺽! 생활 속 수학 한 입] 두근두근 나도 인기스타, 친구들을 사로잡는 수학 마술!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Intro. [꿀꺽! 수학 한 입] 두근두근 나도 인기스타, 친구들을 사로잡는 수학 마술!Part1. 우리 번호 교환할까? 특별하게!Part2. 해피버스데이~ 너의 생일이 궁금해 ... ...
- 이유 3. 변별력을 놓칠 수 없는 수능수학동아 l2023년 11호
- 교육에 필요한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만들어졌어요. 하지만 수능은 철저히 수험생을 1등급에서 9등급까지 촘촘하게 나누는 등급제로 자연스레 줄을 세워요. 대학 서열이 공고한 우리나라에서 선발적 기능이 강할 수밖에 없어요. 특히 수학 영역의 경우 최상위권을 변별하기 위한 척도로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개념 먼저 다지고 문제 속으로 서울과학고 오유찬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위기가 오고 나서는 ‘지금이 마지막이다’라는 생각으로 전력을 다했어요. 특히 4인 1조로 팀별 실험을 하는 과제수행평가에서 주도적으로 나서서 팀원들에게 역할을 부여하는 등 그룹 활동을 적극적으로 이끌며 눈에 띄려고 노력했어요. 그 모습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고 생각합니다. Q. ... ...
- [인터뷰] 수학을 풍부하게 만드는 데 기여하는 수학자가 되고 싶어요수학동아 l2023년 11호
- 교수님의 지도를 받으며 연구할 수 있는 ‘인턴십 프로그램’이 있거든요. 당시 코로나19가 시작되는 시점이라 전염병의 확산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모형인 ‘SIR 모형’을 연구했어요. 첫 연구여서 잘하진 못했지만, 연구가 무엇인지, 논문은 어떻게 쓰는지 등을 배울 수 있었지요. 연구해보니 저와 ... ...
이전6364656667686970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