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ilicon
실리콘밸리
밸리
합성수지
규소수지
규소
silicone
뉴스
"
실리콘
"(으)로 총 751건 검색되었습니다.
버려지는
실리콘
이 전극 소재로 환골탈태!
2015.03.30
반도체나 태양전지용
실리콘
웨이퍼를 만들고 나오는 폐기물(슬러지)은 연간 1만 t을 넘는다. 폐기물의 주성분인
실리콘
도 폐기물과 함께 모두 버려 ... 자원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실리콘
폐기물에서
실리콘
을 추출하는 방법.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 ...
값싸고 휘어지는 저가 태양전지 나온다
2015.03.29
플라스틱 태양전지의 발전 효율을 6%로 높였다고 29일 밝혔다. 현재 상용화돼 흔히 쓰이는
실리콘
태양전지는 태양으로부터 온 빛에너지 100 중 25를 전기에너지로 바꿀 수 있을 만큼 효율이 좋지만(발전 효율 25%) 딱딱하고 휘어지지 않아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에 응용하기 어렵고 가격 또한 비싼 ... ...
반도체 회로 3차원으로 그리는 방법 찾아냈다
2015.03.25
김 교수팀은 반도체 공정에서 방해요소 취급을 받는 산소를 이용했다. 원료인
실리콘
이 산소에 노출되면 이용하면 손쉽게 쉽게 굳어지는 경화작용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반도체 재료에 자외선을 쪼여 주는 부분에만 산소 농도가 감소된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이 농도 차이를 역으로 ... ...
원하는 빛만 흡수하는 광소자 개발
2015.03.22
두께에 따라 다른 파장의 빛을 흡수했다. 특히 껍질의 구조가 6㎛(마이크로미터)인
실리콘
나노선의 경우 껍질이 얇은 부분은 파란색 빛만을, 껍질이 두꺼운 부분은 초록색 빛만 주로 합성했다. 또한 연구팀은 합성 조건에 따라 껍질의 두께와 주기를 자유자재로 조절하는 데 성공했다. 가스 ... ...
라면 먹다 김서림, 이젠 안녕!
2015.03.20
데 성공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팀은 유리 표면에 1μm(마이크로미터) 두께로 이산화
실리콘
을 코팅한 뒤 고온의 플라스마로 깎아냈다. 동시에 나노 돌기의 ‘틀’ 역할을 할 나노 금속입자를 유리 표면에 뿌렸다. 금속입자가 들러붙은 표면은 상대적으로 플라스마에 덜 깎여 나갔고, 금속입자가 있던 ... ...
기초연구 보고 ‘중이온 빔’ 국내 발생 첫 성공
2015.03.12
물질이 아닌 빔의 성질을 측정하기 위해 발생시킨 중이온 빔을
실리콘
박막에 쏘고,
실리콘
의 성질 변화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실험했다. 그 결과 산소 원자의 경우 최대 70keV(킬로전자볼트)의 중이온빔이, 아르곤은 최대 160keV의 중이온 빔이 발생한 것을 것으로 확인했다. 이 실험결과는 세계 ... ...
반도체 칩에 인간 심장세포 넣은 바이오칩 개발
2015.03.10
것으로 전망된다. 케빈 힐리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교수팀은 심장세포를
실리콘
반도체 회로에 탑재해 심장 조직의 기능을 하는 장치를 만드는 데 성공하고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9일자에 발표했다. 보통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임상시험 전 단계로 ... ...
그래핀이 안 된다면 이 물질로?
2015.03.08
되기 위해 필수인 ‘띠 간격(Band Gap)’이 존재했다. 또 반도체 소재로 쓰이는 최적화된
실리콘
반도체보다 성능이 100배 이상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백 교수는 “그래핀의 한계를 넘는 새로운 물질”이라며 “우수한 반도체 성질 덕분에 그래핀보다 훨씬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을 ... ...
차세대 저전력 ‘스핀-오빗 메모리’ 개발
2015.03.03
포스텍 교수, 이경진 고려대 교수 공동연구팀은 산화마그네슘(MgO)과 백금(Pt), 산화
실리콘
(SiO2) 등을 쌓아 나노자석을 만든 뒤 이 나노자석이 산화되는 정도를 조절해 구동전력을 절반 이하로 낮춘 차세대 스핀-오빗 메모리를 제작했다. 이번에 개발한 스핀-오빗 메모리는 기존 메모리와는 다른 ... ...
장갑 끼고 드론 조종해봤나
2015.02.27
nm는 10억분의 1m)인 은나노 입자가 섬유 속 전선을 촘촘히 채우고 있다. 섬유의 피복은
실리콘
고무의 일종인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으로 덮었다. PDMS는 독성이 거의 없어 아이들 장난감인 일명 ‘탱탱볼’을 만드는 데 주로 사용되는 소재다. 드론을 조종한 장갑의 손가락 끝에는 스마트 섬유 2가닥을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