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ilicon
실리콘밸리
밸리
합성수지
규소수지
규소
silicone
뉴스
"
실리콘
"(으)로 총 751건 검색되었습니다.
고효율 태양전지 수명 10년으로 늘렸다
2014.12.08
수명을 크게 늘릴 수 있는 기술을 새롭게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태양전지는
실리콘
등 광물질을 원료로 하는 무기태양전지와 고분자 물질을 이용해 제작한 플라스틱 형태의 유기태양전지로 나뉜다. 유기태양전지가 효율은 더 뛰어나지만 사용 수명이 수년 이내로 낮아 실용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 ...
초고화질(UHD) 다음은 풀 초고화질(UHD)
2014.11.25
, 갈륨(Ga) 등의 금속 원소와 산소(O)로 이뤄진 물질이다. 이 물질을 이용하면 기존 다결정
실리콘
소재 디스플레이의 해상도를 뛰어넘는 디스플레이를 개발할 수 있지만 구조적으로 불안정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김용성 박사가 비정질 산화물 디스플레이 소재의 구조를 분석하고 있다. - ... ...
이젠 ‘탠덤 태양전지’ 시대
2014.11.24
하이브리드 다중접합(탠덤) 태양전지를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시중에 많이 쓰이는
실리콘
태양전지는 단일 접합 방식이어서 이론적 한계효율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에너지가 낮은 광자는 태양전지판에 흡수되지 못한 채 투과되고, 에너지가 높은 광자는 흡수되더라도 열에너지로 ... ...
흑린(黑燐), 차세대 트랜지스터 주인공 될까
2014.11.17
투명하면서도 휘어지는 성능을 가진 반도체가 필요하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기존
실리콘
소재를 대신해 차세대 반도체로 쓸 수 있는 소재를 찾는 데 성공했다. KIST 연구팀이 개발한 흑린 트랜지스터의 모습. - K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최원국 박사와 송용원 박사 공동 연구팀은 흑린 ... ...
피부 감염 우려 줄인 신개념 부항기 나왔다
2014.11.12
일회용 부항컵을 쓰자니 값이 비싸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부항컵 내부에
실리콘
주름 캡을 씌우는 방식으로 환자의 피부와 부항컵 사이의 접촉을 차단하는 데 성공했다. 부항컵 입구에 주름 캡을 씌운 뒤 흡입기로 내부의 공기를 빼내면 주름 캡이 컵 안 쪽으로 펼쳐지기 때문에 피부와 ... ...
팔만대장경이 A4 한 장에
2014.11.12
그동안 나노 인쇄기술은 주형을 이용해 나노 구조물을 찍어내고, 찍어낸 나노 구조물을
실리콘
등 원하는 표면에 옮기는 식이었다. 하지만 나노 구조물의 폭이 수백 nm 이하로 얇아지면 주형에 나노 구조물이 들러붙어 제대로 인쇄가 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기존에 사용되던 재료보다 표면에너지가 ... ...
이제는 입체가 대세, 3차원 그래핀 온다
2014.11.10
3차원 그래핀의 주형이 되는 탄소구조체를 만들었다. 그리고 탄소구조체를 가열해
실리콘
을 선택적으로 제거해 탄소원자만 남은 입체 그래핀을 완성했다. 이 방법을 이용해 연구팀은 그래핀을 모자 모양(엠보싱)의 입체 구조로 나노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에서 마이크로미터(㎛·1㎛는 100만 분의 ... ...
삼켜도 안전한 ‘갑옷 배터리’ 개발
2014.11.04
개발했다. 매사추세츠공대(MIT)와 하버드대 의대 등 공동연구팀은 배터리 전극을
실리콘
등의 방수·절연 소재로 코팅했다. 덕분에 배터리는 몸속에 들어가서 물에 닿지 않고, 반응을 일으키지도 않는다. 배터리가 모든 소화계를 안전하게 지나 배설될 수 있도록 시간을 주는 셈이다. 또 이 ... ...
위를 줄인다고 비만이 해결될 수 있을까?
2014.11.03
위를 잘라내 용적을 줄인다. 오른쪽은 위밴드술로 조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실리콘
밴드를 채우는 비교적 온화한 수술법이다. - 네이처 제공 ●기름진 음식 덜 찾아 위를 대상으로 한 비만대사 수술이 과학자들이 관심을 끈 이유는 위가 줄어 조금만 먹어도 포만감이 생긴 결과 살이 ... ...
아우구스티누스 석상 복원에 나노 입자가?
2014.10.31
등이 포함돼 있는데, 빗물에 장석이 빠져나가면서 틈이 생긴 것이다. 복원팀은 이 사이에
실리콘
관을 끼워 에틸실리케이트를 채워 넣었다. 이 물질은 석재를 강화하는 데도 효과 만점이었다. 석재를 잘 말린 뒤 이 물질에 담그거나 표면에 바르면 석재 구석구석에 들어가 물이 침투하지 않게 막고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