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ilicon
실리콘밸리
밸리
합성수지
규소수지
규소
silicone
뉴스
"
실리콘
"(으)로 총 751건 검색되었습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이젠 진짜 상용화
2015.02.10
뛰어난 특수한 화학구조를 가리키는 용어로 이 구조를 적용한 태양전지는 기존 상용화된
실리콘
태양전지보다 가격은 저렴하면서도 효율이 버금갈 만큼 높아 최근 연구 성과가 집중되고 있는 분야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용액 공정이 가능해 공정이 간단한 장점이 있지만 이렇게 만들어진 ... ...
앗! 이렇게 작을 수가, 1nm급 반도체 개발
2015.02.09
회로를 새기는 대신 자기조립방식을 이용해 반도체의 회로가 되는 금속선을 1nm 이하로
실리콘
기판 위에 배열했다. 자기조립방식이란 전기적 성질이나 화학적 성질을 이용해 나노 크기 입자들이 스스로 쌓여 특정 구조를 만들도록 하는 것이다.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금속선 2종류를 배열한 ... ...
30년간 이론에만 존재하던 양자컴퓨터 소재 드디어 개발
2015.02.02
그래핀은 육각형 벌집 모양으로 배열된 탄소원자들로 이뤄진 얇은 막으로, 전기전도성이
실리콘
의 100배에 이를 뿐 아니라 강도가 강철보다 200배나 뛰어나 ‘꿈의 신소재’로 불린다. 그래핀을 초전도체 전극 사이에 끼워 넣고 전류를 흘려 준 결과 초단간극 탄도성 조셉슨접합으로 볼 수 있는 ... ...
양자역학 없는 세상
2015.02.01
있었다. 쇼클리의 인간적인 면에 대해 나쁜 평가가 많았지만, 어쨌든
실리콘
밸리에
실리콘
을 가져온 사람이 쇼클리인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우리가 쓰는 모든 디지털 전자기기에는 트랜지스터가 들어있다. 스마트폰 화면의 정보는 0과 1의 디지털 신호로 메모리에 저장해야한다. 메모리는 ... ...
셀카봉 비켜~ ‘셀카 드론’ 나가신다!
2015.02.01
일으켰다. 미국 스탠포드대와 구글 등에서 연구원으로 있던 닉시 개발팀은 현재 미국
실리콘
밸리에 닉시 연구소를 세우고 상품 출시를 앞두고 있다. 닉시는 상상을 현실로 이뤄냈다는 점에서 눈길을 끌었다. 멀리서 찾을 것도 없이 과학자를 꿈꾸던 기자 역시 어릴 적 비슷한 상상을 한 적이 있기 ... ...
게 껍질에서 뽑은 물질로 USB 메모리 만든다
2015.01.12
성능시험 결과, 키토산을 이용한 저항변화메모리소자의 정보저장능력과 안정성이 기존
실리콘
소재의 메모리소자에 버금가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휘는 스마트폰이나 휘는 디스플레이의 핵심인 유연기판에서도 정상 작동이 가능했다. 이 교수는 “메모리소자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 ...
세계 최고 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나왔다
2015.01.08
것으로 현재 최고 효율이 11.9% 수준이다. 석 연구원은 “미국과 중국이 선점하고 있는
실리콘
태양전지의 최고 효율은 25.6% 수준이지만 이 효율을 달성하기까지 60년가량 걸렸다”면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5년 만에 효율 20%의 장벽을 넘은 만큼 5~10년 안에 상용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 ...
미래형 초정밀 반도체 개발위한 이론적 기틀 닦았다
2015.01.05
통해 이론적으로 규명해냈다. 류 연구원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반도체 회로 속
실리콘
나노선에 고농도의 인을 섞은 경우에 대해 원자 수준에서 계산해 내고 그 구조를 밝혀내는 데 성공했다. 류 연구원은 “안정적인 전기전도도를 지니는 불순물 반도체 전선 개발을 위해 공정과정에서 ... ...
불량
실리콘
웨이퍼가 나노분말로 환골탈태(換骨奪胎)
2014.12.17
개발했다. 정국채 한국기계연구원 부설 재료연구소 박사팀은
실리콘
분말, 불량
실리콘
웨이퍼, 금속 조각 등 반도체나 태양전지를 제조할 때 나오는 부산물을 플라스마의 높은 열로 녹여 증발시켰다. 그리고 증발 물질을 다시 급속 냉각시켜 나노분말을 만들었다. 이 나노분말은 휴대전화 ... ...
2014년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
2014.12.14
5cm 크기로 만들 수 있고 유해 물질을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게르마늄이 입혀진
실리콘
웨이퍼 표면에서 성장한 단결정 그래핀. -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제공 ● 희토류 필요 없는 DCT모터 세계 최초 개발 LG이노텍은 세계 최초로 희토류를 쓰지 않는 차량용 듀얼클러치 변속기(DCT)용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