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배
양성
경작
양식
교화
수예
사육
d라이브러리
"
배양
"(으)로 총 828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 - 마이크로 세계 신비에 도전, 전자현미경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계산방의 체적에 따라 1mL 중의 총균수를 구하게 된다.이 때의 전제 조건은 효모나 세균이
배양
액 속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위 문제의 정답은 ④번이 된다.계수 때의 현미경 배율도 가능하면 낮게 한다.효모의 경우는 3백-4백배, 세균의 경우는 6백-8백배 정도로 하는 것이 ... ...
2 유전자 이용, 수명연장·암 치료 현실화 눈 앞에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생화학), 유전자재조합 방법에 의한 미생물의 효소 생산능력 증대(분자생물학), 미생물
배양
공정의 개발 및 자동화에 의한 생산 공정의 개선(생물화학공학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 중이다.효소이용 방법의 개선-고정화효소과거 효소는 한번 사용하고 버렸다. 효소를 재사용하기 ... ...
인간은 수명 결정하는 유전자 지니고 있나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사람으로부터 찾아내게 되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인간의 노화과정은 헤이플릭의
배양
세포와 하먼의 자유기 등 놀라운 성과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수수께끼 투성이이다. 또한 노화의 신비가 밝혀져서 수명이 어느 정도까지 연장가능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다양한 추측이 개진되고 있다. ... ...
중절 태아의 난세포로 체외수정 성공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밝혀진 영국 에딘버러 대학의 연구결과다. 암컷쥐의 태아에서 난세포를 적출, 이를 성숙
배양
시켜 체외수정에 성공했다는 내용이다.이 수정란은 다른 쥐의 자궁에 이식 돼 아직 태어나지 않은 태아의 자식이 탄생했다. 현재는 쥐에서의 실험단계지만 2-3년 이내에는 인간에게도 응용할 수 있다고 ... ...
2. 기형아치료 새 생물 창조 등 의학 육종학의 새 전기 마련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물질은 없지만 식물 호르몬이 형태형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조직
배양
시 적당한 호르몬의 첨가로 화아원기 잎원기 뿌리원기를 대량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웅성불임 개체의 창성최근 식물 호르몬을 생성하는 유전자와 호르몬 처리시 식물에서 발현하는 유전자, 그리고 ... ...
탐구력 길러주는 기초과학 특강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3월 봄이다. 만물이 기지개를 켜는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새학년도 시작됐다. 읽는 이의 탐구력과 종합적 사고력
배양
에 주안점을 둔 기초과학특강은 이번 학기에도 꾸준히 계속된다. 기초과학이 튼튼해야 그 나라의 장래가 밝다지 않던가. ...
생물- 대장균이 길러낸 인슐린으로 당뇨병 치료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다량으로 만들 수 있어, 그것을 이용하여 질병을 치료할 수 있을 것이다.그러나 B세포는
배양
기 속에서 증식시킬 수 없다. 그래서 B세포와 잘 증식하는 다른 세포가 융합된 잡종세포를 만들어내어 그것을 증식시키면 B세포를 증식시킨 것과 마찬가지로 다량의 동일한 항체를 구할 수 있다. 이러한 ... ...
미생물 이용, 환경오염 막는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양질의 농산물 다수확 가능EM
배양
액중에는 10속80여 종의 유효 미생물들이 혼합·
배양
돼 있으나 주요한 미생물은 광합성세균 효모균 유산균 방선균 등이다. 이들 미생물은 주로 발효식품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들이며 인체에는 아무런 해가 없다.광합성세균은 토양이 받는 빛과 열을 ... ...
4. 사람에게만 서식하는 종류는 퇴치가능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퇴치하는데 백신에 의한 면역반응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바이러스를
배양
할 수 없는 경우에는 백신 개발이 쉽지 않다.B형 간염바이러스 백신은 이런 환자의 혈액에서 HBs Ag을 정제한 후 포르말린 처리하여 만든 것이다. 매우 어려운 과정을 통하여 만들어지는 만큼 그 양도 상당히 적다. ... ...
설치류로부터 배우는 것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그 병으로부터 죽은 사람의 집에서 잡은 쥐인 디어마우스로부터 얻은 세포를 조직
배양
하는 방법을 통해 바이러스를 분리해내고 실험실에서 그것을 증식시켰다. 디어마우스는 현재 미국 서부에서 폭발적인 수의 증가를 보이고 있는데 이들이 원래 동양으로부터 온 한탄 바이러스의 한 종류를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