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배
양성
경작
양식
교화
수예
사육
d라이브러리
"
배양
"(으)로 총 828건 검색되었습니다.
1. 생물 속에서만 생명얻는 '불완전 생물'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감염세균이 죽는것은 파지의 증식에 의한 것임을 확인1948년 미국의 엔더스 등이 세포
배양
에 의한 폴리오바이러스 분리. 증식기술 개발. 이 기술에 의해 많은 바이러스가 분리확인됨1952년 미국의 허시 등, 파지의 감염은 DNA의 주입으로 일어남을 증명1953년 미국의 왓슨과 영국의 크릭, DNA의 ... ...
인류 기원의 수수께끼 푼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단축되기 때문이다. 폐결핵의 경우 병원균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견본을 얻는데 있어
배양
검사로는 4~6주가 소요되지만 PCR로는 하루가 채 안걸린다.또한 PCR은 군사용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1993년에 미국 국방부는 반도체 칩으로 명함 크기의 PCR 장치를 개발하는 연구에 착수했다. PCR 장치의 ... ...
동물잡종교배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이 최근의 프로젝트 중 가장 중용한 것으로 꼽는 것은 닭의 체외
배양
실험이다. 이는 사람으로 치면 시험관아기와 같은 개념인데, 포유류는 밖에서 수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뜻하지만 닭의 경우는 다른 닭이 낳은 난각으로 병아리를 부화시킨다는 뜻이 된다. 다른 닭의 난각에 ... ...
삽살개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개의 혈관으로부터 약 5㏄ 정도의 피를 뽑은 후 림프구를 따로 분리해 3일간
배양
한다.
배양
된 림프구의 염색체를 김사(Gimsa)라는 염료로 처리,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일반 염색법, 변형된 방법인 C-분염법, G-분염법, NOR-분염법 등을 모두 활용해 핵형을 분석한다.연구 대상은 삽살개 진돗개 셰퍼드 ... ...
인간복제 논란 그후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이용해 동물배자복제를 처음 시도한 이래 지난 89년에는 젖소의 배자 1개를 2개로 쪼개
배양
시킨 뒤 다른 젖소에 이식하는 방법으로 두마리의 젖소를 한꺼번에 탄생시킨 바 있다. 이 젖소는 1년 우유 생산량이 일반 소보다 3천㎏이나 많은 특징을 보이고 있다.인간의 배자 복제도 냉동정자 등 동결보존 ... ...
생물- 확률 3억분의 1이 펼치는 우연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않다. 채취된 난자는 시험관의
배양
액 속에서 수정이 가능해질 때까지 성숙시킨다. 이
배양
액은 난자를 모체에 되돌려 보낼 때까지 모체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염분 산소 이산화탄소의 농도, 온도 등이 모체와 똑같도록 조절해야 한다.난자가 성숙하면 정자를 채취하여 체외 수정을 시켜 수정란이 2-4 ... ...
뇌세포 몽땅 갈아끼워도 인격체에는 변동이 없을까?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살리기 위한 최후의 방법으로 다른 사람의 신경세포를 추출하여 시험관에서 급속도로
배양
증식시켜서 손상된 뇌의 구조를 똑같이 재구성한 다음 나의 머리를 열고 이식시켰다고 하자. 아마 나는 드디어 눈을 뜨고 의식을 되찾아 말도 하고 걸어다니기도 하고 다른 사람들이 보기에 교통사고 이전의 ... ...
'암기'와 완전결별 선언한 수학능력시험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실험을 할 기회가 적기 때문에 교과서나 학습지를 통하여 실험에 대한 기본 상식을
배양
해야 하겠다. 어느 변인을 일정하게 하고 어느 변인은 조작할 것인가? 또는 대조구와 실험구는 어떻게 다른가? 실험에 필요한 기구와 도구들의 용도는 어떠한가? 실험에서의 오차와 그것이 생기는 원인은 ... ...
원핵생물에도 생체시계 있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결과 빛을 지속적으로 조사하는 항상조건에서도 애너비너는 약24시간 주기로 빛났다.
배양
온도를 바꿔도 같은 결과가 나오는 등 생체시계의 존재는 의심할 여지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곤도 박사팀은 이 방법을 더욱 발전시켜 애너비너의 증식군의 실험에서도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제는 많은 ... ...
친할 만한 곰팡이균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이른 것은 아니라는 것을 우리는 명심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보다 나은
배양
기술이 개발되어야 한다. 유전공학을 이용하면 더 많이 생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텍솔의 부작용까지 없앨 수 있을 것이다. 우리의 바람은 모든 사람에게 텍솔이 충분히 공급되고, 태평양 주목도 멸종되지 않고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