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초"(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질문하면 답해ZOOM] 핫팩 속에는 무엇이 들어있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못했어요. 연구를 주도한 릴러 박사는 “강아지가 지시어와는 전혀 다른 단어를 0.2초 이내에 구별해냈다”며 “의미가 없는 단어를 들은 사람의 뇌 반응과 유사했다” 고 말했습니다. 2021년 스위스 델하우지대학교 연구팀은 150마리의 강아지로 실험한 결과, 강아지가 평균 89개의 단어를 이해한다고 ... ...
- RSA 암호의 핵심 원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우리 주변에서 소수의 힘을 가장 크게 느낄 수 있는 분야는 암호다. 고대부터 전쟁에서 많이 쓰였던 암호는 오늘날 그 쓰임새가 더 다양해졌다. 인터넷 쇼핑, 이메일, 스마트폰, 신용카드 등 보안이 필요한 곳 어느 하나에도 암호가 안 쓰이는 곳이 없다. 암호는 오가는 정보의 내용을 안전하게 보 ... ...
- [그래픽] 천공카드부터 DNA까지, 메모리의 진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반도체 > 정보 밀도: 5.02×109bits/mm3일본 컴퓨터 업체인 도시바는 1987년 플래시 메모리를 최초로 출시했다. 플래시 메모리는 비휘발성 반도체 저장장치다. 양자적 크기의 플로팅 게이트 트랜지스터에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전압을 걸어 플로팅 게이트에 전자를 채우거나 비워 데이터를 기록한다 ... ...
- Part2. 4족보행 로봇 AI에게 걸음마 배워 세상으로!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발견할 수 있었다. “100m 달리기뿐만 아니라 트레드밀 위에서 측정한 실내 주행 속도도 초속 6.5m로 하운드가 비공식 세계 기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박 교수의 안내에 따라 하운드의 성능 개선 작업이 한창인 연구실로 들어섰다. 하운드의 주행을 시험하는 거대한 트레드밀이 눈을 끌었다. 그 ... ...
- 원두 맛 끌어올리는 수학 모형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원)의 재료비를 절감했다고 한다. 에스프레소를 제조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25초에서 7~14초로 줄어들었고, 커피 추출 수율은 18%에서 22% 로 높아졌다. 여기서 커피 추출 수율이란 커피에서 커피 고형분이 얼마나 많이 추출됐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이다. 예를 들어 원두 20g, 물 200g을 사용해서 커피 20 ... ...
- 행복과 경제가 보인다! 냠냠 지수수학동아 l2024년 01호
- 행복이 따라온다는 점을 발견했다. 다음소프트의 발표 자료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6년 초까지 SNS 언급량을 보면 치킨(1370만 4924회)은 피자(793만 2356회)나 삼겹살(171만 9997회)보다 훨씬 많았다. 같은 기간 ‘행복하다’, ‘기쁘다’ 등 행복 관련 단어는 73만 4397회 등장했다. 치킨을 함께 먹는 인물로 ... ...
- 가뭄으로 뱃길이 막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파나마 운하로 들어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73년 만에 가장 건조했던 파나마 2023년 초부터 파나마에는 극심한 가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2023년 파나마의 강우량은 평년보다 41%나 줄었어요. 그 결과 파나마 운하로 물을 공급하는 가툰 호수의 수위 역시 급격히 낮아졌죠. 지난해 11월, 파나마 ... ...
- [천문학자] 다 같이 돌자, 지구 한 바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한 바퀴 돌아본 적이 없었고요. 심지어 지구가 편평하다고 믿는 사람도 많았지요. 18세기 초, 조선에서 만들어진 ‘천하도’라는 지도를 한번 보세요. 이 천하도에 그려진 세상의 모습은 넓고 편평한 원반 모양입니다. 이를 통해 옛날 사람들은 지구가 편평하다고 생각했으리란 걸 알 수 있어요.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슈퍼컴퓨터, 바이오매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몇 번 할 수 있는지 나타내는 거예요. 프론티어의 연산 속도는 1.194엑사플롭스 입니다. 1초에 무려 119경 번이나 연산할 수 있다는 뜻이에요. 컴퓨터의 두뇌라고 할 수 있는 CPU 코어는 연산을 담당하는 공간인데, 코어 수가 많을수록 동시에 많은 계산을 할 수 있어요. 지난해 11월 TOP500에서 발표한 ... ...
- 움직이는 만화, 애니메이션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동안 그 사물의 형태가 눈앞에 희미하게 남는 현상을 말해요. 멈춰있는 그림 여러 장을 1초 안에 연속으로 보여주면, 잔상효과로 인해 그림들이 하나로 연결되면서 영상처럼 보이는 거예요. 지금은 과학 기술이 발전해서, 원판이나 원통을 돌리지 않고도 그림이 실제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 ...
이전2345678910 다음